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와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장벽 요인별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Barriers Factor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한려

Advisor
정철영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학생 진로진로의도기업가 진로의도창업창직기업가 정신기업가 자기효능감기업가 기민성진로장벽 요인Mplus 구조방정식 분석구조방정식 조절 모형조절된 구조방정식 모형이중매개효과College Student Career Development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EntrepreneurshipEntrepreneurial Self-EfficacyEntrepreneurial AlertnessCareer Barriers FactorsMplu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Structural Equation Control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2019. 8. 정철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In order this purpose the difference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in rel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as analyzed. Second, the structural model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were examined. Third, the direct relationship among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was investigated.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Fifth, the structural effects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of college students were examined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economic difficulties, family / acquaintances opposition, lack of career information, and lack of knowledge / skill / experience as career barrier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sampling size was set to 490 people in seven universities using stratification, clustering, and ratio sampling. The survey tools consisted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economic difficulties, family / acquaintance opposition, lack of career information, and lack of knowledge / skills /experience. The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measuring tools wer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text. All measurement tools have confidence and validity.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May 2019, and 447 of the 490 questionnaires distributed were collected, and 445 of the collected 447 parts were excluded from the outliers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In addition, Mplus 8.3 was use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o analyze direct,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among variabl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inference statistics was judged based on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of college students reasonably predi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econd,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of college students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Thir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Fourth,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family / acquaintances, 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knowledge / skill / experience as moderating factors had moderating effects, and economic difficulties were moderated. It appeared to be ineffec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grade level, major, university location, number of start-up classes, and participation in start-up clubs. Through this, the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of college students are suitable to explai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have predictive validit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rough thi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are suitable for predicting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 can be contributed as an important predictor in form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in order to raise the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the entrepreneurship of college students, which is explained by innovation, risk taking, and enterprising, and support them through education or related experiences so that they can be confident as entrepreneurs. need. It is also required to support them through education or work experience to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alertness to explore, coalesce and evaluate information as a competency component required for entrepreneurs. Fourth, as a barrier to career, family / acquaintances opposition, lack of career information, and lack of knowledge / skill / experience have negatively regulat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the process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thus overcoming career barrier factors through policy development or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entrepreneurial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to help them cope. For example, by providing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erception or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 factors or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to eliminate the career barrier factors. On the other hand, economic difficulty w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but the interaction effect with other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did not appear because the government's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is mainly focused on economic support. Fifth, as a result of conditional adjustment effect analysis, it was found that if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as low, it was highly likely to feel negative control effect of career barrier factors in the process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Therefor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can be seen as a variable that mitigates the negativ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formation process. Support is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llege career education and policy are as follows. First, an entrepreneurial career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uld be practiced in college career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that consider gender, university location, and majors. Seco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programs are needed to promot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o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career development support program, rather than individual programs, will be more effective in promoting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s for college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crete and effective policies to help colleg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s or attitudes, eliminate career barriers, or mitigate levels through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interventions. In addition to economic suppor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ways to resolve conflicts with family or acquaintances who oppose entrepreneurial career, to help them fully recognize career information about entrepreneurial career, and to improve knowledge / skill/ experience related to entrepreneurship. Helpful education or work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at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career development sites.
Next,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as a variable influencing the career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a study that considers both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he factor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is required. For example, by studying the culture and system of the university where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recent overseas studies, whether the culture or system of the Korean university is positive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or negatively. You need to check that it is working. Third, a study is needed to verify whether education for promoting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involving college students has the effect of promoting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through improving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Fourth, in addition to the career barrier factors establish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career barrier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the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process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areer barrier factors. Fifth, based on the fact tha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diffe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f multi-group analysis i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among variables set in this study, the entrepreneurial career of college students It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업가 진로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기업가 진로의도,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업가 진로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 및 기업가 진로의도 간의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 및 기업가 진로의도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구명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 및 기업가 진로의도의 관계에서 기업가 자기효능감과 기업가 기민성이 갖는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정신 및 기업가 진로의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장벽 요인으로서 경제적 어려움, 가족/지인 반대, 진로정보 부족, 지식/기술/경험 부족의 조절효과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생이며, 표집 크기는 층화, 군집, 비율 표집을 활용하여 총 7개 대학, 490명으로 설정하였다. 조사도구는 기업가 진로의도,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 및 경제적 어려움, 가족/지인 반대, 진로정보 부족, 지식/기술/경험 부족 측정 도구로 구성하였다. 기업가 진로의도,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 측정도구는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연구 맥락에 맞게 선정하여 활용하였고, 진로장벽 요인별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진로장벽 요인의 문항을 연구의 맥락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5월 중에 이루어졌으며, 배포된 490부의 설문지 중 447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447부 중 이상치를 제외하고 44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 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t검정, F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Mplus 8.3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 간의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추리통계 결과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와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 간의 구조 모형은 변인 간의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은 기업가 진로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과 기업가 진로의도 사이에서 기업가 자기효능감과 기업가 기민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와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장벽 요인으로서 가족/지인 반대, 진로정보 부족, 지식/기술/경험 부족은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경제적 어려움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는 성별, 학년, 전공 계열, 대학 소재지, 창업강의 수강횟수, 창업동아리 참여여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기업가 진로개발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은 기업가 진로의도를 설명하기에 적합하고, 변인 간 구조 관계에 대한 예측 타당도를 가진다. 이를 통하여 기업가 정신과 기업가 자기효능감, 기업가 기민성은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 예측하는 데 적합하며, 기업가 진로의도 형성에 있어 중요한 예측변수로서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혁신, 위험감수, 진취성으로 설명되는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가로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이나 관련 경험을 통해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가에게 요구되는 능력 요소로서 정보를 탐색, 연합, 평가할 수 있는 기업가 기민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교육 또는 일 경험을 통해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진로장벽 요인으로서 가족/지인 반대, 진로정보 부족, 지식/기술/경험 부족은 기업가 진로의도 형성과정에서 변인 간 관계를 부적으로 조절하였으므로, 정책 개발 또는 교육을 통해서 진로장벽 요인을 극복하거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개발 지원이 필요하다. 예컨대, 기업가 진로의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진로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장벽 요인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변화시키거나, 실질적인 지원을 마련하여 진로장벽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경제적 어려움은 독립변인으로서 기업가 진로의도에는 부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다른 변인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정부의 기업가 진로개발 지원이 주로 경제적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다섯째, 조건부 조절효과 분석 결과, 기업가 자기효능감이 낮을 경우 기업가 진로의도 형성 과정에서 진로장벽 요인의 부적인 조절효과를 느낄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업가 자기효능감은 기업가 진로의도 형성 과정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볼 수 있고, 대학 진로교육 현장에서 기업가 진로의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특히 대학생이 기업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제시한 대학 진로교육 현장 및 정책 개발을 위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기업가 진로개발 정책이 마련되고, 대학 진로교육 현장에서 실천되어야 한다. 특히 성별, 대학 소재지, 전공 계열을 고려한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 촉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개별 프로그램 보다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적절한 진로교육 개입을 통해 대학생이 인식하는 진로장벽 수준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경제적 지원 외에도 기업가 진로에 반대하는 부모나 지인과의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시하거나 기업가 진로에 대해 진로정보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업가 진로와 관련된 지식/기술/경험을 증진하는 데 실제적인 효과가 있는 교육이나 일 경험이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개발 현장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기업가 진로의도 형성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 기업가 진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의 내적 특성 및 내/외부 진로장벽 요인과 더불어 대학의 환경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예컨대, 최근 국외 연구에서 다수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대학의 문화, 대학의 제도 등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대학의 문화나 제도가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 개발을 촉진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이 참여한 기업가 진로의도 촉진을 위한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 향상을 통해 기업가 진로의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진로장벽 요인 외에 추가적인 진로장벽 요인을 탐색하고,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 형성과정에서 해당 진로장벽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가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집단별로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다면,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07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33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