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RANSLATING PROACTIVE AND RESPONSIVE CREATIVITY TO INNOVATION IMPLEMENTATION IN WORK TEAMS: CONTRASTING INTERNAL AND EXTERNAL TEAM RESOURCING BEHAVIORS : 적극적, 수동적 팀 창의성의 혁신실행으로 전환: 혁신 실행을 위한 팀의 내외부 자원 활용 행위 대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현지

Advisor
최진남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reativityinnovationresourcingmotivationwork teams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대학 경영학과,2019. 8. 최진남.
Abstract
Innovation is critical to the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contemporary organizations operating in the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and work teams are becoming the most essential sourc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erson et al.,2014; Lopez Cabrales et al., 2009). Given that unrealized creative ideas are useless,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intermediate mechanisms that connect innovative idea generation to implementation in work teams. Teams do not work independently of their organizational and broader industrial context, particularly when they are performing non-routine work such as innovation (Ancona & Caldwell, 1992; Gist, Locke, & Taylor, 1987; Yan & Louis, 1999). Thus, teams are required to manage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effectively to translate their innovative ideas into implementation successfully. This dissertation shows how teams manage their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throughout the innovation implementation process, and particularly, how these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are affected by the underlying motivational drivers (i.e., proactive vs. responsive) at the beginning of the innovative idea generation.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two studies. The first study examines how work teams with proactive and responsive motivation mobilize their internal resources (i.e., team implementation efficacy and team cooperation) and external resources (i.e., external resource acquisition and external legitimacy) to achieve team innovatio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e second study examines how work teams with proactive and responsive motivation engage in internal resource utilization and external resource acquisition to accomplish team innovatio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Both studies show how work teams with proactive motivation are in an advantageous position for utilizing internal resources, whereas disadvantageous in acquiring external resources, and vice versa for those with responsive motivation. The second study further shows how boundary-spanning leadership and internal integrating leadership could complement work teams with proactive and responsive motivation, respectively, in engaging i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ing behaviors, resulting in successful team innovatio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Both studies were empirically tested with field survey data conducted in the US (online) and South Korea (offline). The present analysis explores an important but largely neglected phenomenon of the connection between idea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and offers new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into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realizing the benefit of team creativity.
혁신은 역동적인 비지니스 환경에서 운영되는 현댖 조직의 성장과 경쟁력에 중요하며, 팀은 조직 혁신의 가장 필수적인 원천이 되고 있다 (Anderson et al., 2014; Lopez Cabrales et al., 2009). 실현되지 않은 창의적 아이디어는 무용지물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논문은 혁신적 아이디어 창출과 팀에서의 구현을 연결하는 중간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팀은 특히 혁신과 같은 비일상적인 작업을 수행 할 때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산업 맥락에서 독립적으로 작r하지 않는다 (Ancona & Caldwell, 1992; Gist, Locke, 1987; Yan & Louis, 1999). 따라서 팀들은 혁신적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 활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 논문은 혁신 구현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팀들이 다양한 내부 및 외부 활동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내부 및 외부 활동이 혁신적 아이디어 창출의 초기에 근본적인 동기유발 요인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는 능동적이고 수동적인 동기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창출한 팀이 혁신을 이루기 위해 내d부 자원(즉, 팀 구현 효율성 및 팀 협력)과 외부 자원(즉, 외부 자원 획보 및 외부 합법성)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검토한다. 두 번째 연구는 능동적이고 수동적인 동기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창출한 팀이 팀의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 자원 활용 및 외부 자원 획보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검토한다. 두 연구 모두 능동적인 동기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창출한 팀들이 내부 자원을 활용하는 데 유리하지만, 외부 자원을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지, 반면에 수동적인 동기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창출한 팀은 외부 자원을 확보하는 데는 유리해도, 내부 자원을 활용하는 데는 불리한지를 보여준다. 특히, 두 번째 연구에서는 외부 경계 스패닝 (boundary spanning) 리더십과 내부 통합 (internal integrating) 리더십이 팀의 내부 및 외부 자원 조달 행위에 어떻게 관여하여 팀 혁신 실행 효과성을 이끌어 내는지를 보여준다. 두 연구는 각각 미국(온라인)과한국(오프라인)에서 실시한 고객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이 논문은 그동안 많이 간과되었던 팀에서 아이디어가 도출되고 나서 어떻게 실행에 이르는지의 과정을 탐구하고, 그 전환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7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7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