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악 기악합주의 조형적 표현연구
다시점(多視點)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해리

Advisor
김성희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국악 기악합주다시점(多視點multi-viewpoints)중첩식 구성나열식 구성조화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미술학과,2019. 8. 김성희.
Abstract
본 논문은 국악 기악합주를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본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하며, 그 배경이 되는 동양화의 다시점(多視點)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전통 뿐만 아니라 현대에서도 활용가치가 높은 다시점 연구를 통해 동양화의 지평을 넓히고, 작품분석을 통해 창작의 의의를 밝히고자 목표하였다.
다시점(多視點)은 회화에서 다원적인 시점이 한 화면에 조화롭게 공존하도록 하는 표현법이다. 이를 통해 시간의 질서를 부여하고 다양한 시점에서 관찰한 대상을 동시에 담아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시점에 대한 선행연구와 전통화론을 연구하고, 다시점의 특징을 보이는 전통과 현대 회화작품들을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본인의 2002년에서 2019년까지 17년간의 회화 작품들이 어떻게 다시점을 활용해서 비가시적인 국악을 조형했는지 살펴보며, 앞으로 어떤 역할과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지 예상해보고자 한다.
국악 기악합주의 조형적 표현을 다시점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가장 큰 이유 2가지는 음악이 가지는 시간성과 합주형식이 가지는 조화에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점을 가지고 살펴보았다. 첫째, 전통 동양화에서 왜 다시점을 중심으로 관찰하고 표현하였나, 둘째, 동양화와 국악은 어떠한 면에서 상호 연관성을 가지는가, 셋째, 동양화의 다시점을 활용해 국악의 기악합주를 조형화한 본인 작품의 의의는 무엇인가 등의 관점에서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다시점은 미술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문학·공학 등 다방면에서 주목하는 활용가치가 높은 미술 개념으로, 포괄적이고 유기적인 영향력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본인 작품분석을 위해서는 그 배경이 되는 미술과 음악의 관계성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다. 이는 미술사를 중심으로 미술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음악사와 음악교육 등 음악분야에서도 연구되고 있는 흥미로운 주제이다.
제2장에서는 다시점에 포함된 시간성과 조화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전통 동양화론을 연구하였다. 동양화에서 다시점이 발달하게 된 주요배경을 산수화의 주요이념인 와유(臥遊)사상, 가거(可居)사상 등에서 찾았다. 곽희(郭熙)는 『임천고치(林泉高致)』에서 멀리서 세를 취하고 가까이에서 질을 취한다 [遠望取勢 近看取質], 산의 모습이 걸음마다 옮겨간다 [山形步步移], 산의 형상은 면마다 본다 [山形面面看] 등을 통해 다시점의 관찰방식을 알려주고 있다. 구체적인 공간구성법은 곽희의 삼원법(三遠法), 한졸(韓拙)의 삼원법(三遠法), 석도(石濤)의 분강삼첩양단(分彊三疊兩段) 등의 화론에서 엿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다시점은 한 화면에 다양한 산수 공간을 그리기 위해 발달하여 관찰과 표현에 있어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조형예술의 공간과 시간상의 제약을 초월하면서 다원적인 조화를 추구한다.
제3장에서는 곽희의 화론을 중심으로, 다시점을 활용해 구성한 회화작품들을 두 가지 경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면면이 관찰한[面面看] 장면들을 중첩해서 재배열한 중첩식 구성, 걸으면서 관찰한[步步移] 여러 장면들을 나열한 나열식 구성으로 구분하였다. 중첩식 구성을 보이는 대표적인 전통회화에는 정선의 와 강세황의 등이 있다. 나열식 전경형 구성은 이인문의 , 심사정의 , 이성길의 등의 전통 회화에서 보인다. 이야기 서술형으로 나열식 구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전통 회화로는 안견의 , 정조 대왕 때의 , 헌종 때의 등이 있다. 다시점에 의한 표현법은 전통 동양화에서만 보이는 특징이 아니라 서양의 고대에서 시작해 세잔(Paul Cézanne)을 거쳐, 호크니(David Hockney)에 이르기까지 현대미술에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동양화의 다시점과 국악 기악합주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밝히면서, 본인의 작품이 어떻게 다시점을 활용하여 국악을 조형화하고 있는지 세 가지 구도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국악이 가지는 다양한 특징을 관찰하고 드러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첩식 구성을 사용해 작품 , , , 등을 창작하였다. 국악의 시간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품 , , 등을 통해 나열식으로 화면을 구성하였다. 더 나아가 최근 작품 에는 중첩과 나열을 혼합해서 국악 기악합주의 조화로움과 시간성을 함께 표현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인 작품에 전반적으로 나타난 다시점이라는 화면구성 원리 특징 외에, 선(線), 색채 등 조형적 특징과 그 표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작품에서 선적인 요소는 동양화의 전통적인 용필법(用筆法)과 용묵법(用墨法)을 활용하는 방법 외에도 옻칠화, 설치작품, 여백을 활용하는 등 여러가지 기법으로 표현되었다. 색채는 동양화의 기본 설채법(設彩法)을 중심으로, 옻칠화, 디지털 프린트 등을 통해 표현하였다. 본인의 에 쓰인 12율(律) 설채법은 『악학궤범(樂學軌範)』의 5성 도설(五聲圖說), 색채학 등을 통해 음(音)과 색(彩)의 상징성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더불어 전시공간의 효율적인 공간배치를 위해 전통 표구기법인 장황(裝潢)을 연구하였다.
제6장은 전체 논문을 정리하고 핵심을 다시 짚었으며,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고민과 포부를 밝히면서 끝맺고 있다.
본 연구는 비가시적인 국악을 전통회화의 다시점 개념을 통해 조형화 함으로써, 동양 전통회화의 구도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게 하였다. 다시점을 활용한 회화는 동양화의 사차원성, 즉 시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비시각적인 소재까지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나아가 다시점은 객관적으로 관찰 대상의 전면을 보여주지만, 획일적이고 위계적인 질서가 아닌 다원적인 조화를 추구하는 이 시대의 융합적 가치도 포함하고 있다. 본인의 작품 및 연구가 현대 동양미술의 지평을 넓히고, 창의적인 조형감각을 일깨우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A Study o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Ensemble
- Emphasizing Multi-Viewpoint -

This thesis is based on the authors artworks that show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raditional instrumental ensemble and studies about the multi-viewpoint[多視點] of the oriental painting that formed the basis of the ensemble. The thesis aims to broaden the spectrum of oriental painting in general through the study of multi-viewpoint which proves to be highly useful in not only traditional but also in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 and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uthors works.
Multi-viewpoint is an expression method that allows a pluralistic point of view to co-exist in harmony on a singular screen. Through this method, a timeline is constructed and the screen is able to capture the targe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is thesis studies the preceding works on multi-viewpoint along with theories on traditional painting, and analyses and categorize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rtworks that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viewpoint. Through these works, the thesis further examines the artworks created by the author during 2002-2019 on how the artworks applies multi-viewpoint to visualize traditional music, and their future roles and influence.
The two major reasons for analyzing the formative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ensemble are the temporality of music and the harmony an ensemble presents. To perform the analysis, this thesis studies the topic with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why focus on the examination and expression of multi-viewpoint in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Second, how does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correlate? Thir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authors work that displays the formative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ensemble?
Chapter 1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s well as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study. Multi-viewpoint is an artistic concept with high utilization value not only in art related field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and engineering which requires a study on its comprehensive and organic impact. In order to analyze my artwork with the con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usic must be mentioned as the foundation of the analysis. This relationship poses an interesting topic that is being studied in the field of music including music history and music education. and is also currently being handled in the field of art mainly in art history.
Chapter 2 studies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theor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ime and harmony contained in multi-viewpoint. It looks to the idea of WaYu(臥遊) and GaGeo(可居), the key concepts in landscape painting to search for the main reason and background to the development of multi-viewpoint in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Guo Xi(郭熙) explains the observational methods of multi-viewpoint by stating Capture the form at a distance, and capture the essence at a closer range[遠望取勢 近看取質], The landscape shifts with every step[山形步步移], The form of landscape must be observed from each sides[山形面面看] and so on in his scripts『ImCheonGoChi(林泉高致)』. Detailed spatial placements are hinted in painting theories such as Guo Xis Law of Three Viewpoints[三遠法], HanZol(韓拙)s Law of Three Viewpoints[三遠法] and Seokdo(石濤)s FenGangSamCheopYangDan(分彊三疊兩段). Traditionally, multi-viewpoint implies a chronological theme in its observation and expression as it was developed in order to paint diverse landscapes and its space on a single screen. Through this, it allows the painting to break fre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pace of fine arts to pursue a pluralistic harmony.
Chapter 3 analyzes the paintings that were formed using multi-viewpoint by dividing them into two tendencies based on Guo Xis theory on paintings. The Overlapping composition types are the paintings that overlapped sceneries from different sides and rearranged those viewpoints. The Sequential composition types enumerate each scenery that were observed whilst walking onto a single screen. Some of the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that exhibit overlapping compositions include JeongSeons and KangSeHwangs . Sequential compositions of sceneries can be found in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such as LeeYinMuns , ShimSaJeongs and LeeSungGils . Traditional paintings that are demonstrations of sequential compostions of epic narrations are AnGyeons , and . Expressive painting methods based on multi-viewpoint are not observed in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but also in Western paintings from traditional paintings to Paul Cezanne and still being explored by contemporary artists such as David Hockney.
Chapter 4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viewpoint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and the ensemb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whilst looking into how the authors artworks uses multi-viewpoint to visualize Korean music by dividing authors artworks 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omposition. The Overlapping composition organization method was used for artworks such as , , , trying to observe and demonstrate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equential organization method was used in , , aiming to emphasize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urthermore in the recent work, , both methods were applied to express the harmonistic and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ensemble.
Chapter 5 explains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authors artworks such as lines and colors, and their expressions, besides the general screen composition characteristic that they share (multi-viewpoint). The linear elements in the artworks are expressed through a variety of techniques such as lacquer[Ott(漆)] painting, installation works, use of margins as well as the usage of traditional brushes and usage of Muk(墨)[筆墨法]. The colors were expressed through lacquering, digital printing, etc, based on the basic painting method of oriental painting, coloring technique [設彩法]. The 12 ratio coloring technique used in is a result of the studies of the symbolism of color and sound through theories such as the 5 SeongDoSeol(五聲圖說) from 『AkHak GweBeom(樂學軌範)』 and chromatics. Further studies on the traditional sign language method framing[裝潢] for effectiv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Chapter 6 summarizes the whole paper and re-examines the main points of the thesis. It concludes with an explanation of the possible barriers and aspirations of future research projects.
This study is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composition methods through the formulation and visu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multi-viewpoint. Painting using multi-viewpoint pose the potential visualization and expression of the invisible through incorporating the fourth dimension of oriental paints, time. Furthermore, multi-viewpoint not only displays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subject objectively, but also incorporates the modern value of pursuing pluralistic harmony over uniform and hierarchical system. The authors hopes are that her works and studies broaden the spectrum of modern oriental paintings and awaken creativity in fine ar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10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7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