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중적 매체를 통한 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링 연구 : Graphic Design Storytelling Through Multiple Media : Project Moment(ou)s
Moment(ou)s 작품 연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예린

Advisor
김경선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콘텐츠 디자인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링다중 매체일상기억순간Content DesignGraphic Design StorytellingMultiple MediaEverydayMemoryMoment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2019. 8. 김경선.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an exploration of the versatile storytelling possibilities in Graphic Design, and a study in Graphic Design Practice about memories of everyday Moment(ou)s. Based on original content, self-initiated design work was created to contain a meaningful message. The process had an aim to go beyond the simple illustration of a story, hence I experimented with connotative and metaphoric methods and strategies.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I investigated theories of Content Design and Storytelling. Content Design creates value beyond problem-solving. Stories, which is a type of content, are a creative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based on one of the basic human needs as a Homo Narrans.
Several different terminologies refer to Storytelling, but this dissertation chose the term Storytelling for it implies media conversion, realism, interaction, and relevance to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Narrative Studies, a Story is a sequence of events and Telling is the discourse of expressing that Story through media. Stories were orally passed through generations until the invention of the written language, and subsequently, the printing press, which then allowed these narratives to be preserved and handed down through books. With the rise of the computers and the internet, these new tools shifted the focus of Storytelling to social media and digital content, and media conversion.
Graphic Design Storytelling uses action, emotion, and the senses to communicate stories, and even though visual signs may seem non-sequential and synchronous, their structure can imply time and change, and therefore narrativity. Furthermore, the seemingly fragmented and limited storytelling of a fixed image can be compensated by the process of using Scripts in Cognition as explained in Cognitive Narratology.
Media Conversion is a method of telling a single story in many different media. One of the sub methods of Media Conversion is Cross-media Storytelling which uses the mechanism of metaphoric condensation. The other sub method is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uses mechanism of metonymic displacement.
A process model of creating Graphic Design Storytelling through Multiple Medi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foundation. The process begins with concepting, and goes through the Media Conversion Mechanism, the selection of subject, selection of method, and application of visual device, and then concludes with the final design.
The main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are three autobiographical stories from my time when I lived in New York: the moment when my jetlagged nephew, who was visiting me in NYC from Seoul, had woken me up at 3am and started playing in my knee-high boots, the moment in a local NYC pharmacy when I started thinking about my Dad in Seoul after I caught a fleeting glimpse of a stranger's trench coat, and the moment in the snowy spring night in NYC when I miraculously found a lost bottle cap in the snow.
The common keywords of these stories are (Momentous) Moments from my Everyday Memories. I did extensive research on these topics and deduced the following Design Methodologies: 1) to combine from Philosophies by the Everyday of Michel de Certeau, 2) to magnify, to layer, simultaneity, and la durée from the theories about Memory and Time by Henri Bergson, 3) simultaneity, and subjective time from the theories of the Instant by Gaston Bachelard.
The Final Design Project was created in five steps: 1) the layered tracing paper Posters that expressed reminiscence and the beginning of the Moments, 2) the Instagram feed which was a sequence of magnified fragments that sparked the curiosity of the users 3) Motion Moving Posters that dramatically magnified and repeated the expansion of the moments 4) books that finally unfolded all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details of the three stories, and 5) a comprehensive storytelling of the exhibition where all the fragments of the previous storytelling came together into a harmonious synthesis.

This study, firstly, elevates the viewers Story Experience by providing various symbolic storytelling methods, secondly, communicates a positive and hopeful message of transformation and transcendence through the elevation of the Everyday and the Expansion of the Moment in the content and the design, and lastly, provides a practical process guide that a future Content Designer or a Graphic Design Storyteller could follow.
본 논문은 그래픽 디자인의 다양한 스토리텔링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서 일상의 기억 속 (중대한) 순간들, 즉 Moment(ou)s에 대한 그래픽 디자인 작품 논문이다. 연구자는 본인의 자작 스토리를 바탕으로 작가 주도형 메시지가 있는 콘텐츠 디자인을 제작하려고 주력하였고 또한 기존의 설명적인 삽화 형식이 아닌 암시와 상징을 사용한 방식과 전략을 통해 실험적 스토리텔링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기 위해 콘텐츠의 개념과 문제 해결만이 아닌 가치 창출의 의미를 가진 콘텐츠 디자인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콘텐츠 중에서도 이야기는 인간의 호모나랜스적인 근원적인 욕구에서 발생하는 창조적인 소통 행위이다.
이야기하기를 의미하는 용어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매체 전환성, 현장성, 상호작용성 및 문화 콘텐츠와의 관련성 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스토리텔링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서사학에 의하면 스토리란 연속성을 가진 사건들을 의미하며, 텔링은 그 스토리를 매체 등으로 표현하는 담화이다. 스토리텔링의 역사는 구전 방식으로 시작하여 문자언어로 계승되었고 최근에는 컴퓨터의 발달로 SNS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체 전환적인 특성이 강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링은 액션, 감정, 감각을 통해서 스토리를 소통하며, 시각 기호는 비선조성(非線條性)이고 동시다발적인 듯하지만 그 시각적 구조 안에 시간성과 변화를 표현함으로써 서사성을 내포한다. 또한 정지된 이미지의 파편적인 스토리텔링에 있어서의 제한적인 점은 인지서사학의 스크립트(Script)를 이용하는 스토리 인지 과정으로 보완이 된다.
매체에 있어서는 한 스토리를 여러 가지 매체로 텔링하는 것을 매체 전환이라고 하며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는 은유적 압축의 메커니즘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는 환유적 전위의 메커니즘이 이용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링 창작 과정의 프로세스 모델을 성립하였다. 이 프로세스는 발상에서 시작하여, 매체 전환 메커니즘, 표현 대상•소재 선택, 표현 방법 선택, 시각적 장치 적용, 최종 디자인의 과정으로 진행이 된다.

본 논문의 콘텐츠는 연구자 본인의 자전적 스토리 세 편으로, 서울에서 뉴욕으로 놀러 온 조카가 새벽 3시에 나의 부츠를 신고 노는 순간, 뉴욕 동네 약국에서 스치는 낯선 남자의 외투 끝자락을 보고 서울에 계신 아버지 생각을 하는 순간, 뉴욕에서 어느 봄눈이 오는 밤, 눈 속에서 잃어버렸던 병뚜껑을 찾는 순간의 스토리이다.
이 스토리들의 공통 키워드는 일상의 기억 속 (중대한) 순간들이며 이 개념들에 대해서 인문학적 문헌 연구를 통하여, 세르토의 일상의 이론에서 재조합의 원리를, 베르그손의 기억과 시간의 이론에서 확대, 동시성, 중첩 그리고 지속의 원리를, 바슐라르의 순간의 이론에서 동시성과 주관적 시간의 원리를 도출한 뒤 디자인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최종 디자인 결과로는 기억의 회상, 순간의 시작을 알리는 트레이싱지의 중첩 포스터 시리즈, 확대된 파편들을 연재하여 보는 이에게 궁금증을 유발하는 인스타그램 연재, 순간의 확장이 극적으로 확대되어 반복되는 영상 무빙 포스터, 스토리의 디테일과 인과관계가 드디어 펼쳐져 공개되는 북 디자인, 각자의 파편들이 모두 모여 종합적인 복합체를 형성하는 전시의 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링으로 디자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다양한 상징적 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링 방식을 통하여 보는 이의 스토리 경험을 상승시키고, 둘째, 콘텐츠와 디자인을 통하여 일상의 상승과 순간의 확장으로 초월적 희망의 메시지를 소통하며, 셋째, 미래의 콘텐츠 디자이너와 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러들에게 실용적인 디자인 지침서를 제공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09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2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