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화 활동과 정서가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cubation Task and Affect on Creative Idea Gener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지연

Advisor
신종호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부화 효과부화 활동 특성정서 상태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2019. 8. 신종호.
Abstract
When struggling to solve a problem, it may pay off to leave it take away for a while before attempting to discover a solution. Many previous studies in problem soving shoew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incubation period on later creative performance (e.g., generating highly original answer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initial period of unsuccessful effort is referred as a preparation period and the interpolated break period the incubation period (Wallas, 1926). A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incubation period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incubation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the incubation period in creative process and its effect. However, the effect and significance of incubation in the creative process has been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using convergent thinking, but it has not been clear yet usinf divergent thinking(DT). Therefore DT task was used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reative idea generation was differed according to the interpolated tasks during the incubation period(is called incub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and mood states.
A total of 179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1, and 140 student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incubation activities (i.e., cognitive incubation group, rest incubation group, affective incubation group, and non-incuvation group).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incubation activities opportunities were provided, creative performances (i. e., fluenc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were more high than incubation activities was not present. And the incubation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cubation activity. cognitive incubation was most effective in fluency, but rest incubation was the highest in originality and elaboration.
Creativity is influenced by mood states aroused by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Bass, De Dreu, & Nijstad, 2008). In study 2, the effects of incubation activities and individual's mood states on creative idea generation was investigated. A total of 231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and 197 student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High- and low- cognitive demand incubation activity were used in study 2, and individual's mood state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was manipulated. Results showed that depending on mood states, effective incubation activities were different. In fluency, it was helpful for those with negative mood to be provided with the low cognitive demand incubation activity, whereas the high cognitive demand incubation activity were more helpful for those with positive mood. In usefulness, the high cognitive demand incubation activity was helpful for those with negative mood than neutral mood. Finally, in elaboration, contrary to fluency, the high cognitive demand incubation activity was more helpful for those with negative mood than positive or neutral mood.
Overall,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cubation activities and individual's mood states should be considered when understanding the incubation effect.
부화 효과(incubation effect)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올바른 해결책을 찾지 못하다가 잠시 과제에서 벗어남으로써 이후 수행이 좋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해내는 데 있어 부화 단계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부화의 효과와 중요성은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지만, 어떠한 조건에서 어떻게 부화 단계를 거치는 것이 창의적 수행에 가장 도움이 되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부화가 갖는 중요성과 그 효과를 확인하고 어떻게 해야 부화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두 개의 실험 연구를 설계하여 창의적 사고를 요구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부화 과정 동안 제시된 부화 활동과 정서 상태에 따라 창의적 수행이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는 부화 과정에서 제시받은 부화 활동의 특성에 따라 부화 효과가 달라지는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생 17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14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부화 활동의 특성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지 부화 조건, 휴식 부화 조건, 정서 부화 조건 그리고 부화 활동을 제공하지 않는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휴식 부화 조건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면하게 된 해결의 어려움을 잊고 피로를 해소하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활동이라면, 인지 부화 조건은 아무것도 하지 않기보다는 인지적 노력을 요구하는 활동을 추가로 제공해주는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정서 부화 조건은 즐거움과 같은 정적 정서가 유발된 조건이다. 연구참여자는 4개 집단에 무선 할당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과제(각자 분야 선정 후, 새롭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최대한 많이 제시하기)를 실험 과제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는 Amabile(1982)의 합의평정기법(CAT)을 활용하여 3명의 전문가가 창의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 항목은 전반적 창의성, 유창성, 독창성, 유용성, 정교성이며, 이때 유창성은 아이디어의 개수로 전문가가 평가하는 항목에서 제외하였다.
연구결과, 부화 활동을 제시받은 집단이 아무런 활동도 제시받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 창의적 수행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또한 부화 활동의 특성에 따라 부화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는데, 유창성 측면에서는 인지 부화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독창성, 정교성 측면에서는 휴식 부화 조건이 가장 높은 수행을 보였다.
창의적 수행은 다양한 기질적 또는 상황에 따른 기분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Bass, De Dreu, & Nijstad, 2008). 이에 연구 2에서는 개인의 기분 상태에 따라 부화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부화 활동과 정서 상태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여 특정 조건에서 어떠한 부화 활동을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설정한 인지 부화 활동을 인지적 노력을 요구하는 수준에 따라 고인지 부화 활동과 저인지 부화 활동으로 구분하였고 정서는 정적 정서, 부적 정서, 그리고 중립 정서로 나누어 사진 자극을 활용하여 특정 정서를 유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생 23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19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부화 활동의 특성(고인지, 저인지)과 정서 상태(정적, 부적, 중립)에 따라 연구참여자를 6개 집단에 무선 할당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과 비슷하게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과제(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 아이디어 사례 개발하기)를 실험 과제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의 평가 또한 연구 1과 동일한 절차를 거쳐 진행하였다. 정서 상태는 Lan, Bradley와 Cuthbert(2005)가 개발한 국제표준정서체계(IAPS)의 사진 자극을 활용하여 조작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부화 활동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창성의 경우, 부적 정서를 가진 사람은 저인지 부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창의적 수행에 도움이 되나, 정적 정서를 가진 사람은 고인지 부화 활동이 더 도움이 되었다. 유용성의 경우, 부적 정서를 가진 사람이 중립 정서를 가진 사람에 비해 고인지 부화 활동을 제공받을 때 더 수행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정교성의 경우, 유창성과는 반대로, 부적 정서를 가진 사람은 고인지 부화 활동이 정적 또는 중립 정서를 가진 사람은 저인지 부화 활동이 수행에 더 도움이 되었다.
이는 창의적 과제를 수행할 때 부화 효과를 제대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정서 상태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창의성의 하위 요소별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주어진 과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이 무엇이냐에 따라, 예를 들어 다양한 아이디어를 많이 내는 것이 중요한지 또는 많은 아이디어보다는 독창적이고 질 높은 아이디어가 중요한지 아니면 이미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더 발전시키는 것이 목적인지에 따라 적합한 부화 활동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많은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인 경우 고인지 부화 활동에 참여하고 정적 정서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은 반면, 아이디어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인지 부화 활동과 부적 정서 상태를 경험함으로써 확산된 주의를 제한하여 더 적절하고 효과적인 단서에 접근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사고 과정에서 부화 효과가 부화 과정 동안 참여하게 되는 활동의 특성과 개인의 정서 상태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화 효과를 올바르게 가져오기 위해서는 부화 활동의 특성과 개인의 정서 상태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13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2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