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설계수법으로서 어린이 놀이네트워크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봉희-
dc.contributor.author박소람-
dc.date.accessioned2019-10-21T01:40:58Z-
dc.date.available2019-10-21T01:40:58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93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8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93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19. 8. 전봉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 우리나라 도시의 지역커뮤니티 유동성이 증가하여 기존의 어린이 놀이환경이 사라지고 놀이환경을 민간의 공급에 의존하게 되면서 공공성이 담보될 수 없는 현재 상황에서, 어린이의 일상행위인 놀이를 도시공간에서 어떻게 담보할 수 있으며, 어린이놀이환경을 아동별 연령발달의 특수성에 적합하도록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 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이 전용시설로서 규정된 거점을 도시에 균질하게 제공하는 기존의 도시설계방식 뿐만아니라 놀이환경으로서 도시의 다양한 시설과 그들을 연결하는 사이공간에 대한 집합적 고려까지 담는 도시형성 방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이제껏 도시의 이용자로서 고려되지 않았던 취학전어린이를 주요한 도시의 이용자로 설정하게 되면 인간 전체 연령의 범주에서 가장 작고 신체발달이 덜 이루어진 대상을 도시설계시 포용할 수 있게 되며 그들을 동반하는 일반성인을 놀이환경 논의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이면서 연령 세분화된 도시설계방법론적 논의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도시 곳곳에 개별로 흩어져 이용되던 개별놀이환경을 통합적 관점에서 논의·활용할 수 있도록, 현대도시의 어린이놀이환경(Play-Environment)을 재정의하고 구조화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놀이네트워크(Play-Network)를 핵심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어린이 놀이네트워크는 놀이 개념을 매개로 고도로 상호연결된 사회적·공간적 도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어린이는 물론 사회구성원 전체가 다양한 행위를 선택할 수 있는 놀이의 장(場)으로서 도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거시적인 차원인 사회적 인프라와 미시적 차원인 네트워크되는 물리적 공간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놀이네트워크와 공간적 놀이네트워크라고 명명하였다.
이 두 가지 개념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놀이환경을 사회적놀이네트워크에 의해 의도적으로 기획되는 기획놀이환경(Planned Play-environment)과 공간적 놀이네트워크에 의해 자발적으로 발현되는 후발적놀이환경(Generated play-environment)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이 두 가지 놀이환경이 균형 있게 발전할 때 어린이를 포용하는 놀이네트워크가 한층 견고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고찰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설계적 수법으로서 어린이 놀이네트워크가 가져야 하는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놀이네트워크가 발생하고 활용되는 양상을 다양한 선진사례를 중심으로 구조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적놀이네트워크 사례로는 공공주체와 준공공주체에 의해 전개된 최근 사업을 들었다. 그리고 공간적놀이네트워크 사례에는 어린이들이 선호하여 놀이로써 이용하는 다양한 도시공간이 두루 포괄되었다.
연구를 위한 분석 자료로는 발표 및 보고서 자료, 관련 도면 및 문헌, 기타 뉴스와 신문기사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바는 다음과 같다.
도시설계수법으로서 놀이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개별놀이환경의 설계요건을 일반화하고 놀이네트워크의 계획요건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별놀이환경의 설계요건을 도출하였다. 먼저 후발적놀이환경은 일상환경으로서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방법으로 놀이어포던스 (Play-Affordance) 디자인을 통해 놀이환경을 이동경로화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놀이환경을 이루는 원형적 공간요소의 가변화를 통해 놀이환경을 일시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놀이환경을 양적으로 늘려 일상에 더 가깝게 만드는 것이다. 세 번째로 놀이환경을 이루는 원형적 공간요소를 재해석하여 도시공간을 내부화하는 것도 놀이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후발적놀이환경의 효과적인 설계 가이드로 제안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획놀이환경을 커뮤니티 허브로써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방법은 전문인력이자 프로그램으로서 놀이보조자를 개입시켜 기획놀이환경이 적극적으로 도시에 삽입되고 놀이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기획놀이환경을 놀이환경 제작,실험 가능한 공간을 갖춘 도시시설에 접합시킴으로써 기획놀이환경의 사회적놀이네트워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도시설계수법으로서 놀이네트워크 계획요건을 도출하였다. 먼저 준공공주체의 도입이 요구된다. 준공공주체의 활약은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연결고리(Connector)이자 조정자(Coordinator) 역할을 통해 도시에서 놀이의 공공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충족하게 할 수 있게 하며 놀이환경 기획자와 이용자를 통합시킴으로써 놀이네트워크적 기획제작과 실재 이용의 간극을 줄인다. 다음으로 준공공공간을 계획하는 것이다. 방임된 공공공간은 물리적 공간변형과 커뮤니티설계를 통해 내부화를 이루어 통제/관리되는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사유공간은 공공이 사용하는 영역에 대한 설계의 공공성을 높이고 다양한 이벤트를 장소에 공급함으로써 어린이의 놀이에 관대한 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다. 이때 도시구조에 따라 입체도시에서는 보행광장이나 공개공지 등과 같은 공공화된 사유공간이 서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된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반면 평면도시에서는 사유공간의 경우 사회적 계약에 따라 공간 일부를 공공화된 놀이환경으로 변모시키기 용이하도록 보행로와 사유공간의 공간적 연결이 개방적이면서 통제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공공공간은 프로그램을 통해 점유의 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놀이잠재력을 내장함으로써 준공공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놀이네트워크는 놀이환경을 둘러싼 다양한 관계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시 말해 어린이와 양육자, 놀이보조자와 기타 사용자들, 개발자와 토지소유자, 공무원 등 다양한 주체에게 각자 입장에서 다양한 활동의 가능성을 제공해주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놀이네트워크가 현대도시의 사회적 요청을 해결하는 도시설계수법으로서 상당한 가능성이 있음을 규명한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가 도시를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탐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시에서 어린이의 활동가능 영역이 확장될 뿐만 아니라, 다세대의 도시민들이 즐거움과 연합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의 가능성이 크게 발생할 것으로 기대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started from raising problems on how a play, childrens daily life is guaranteed in a urban space and on what methods to provide childrens play-environments are so that their play-environments can be suitable fo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rens age development in the present situation that publicness can be guaranteed as fluidity of modern Korea cities local communities rises and original childrens play-environments disappear and their play environments are relied on private provisions.
For solving this, this study judged that methods for urban formation that embody collective considerations on cities various facilities and spaces connecting them as play-environments as well as existing urban design methods to identically offer cities regulated bases as facilities for only children are necessary. Also, if preschool children who havent been considered as users of cities is set as main users of cities, objects who are the smallest and physically less developed can be embraced when urban design proceeds. general adults accompanying them can be included into discussions on play-environments. Thus, this study judged that this can be developed into methodological discussions for urban design segmentalized by age as well as universal.
From the viewpoint of this, this study redefines and structures modern cities children play-environments so that each play-environments which have individually used in city can be discussed and utilized from the integrative viewpoint. For doing this, this study set child-play-network (play-network) as the main concept. play-network plays a role in forming cities as places for plays that both children and every social member can choose a variety of actions by composing the highly interconnected social and spatial city system through the play concep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social infrastructure, the macroscopic level and the networked physical space, the microscopic level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wo things were named the social-play-network and spatial- play-network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two concepts, This study divided child play-environment into the planned-play-environment intentionally planned by the social-play-network and the generated-play-environment naturally generated by the spatial-play-network. It was because this study judged that the play-network that embraces children can be much firmer through this division when two play-environments develop equally. And then, this study intended to draw directions that the play-network should have as the method for urban design based on considered results. For doing this, this study intended to structure aspects that the two play-networks occur and are utilized, focusing on advanced cases. First, there were recent urban projects developed by official bodies and quasi-official bodies as cases of the social- play-network. And in cases of the spatial-play-network, various urban spaces that were used as plays preferred by children were all included.
Analysis materials for the study such as materials for the presentation and report and related drawings and literatures and any other news and newspapers were us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drew requirements for a design of the play-network by generalizing requirements for a design of individual play-environments as urban design methods.
First, this study drew requirements for the design of individual play-environments. The Generated-play-environment should be designed as the daily environment. The first method for doing this is to make the play-environment a path through play-affordance design. The second method is to make the play-environment be more quotidian by generating the temporary play-environment through changing space elements of the prototipycal play-environment to portable. The third method is to internalize urban spaces by reinterpret space elements of the prototipycal play-environment. The planned-play-environment is provided as the community hub. The first method for doing this is to interven play assistants as a professional worker and program so that the planned-play-environment can be actively inserted into the city and form a play-network. The second method is to improve functions of the planned-play-environment by combining the planned-play- environment and the urban facility which equipped with spaces that the play spaces can be produced and experimented.
Second, requirements for the plan of the play network were drawn as the method for urban design. The introduction of quasi-official bodies is required. Limitations that occur in developments of private bodies and public bodies can be reduced by making quasi-official bodies intervene when the play-network led by private bodies or public bodies are planned. Next, quasi-public spaces are to be planned. Neglected public spaces are changed into controlled and managed spaces by internalizing them through physical space changes and community designs. Depending on urban structures shapes,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mplex cities, private spaces which are used by the public such as a lobby or a roof garden and etc sh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private spaces in flat structure cities should be designed so that a part of spaces can be easy to change into the public play-environment and so that spatial connections between pedestrian road and private spaces can be open and easy to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contract. Public spaces in flat structure cities can be changed into quasi-public spaces by having play potentials so that frequencies of occupation can rise through the program.
Last, the play-network had positive impacts on different people related to the play-environment. In other words, it provided various people such as children and fosterers and play-assistants and any other users and developers and landowners and government employees with possibilities of various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act that the play-network has a considerable potential as an urban design method to solve the social demands of modern cities. Through the play-network, it is expected that children will be able to explore the city actively and voluntarily, so that the possibility of children 's activity in the city will be expanded, and the environment where the multigenerational city people will be able to enjoy and unite is expected to occu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0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2
1.1.1 연구의 배경 02
1.1.2 연구의 목적 06
1.2 선행연구와 용어의 정의 08
1.2.1 선행연구 08
1.2.2 용어의 정의 16
1.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20
1.3.1 연구의 대상 20
1.3.2 연구의 방법 및 분석자료 23
1.4 연구의 흐름 26

제 2 장. 어린이 놀이네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 27
2.1 도시건축에서 놀이개념의 정의 및 형성과정 28
2.1.1 놀이의 다의적 함의 28
2.1.2 도시설계 방법론으로서 놀이개념 적용의 당위성 29
2.1.3 놀이의 일상도시 적용방식으로서 놀이어포던스 32
2.2 놀이네트워크의 구조 34
2.2.1 놀이네트워크 개념의 정의 34
2.2.2 두 가지 성격의 놀이네트워크 37
(가) 사회적 놀이네트워크 37
(나) 공간적 놀이네트워크 41
2.2.3 놀이네트워크의 구성단위 45
(가) 어린이놀이환경 개념의 정의 46
(나) 후발적놀이환경과 기획놀이환경 49
(다) 원형(原型)적 놀이환경의 구성요소 53
2.3 놀이네트워크에 대한 과거 논의 60
2.3.1 치유수단으로서 놀이터 네트워크 60
2.3.2 외부환경 통합을 위한 놀이네트워크 66
2.3.3 놀이의 일상화 방안으로서 다핵적 놀이네트워크와 3차원적 놀이네트워크 69
(가) 다핵적 놀이네트워크 69
(나) 3차원적 놀이네트워크 72
2.4 놀이네트워크의 현대적 위상 75
2.4.1 현대 도시삶의 변화양상 75
2.4.2 놀이네트워크 관련 담론의 형성 77
2.5 종합적 분석 81

제 3 장. 사회적 놀이네트워크와 기획놀이환경 83
3.1 광역적 장기 캠페인 :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한국 85
3.1.1 실행집단의 인적네트워크 형성 및 아이디어 수집 86
3.1.2 각 관계집단의 접근방식 89
3.1.3 디자인 참여장소로서 일시적 기획놀이환경 91
3.2 국지적 단기 프로젝트 : 무릎높이 디자인 도전 런던 97
3.2.1 시민공모를 통한 공론화 99
3.2.2 실행집단별 일상으로서의 연속된 놀이환경 실험 101
3.2.3 공간생산방법론의 개발·실험장소로서 기획놀이환경 107
3.3 정책 시스템 : 바깥놀이정책 세타가야구 112
3.3.1 상위정책에 나타난 연령별 세부계획 113
3.3.2 놀이거점 확보방식으로서 세타가야구 바깥놀이정책 118
3.3.3 개인최적화된 놀이네트워크 발견방식으로서 놀이정보제공 플랫폼 121
3.3.4 참여관찰공간으로서 시스템화된 기획놀이환경 128
3.4 종합적 분석: 사회적 놀이네트워크의 기획을 통해 발생하는 기획놀이환경과 준공공주체의 역할 확장 137

제 4 장. 공간적 놀이네트워크와 후발적놀이환경 139
4.1 도시공간의 놀이네트워크적 이용특성 140
4.1.1 교육환경으로서 도시의 놀이네트워크적 이용 141
(가) 선생님/어린이 142
(나) 놀이보조자(공공,준공공)/양육자/어린이 156
4.1.2 일상환경으로서 도시의 놀이네트워크적 이용 161
4.1.3 이벤트환경으로서 도시의 놀이네트워크적 이용 169
(가) 양육자/어린이 169
(나) 놀이보조자(민간)/양육자/어린이 172
4.1.3 소결 : 공간적 놀이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준공공공간의 역할 174
4.2 놀이네트워크 속에서 개별놀이환경의 형태특성 177
4.2.1 평면도시의 후발적놀이환경 놀이어포던스 형태분석 178
(가) 원형적 공간요소 변형 178
(나) 원형적 공간요소 일시적 추가 186
(다) 원형적 공간요소 재해석에 의한 발생 189
(라) 위협요소 제거를 위한 발생 200
(마) 소결 207
4.2.2 입체도시의 후발적놀이환경 놀이어포던스 형태분석 209
(가) 방(室)의 원형적 공간요소 변형 212
(나) 보행광장에 재해석된 원형적 공간요소 적용 218
(다) 원형적 공간요소로서 수직동선 재해석 236
(라) 소결 240
4.3 종합적 분석: 후발적놀이환경으로서 준공공공간의 형태 242

제 5 장. 도시설계수법으로서 어린이놀이네트워크의 계획 244
5.1 놀이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개별놀이환경 설계요건 245
5.1.1 일상환경으로서 후발적놀이환경 형성 245
(가) 원형적 공간요소의 놀이어포던스 디자인을 통한 이동경로화 246
(나) 원형적 공간요소의 가변화를 통한 일시적 생성 250
(다) 원형적 공간요소의 재해석을 통한 도시공간의 내부화 253
5.1.2 커뮤니티 허브로서 기획놀이환경 제공 256
(가) 놀이보조자의 개입을 통한 놀이의 적극적 도시삽입 256
(나) 놀이네트워크 실험 가능한 환경과 접합 259
5.1.3 소결 263
5.2 도시설계수법으로서 놀이네트워크의 계획요건 266
5.2.1 준공공주체(Quasi-Public Organization)의 도입 267
5.2.2 준공공공간(Quasi-Public Place)의 형성 270
(가) 입체도시의 준공공공간 270
(나) 평면도시의 준공공공간 273
5.3 도시설계수법으로서 어린이 놀이네트워크의 의의 276

제 6 장. 결론 280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어린이 놀이네트워크-
dc.subject도시설계수법-
dc.subject취학전어린이-
dc.subject사회적 놀이네트워크-
dc.subject기획놀이환경-
dc.subject공간적 놀이네트워크-
dc.subject후발적놀이환경-
dc.subject준공공영역-
dc.subject놀이어포던스-
dc.subject.ddc690-
dc.title도시설계수법으로서 어린이 놀이네트워크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93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93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