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인의 이상(理想) - 꿈의 판타지적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Fantastic Expression of Ideal – Dreams of Contemporary Men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기환

Advisor
차동하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이상꿈 - 욕구소시민판타지동서양의 사실적 합일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미술학과,2019. 8. 차동하.
Abstract
This dissertation for a doctorate is a sort of thesis on theories pertaining to my own works. It aims to investigate my works aesthetic features, significance, and aesthetic value through a clarification of creative motivation, content,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echniques while analyzing traditional and modern factors in Eastern and Western-style paintings by means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and art history. This research practice is considered to be useful in seeking for direction of my work.
The theme addressed in my oeuvre is my ideal and the desire to seek it out. To me, a painting is a forum in which my ideals that otherwise cannot be realized in everyday life as an ordinary citizen and my desires for them are expressed without restriction in the form of a fantasy. Although such a fantasy is in contrast with my real life, I make efforts to overcome the realities of life b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m.
What should be researched above all to concretely denote my own works are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nature of our ideals? Second, what are some ideals in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and aesthetic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What have been the solutions and how have the gaps been narrowed? Third, what are ideals in Eastern and Western art history, especially contemporary art history, and in what forms have they been expressed? Fourth, what is the content of the ideals in my work and in what forms have they been expressed? Fifth, what meaning do my works have in contemporary painting history and what are the ideals and directions I have to pursue in the future?
Research for this thesis has been carried out as follows.
Chapter 1 features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methodology, and its meaning. The frame of my thesis that views precedent studies concerning the theme of this study is explained in this chapter.
Chapter 2 reviews ideals in Northeast Asian philosophy followed by Eastern philosophy in order to clarify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my pictures. It inquires into ideals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 two pillars of Eastern philosophy, as an ideological basis in the East.
One ideal pursued by Confucianism was the attainment of an ideal human like a saint or a gentleman by reducing or removing desire: each scholar sought this in their own way. The origin of Confucianism lies in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Confucius tried to achieve the ideal human through subduing the self and returning to ritual (克己復禮) and viewing human society based on his principle of Rectification of Names (正名論) whilst Mencius intended to do so by reducing human desire anchored in morality which derived from the four Confucian virtues (四端)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courtesy, and wisdom on the basis of the ethical doctrine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 (性善說). In polar opposition to Mencius, Xunzi, an exponent of the ethical view that human nature is evil (性惡說), proposed a way to lessen or remove desire so as to attain the ideal human. The fact that Xunzis view assumed a greater rol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until the Northern Song era speaks volumes.
Complete or supreme enlightenment, emancipation from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ultimate liberation from suffering, and attaining the Buddhahood can be achieved by relinquishing desire through the Noble Eightfold Path or Truth (八正道) in Buddhism. As Confucius stated, we cannot know whether or not there is an afterlife. The greatest concern during the Han Dynasty, a period when Confucianism was the state religion and national policy, was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pparitions. When apparitions were rejected by Dong Zhongshu, realism became firmly established in the minds of Chinese people. However, Buddhism holds that humans are in a cycle of transmigration after death until they attain complete or supreme enlightenment.
As people in Northeast Asia put more emphasis on reality than an afterlife world, they attached importance to living humans since the Han Dynasty era. Since physiognomy was required to appoint veritable figures, the Doctrine of Form and Spirit (形神論) evolved. As a result of such Doctrine of Form and Spirit and the Principle of Five Elements, artists began producing figure paintings. The form and spirit were considered significant in landscape painting after it expanded to landscapes.
Since Plato presented the Idea of the Good as the supreme objective and ideal in early Western philosophy, spiritual aesthetics based on the thoughts of Plato (428-348 BC) and realistic aesthetics based on Aristotle (384-322 BC) appeared by turns and maintained until modern times. Logocentrism, a philosophical thought asserting that desires must be controlled and regulated by reason (logos) lasted for 2,000 years in Western aesthetics. As a result, a variety of methods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were adopted to reduce or remove the desire that was regarded as obstacle in seeking ideals.
As rationalism in the continent was integrated into empiricism in England in the late 18th century by Immanuel Kant (1724-1804), philosophers laid stress not only on reason and understanding but also sensibility in human cognition. Profoundly influenced by psychoanalysis of Sigmund Freud (1856-1939), Jacques Lacan (1901-1981) and Gilles Deleuze (1925-1995) brought the desire to the key problem of philosophy. Since the 20th century, the desire has been considered a momentous element to explosively evolve a capitalist society and material has been the ideal of capitalism. From now on, people lay stress on money as the supreme value of capitalism and contemporary peoples desires for this remain various, moving beyond space and time. It is time that such desires are no longer something to be curbed. Appropriating the concept of mimetic desire (desir mimetique) coined by Rene Girard (1954-2015), this thesis tries to bring light to ideals contemporary humans have in a capitalist society.
Chapter 3 features kinds and representations of ideals found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scriptures of Neo-Confucianism were rejected as the limitations of Confucian ideals were expo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nflow of Yangmingism (陽明学), a school for studying and researching that was one of the major philosophical schools of Neo-Confucianism and Kaozheng (考證學), as well as Western books and ways of thinking resulted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brought about a denial of archaism and put an emphasis on each individuals desires, preferences, and hobbies. Predicated on aesthetics seeking realistic benefits, this way of thought enabled landscape painting, landscape poetry, and genre painting to emerge in this area. When new ideals and values were called for when a new cultural class including rural commoners emerged on account of economic growth, changes in perception occurred in the ruling class. Landscape painting and poetry appeared in the field of art as a genre that could reveal humanitys ideal desires while genre painting emerged, portraying realistic life and human desire as an instinct. In addition, popular novels and pansori appear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Given how these genres expressed ideal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the desires and ideals of the people who lived during this period can be confirmed.
In the West, however, genre painting had already been germinated after the colonial wars while Surrealism and Pop Art capturing contemporary humans new ideals and dreams came about after the two world wars. The influence of Western art on the Korean art scene following Koreas emancip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on the conception and composition of my work is reviewed in this chapter through research on Pop Art and Surrealism.
Chapter 4 features ideals found in my own works. The themes and expressions of my pieces had undergone a series of changes whenever I was inspired by different ideals. Changes in the diverse desires and ideals I experienced after forming a family are portrayed in scenes in the form of a fantasy. My works produced in this proces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three subjects of family, rest, and journey, and their pictorial meaning and composition are examined in this thesis. In terms of artistic expressions, the traditional structure and fantasy composition in my showpieces that have been selected to represent such ideals and dreams are analyzed in detail.
Chapter 5 features the reestablishment of the aesthetic value and meaning of my works that represent the ideals and desires I have sought. I do my utmost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y work in the Oriental painting scene and the genre of Oriental painting itself through the content discussed thus far.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help establish Koreas cultural identity as it responds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style painting while exploring the spirit of the times as a model for contemporary humans, inheriting ideals in tradition and expression, and seeking out modern transformations. It is my hope that my works will be involved in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s an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an act as a foundation for my future work.


Kewords: ideal, dream, desire, ordinary citizen, fantasy, a realistic unity in Eastern-style and Western-style paintings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현대인의 이상(理想) - 꿈을 주제로 한 본인작품의 창작과 동기·내용·조형적 특성 및 표현기법 등을 동·서양철학(東西洋哲學)과 동서미학·미술사를 통해 동서양화에서 전통적인 요인과 현대적인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일련의 작품들이 갖고 있는 미적 특성과 그 의의와 미적가치를 구명(究明)하려는 작품론(作品論) 논문으로, 이러한 연구가 미래의 본인작품의 방향모색에도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본인작품 전반을 꿰뚫고 있는 주제는 본인의 이상(理想)과 그 이상을 욕구하는 욕망(欲望)이다. 본인에게 그림은 소시민으로서, 현실에서 가능하지 않은 일상에 대한 이상과 그에 대한 욕망들을 판타지(fantasy)라는 형식을 빌어 자유로이 토해내는 장(場)이다. 그림과 현실로 이어지는 본인의 삶은 이러한 판타지적 현실과 현실이 대(對)를 이루기는 하지만, 본인은 그 간극을 좁힘으로써 현실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본인의 작품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첫째, 본인 – 더 나아가 우리의 이상의 본질은 무엇인가? 둘째, 역사적으로 동·서양철학과 미학에서 이상은 무엇이었고, 그 해결책들은 무엇이었으며 그 간극은 어떻게 해결되었나? 셋째, 동·서미술사, 특히 현대 미술사에서 이상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형식을 빌어서 표출되어 왔는가? 넷째, 본인작품에서는 이상의 내용은 무엇이며, 어떤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는가? 다섯째, 본인작품은 현대 회화사에서 어떤 의의를 갖고 있으며, 본인이 앞으로 연구해 나가야할 이상과 그 방향은 무엇인가?가 고구(考究)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본 논문의 주제와 연관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는 본인논문의 틀을 설명했다.
제Ⅱ장에서는 본인그림의 사상적 근거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동북아시아 철학에서의 이상을 살펴보고, 그 다음에 서양에서의 이상을 살펴보았다. 동양의 경우, 사상적 근거로 동양철학의 근간인 유가(儒家)와 불가(佛家)에서의 이상을 알아보고, 그 실현방법 또한 알아보았다.
유가가 지향하는 이상은 학자들마다 각기 자신의 방법론을 통해 욕망을 줄이거나 없앰으로써 성인(聖人)·군자(君子)같은 이상적 인간을 성취하는 방법이었다. 유가의 시원(始原)은 공자·맹자이다. 공자는 인간사회를 정명론(正名論)으로 바라보며 극기복례(克己復禮)를 통해, 맹자는 성선설(性善說)을 기본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단(四端)에서 표출되는 도덕성(道德性)을 근간으로 인간의 욕망을 줄이자는 과욕설(寡欲說)을 통해 이상적 인간상을 실현하려 하였다. 그러나 맹자와 반대로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한 순자는 이상적 인간을 성취하기 위해서 사려(思慮)를 쌓고, 인위(人僞)를 익혀 예의(禮義)로 욕망을 줄이거나 없애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철학사에서 북송(北宋)까지 성악설이 더 큰 역할을 했음은 현대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불가의 이상인 정각(正覺)·해탈(解脫)·열반(涅槃)·성불(成佛)은 팔정도(八正道)를 통해 욕망자체를 끊어냄으로써 가능하다. 유가에서는, 서주(西周)의 공자가 말하듯이 사후(死後)세계는 알 수 없고, 유교가 국교(國敎)이고 국시(國是)였던 한대(漢代)에서 사회의 가장 큰 관심사는 귀신의 유무(有無)였다. 동중서(董仲舒)에 의해 귀신이 거부됨으로써 중국인의 현실주의가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사람은 사후에도 정각(正覺)할 때까지 윤회한다고 보았다. 그 결과 동북 아시아권에서 사후세계보다 현실이 중시됨에 따라 漢代이후 살아있는 인간의 가치가 중시되고, 참 인물을 등용하기 위한 현실인물의 관상법이 필요하게 되어 형(形)과 신(神)을 논한 형신론(形神論)의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신관과 오행사상(五行思想)의 결과 회화(繪畫)에서 가장 먼저 인물화가 시작되었고, 육조(六朝)시대에 산수화로 확대되면서 산수화에서도 神의 파악과 그 전함이 중시되게 되었다.
초기 서양철학에서는 그리스시대에 플라톤에 의해 선(善)의 이데아(Idea)가 최고의 목표이자 이상으로 제시된 후, 플라톤(Platon, 428∼348 B.C.)의 정신위주 미학(美學)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384∼322B.C.)의 현실위주의 미학이 시대마다 서로 바뀌면서 근대까지 유지되어왔다. 서양미학에서는 그리스시대부터 하위개념인 욕망이 상위개념인 이성(理性, logos)에 의해 통제되고 제어되어야 한다는 로고스중심주의(Logocentrism) 철학이 지난 2천 년간 지속되었다.
따라서 근대까지 동·서양은 모두 이상추구에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한 욕망을 절제하거나 끊어내려 다양한 방법론이 대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8세기 말에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에 이르러 이성위주의 대륙의 합리론과 경험을 통해 궁극목표를 추구하는 영국의 경험론이 종합되면서, 인간의 인식에서 인간의 인식능력인 오성(悟性)·이성 외에 감성 역시 중시되게 되었다.
20세기에 이르러,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은 라캉(Jacques-Marie-Émile Lacan, 1901∼1981)과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에 의해서 욕망이 철학의 중심문제로 전면에 부상하게 되었고, 20세기 이후 욕망은 자본주의 사회를 폭발적으로 발전시키는 요소로 중요한 위치에 섰고, 이제 자본주의의 이상은 물질(物質)이 되었다. 이제 자본주의 최고의 가치인 화폐가 중시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망이 시공(時空)을 넘어 다양화되게 되었다. 이런 이상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욕망은 더 이상 절제하고 억압되어야만 하는 것이 아닌 시대가 되었다. 본인은 이러한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이상을 알아보기 위해, 르네 지라르(René Girard, 1954∼2015)의 모방적 욕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물질이 이상이 된 자본주의의 병리적 이상추구의 확장을 알게 되었다.
제Ⅲ장에서는 근·현대 미술에 나타난 이상의 종류와 그 표현들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유학적 이상이 한계점을 보이자 정주학(程朱學)의 경전들이 부정되고, 중국의 양명학(陽明學)과 고증학(考證學) · 서양서적 및 사고방식의 유입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면에서 변화가 나타나 의고주의(擬古主義)가 부정되고, 인간의 욕망이 중시되며, 개인의 기호와 취미가 옹호되고 현실적인 이(利)를 추구하는 자득미학(自得美學)에 근거한 사상은 이 땅의 산수화(山水畵)·산수시(山水詩)·풍속화(風俗畵) 등을 등장하게 하였다. 이는 경제적 발달로 인해 새로이 등장한 여항인(閭巷人)같은 문화계층에 의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이상의 가치를 요구하게 된 결과 지배계급이 변해 지배계급 상에서도 인식변화가 일어났던 것이다. 예술에서는 인간의 이상적 욕망을 표출하는 장르로, 산수유람 욕구의 결과인 산수화·산수시와 대중의 현실생활과 본성[性]의 욕망을 그린 풍속화가 등장했고, 문학에서는 대중소설과 판소리가 등장했다. 이들을 통해 이전과 다른 이상이 나타남에 따라 드러나지 않던 그 당시인의 욕망·이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양미술에서는 식민지 전쟁이후에는 이미 발아된 풍속화(Genre Painting)가 있었고, 두 번의 세계대전 이후에는 이전의 순수미술과 달리 현대인의 새로운 이상과 꿈을 담은 팝 아트(Pop Art)와 초현실주의(Surrealis
m)가 있었다. 이들 양자(兩者)의 연구를 통해 해방이후 구미(歐美)의 서양미술 영향이 강한 한국화단(畫壇)의 결과, 본인그림에서 차용된 구상과 구도, 구성 등의 영향도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본인작품에서의 이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인의 그림은 이상이 변할 때 마다 작품의 주제나 표현이 달라졌고, 가족을 이루고 현대를 살아가면서 겪는 다양한 욕망과 이상의 변화들이 판타지라는 형식으로 화면에 담겼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에서 태어난 본인작품을 크게 가족·휴식·여행으로 나누어 그 속에 담겨있는 화의(畫意)와 구도를 살펴보았고, 조형적 표현에서는 이러한 이상과 꿈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 전통적 구도법과 판타지적 구성에 대해 대표적인 작품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상징들을 모티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형사적(形似的) 표현을 위해 차용된 고려불화와 조선 초상화기법 및 동양화론(畫論)에서 본인이 선택한 선(線)과 색(色)의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 및 조형적 특성 역시 살펴보았다.
제Ⅴ장에서는 이상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통해 본인작품에서의 본인이 지향하는 화의(畫意)로서의 이상과 욕망을 표현한 본인작품의 미적가치와 미적의의를 재정립함으로써, 앞으로 현대 동양화 화단과 동양화에서의 본인작품의 방향을 모색하려 노력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본인은 현대인의 이상인 시대정신을 찾고, 전통의 이상과 표현의 계승과 더불어 현대적인 변용을 모색함으로써, 한국화에서의 다문화(多文化) 수용에 따른 글로벌화(globalization)에 맞는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확보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또 이 연구 결과들을 밑거름 삼아 본인의 작품이 앞으로 전통의 현대화에 매진할 수 있는 작품들이 되기를 희망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10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0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