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변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공원 경계부 활성화 계획 : A Plan to Activate Boundaries of the Park According to the Change of Surrounding Land Use : Focused on Ilsan Lake Park
일산호수공원을 대상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광재

Advisor
성종상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일산호수공원공원 경계부경계 공간보행 연결녹지 거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2019. 8. 성종상.
Abstract
일산호수공원은 1989년 노태우 정부의 주택 200만호 정책의 일환으로 대규모 신도시 개발사업을 배경으로 조성되었다. 2013년 고양시 인구 100만인 시대의 도시자족기능을 확보하고 국정운영5개년계획(국정과제)을 연계하기 위한 발판으로 장항동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과 방송영상밸리, 테크노밸리, 킨텍스 확장사업 등 통일한국의 실리콘 밸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는 일산호수공원 남측 미개발 농경지를 대규모 도시 개발사업계획을 통해 주변 토지이용이 변경됨에 따라 도시경계에 위치한 호수공원은 점차 도시의 중심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23년 세월이 지난 지금 호수공원은 주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새로운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고양시에서는 시설노후화 개선사업 등의 하드웨어적인 움직임에서부터 호수공원 시민자문단을 모집하여 미래상을 제시하기 위한 포럼을 개최하는 등 소프트웨어적인 움직임까지 다방면에서 고양시의 중앙공원으로서의 역량을 강화·성장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본 연구는 고양시의 대표 중앙공원인 일산호수공원의 경계부를 활성화하여 주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도시와의 연결성 강화를 목표로 계획을 진행하였다. 경계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대상지 여건 분석, 환경 분석, 경계부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이슈를 도출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호수공원의 경계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첫째, 일산호수공원은 고양시의 대표녹지자원으로서 주변에는 정발산, 문화공원, 한류천, 장항습지, 한강 등의 공원·녹지자원이 분포해있지만 현재 호수공원은 정발산~한강까지의 녹지흐름을 단절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를 연결시키기 위해 대상지 환경 분석을 토대로 일부 공간을 녹지거점으로 설정하였다. 녹지거점을 기점으로 정발산~문화공원~일산호수공원(대상지)~장항습지~한강까지의 광역 녹지축을 설정하여 주변 도시뿐만 아니라 공원·녹지자원과의 연결성을 강화하였다. 둘째, 일산호수공원의 경계부를 기존 도심지 사이의 경계와 개발예정지와의 경계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경계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변 토지이용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경계 공간을 구분하였다. 각 경계 공간마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계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생활권으로서의 경계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찾아가서 즐겨야하는 공원이 아닌 이동하는 도중에도 쉽게 즐길 수 있는 공원 개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셋째, 현재 대상지로의 접근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 도심지와 개발예정지 간의 보행 연결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고 지역 간의 연결 수요가 급증 될 것을 예상하여남-북 보행 연결을 중심으로 계획하였다. 이에 개발예정지에 대한 대규모 도시개발계획을 파악하고 이를 게획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남-북 입체 보행 연결로를 조성하였다. 특히, 대상지는 호수로 인한 남-북 단절이 존재하며, 이를 입체적인 보행 연결로를 조성하여 완화하였다. 이는 각 경계 공간에 대한 연결을 뜻하며, 크게는 주변 도시와의 연결성이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호수공원의 경계부 분석을 통해 주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공원 경계부 활성화 계획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특히 개발예정지의 개발 계획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추후 일산호수공원 리노베이션 계획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Ilsan Lake Park was built in 1989 as part of the 2 million housing policy of the Roh Tae-woo government in the context of a large-scale new city 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secure the urban self-sufficiency function of the city with a population of 1 million in Goyang in 2013 and to link the 5-year plan (national affairs project) of the state administration, it is planned to construct the public residential district of Janghung-dong and Broadcast video valley, Techno-valley, Silicon Valley Project. As a result of the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project of the untapped farmland in the south of Ilsan Lake Park, the lake park located at the border of the city gradually became the center of the city. Therefore, after 23 years, lake parks are now experiencing new winds due to changes in land use around them. Goyang City is trying to strengthen and grow its capacity as a central park of Goyang City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the hardware aging improvement project and the software movement by holding a Forum to present the future image by recruiting the Lake Park Citizen Advisory Group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the boundaries of Ilsan Lake Park, the representative central park in Goyang City, and to enhance the connectivity with the cities due to the changes in land use around the city. In order to activate the boundaries, problems and issues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site conditions, environmental analysis, and boundary analysis, a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applied to the boundary of the lake park. First, Ilsan Lake Park is a representative greenery resource of Goyang City, and there are parks and greenery resources such as Jeongbal Mountain, Cultural Park, Hallyu Mountain, Janghang Wetland and Han River in the surrounding area. Currently, Lake Park cuts off the green belt flow from Chungbab Mountain to Han River have. Therefore, we set up as a green base based on analysis of the site environment to link them. Starting from the green base, Jeongbal Mountain ~ Cultural Park ~ Ilsan Lake Park (site) ~ Janghang Marsh ~ Han River to establish a large green belt axis to strengthen connectivity with parks and greenery resources as well as neighboring cities. Second, the boundary of the Ilsan Lake Park was divided into the boundaries between existing urban areas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existing urban areas and the development site. First, to activate the boundaries, the boundaries of each boundary were separate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land use. I tried to provide a concept of park that can be easily enjoyed even on the way of moving, not a park that should be enjoyed by providing boundary space as a living zone by introducing a program closely linked to real life for each boundary space. Third, access to the site is limited, and there is a lack of 'walking connection' between the existing urban area and the planned development area. Therefore, in the future, large-scale development is expected and the demand for connection between the regions will surge. I identified a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plan for the planned development site and reflected it in the planning, thereby creating a more efficient South-North three-dimensional walking link. Especially, there is a south-north disconnect due to the lake, which is mitigated by constructing a three-dimensional walkway. It means connection to each boundary spac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with neighboring cities is strengthened largely.
This study has differentiation in that it applied the plan of the park boundary activ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surrounding land u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oundary of the lake park. In particular, it reflects the development plan of the planned development site, meaning that i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the future Ilsan Lake Park renovation pla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4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5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