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기형성적 표현'으로서의 예술언어 -자기존중을 위한 교육에의 함의 : Self-forming Expression as an Art Language : Implication for Education of Respec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진

Advisor
곽덕주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존중자기인식자기표현예술언어실존적 존재방식문화적 감수성자기형성적 표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2019. 8. 곽덕주.
Abstract
This inquiry seeks to articulate philosophically how the characteristics of art can be used to envision a form of educational practice that can help one respect oneself and others as human beings in the present day that requests a paradigm shift in horizontal and democratic educational practice. The setting of these tasks stems from the awareness of problem in Korea's current educational area where it is regarded as largely a corner of competition, which consequently causes it to fail to function as a space where one can learn to respect oneself as one human being. Our old meritocratic perspective on education-which requires students to build up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o acquire wealth and social statu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ir effort-causes students to form a mental habit of valuing their existence based on the logic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y evaluating themselves and others using an academic achievement-based hierarchy. Unlike the general analysis that states the college entrance exams focused education system as the cause of the mental habit of looking at education as a frame of meritocracy, I also suggest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nal" cause of not being able to vividly address the language of the curriculum. The lethargic class culture characterized by students' mutism that is prevalent from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o university classrooms can be attributed to the inability of educational subjects to regard the textbook or educational text as an object they can closely relate to. I diagnose this phenomenon as the inability of students to form self-respect through self-expression in the educational space and explore how art can contribute to encounter the curriculum's 'language' as a language for self-expression.

In order to do this, I set the premise that 'self – expression' clarifying each person 's thoughts and feelings is essential to form our own humanity, and from this point we will begin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is premise. Self-respec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formed in the conditions of isolated individuals, but rather it is an intersubjective, performative and aesthetic concept which means others' views are needed in order for one to express, to bring out and to respect one's humanity as it is. Based on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self-respect and self-expression, we can see how self-expression can be understood to reveal humanity in detail, and how ar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self-respect in terms of self-expression.

I will refer to Charles Taylor's reinterpretation of 'art' as a comprehensive 'expression' term in order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 of self-expression that is to be regarded not as a light subculture, but as an attempt to face and understand the world seriously. The concept of 'expression' or 'art' of Western romanticism has been understood to originate from the arousal of narcissism or enthusiasm of the lyrical self in the aesthetics. Beyond the aesthetics view, however, 'self-expression'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modern self is born can acquire a wider range of meanings including human existential desire to grasp the 'inner' attributes of the worlds (as opposed to looking at nature through a mechanical and neutral approach of the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this self-expression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verbalize the inner relation that the self has with the world at this time where one can no longer find one's own given meaning in the cognitive condition of the modern world. Thus, the meaning of 'art language' is viewe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zed artist, but its meaning is interpreted as being accessible to all modern people who want to be connected to the world in an existential way. In the first-person level, however, the unique meaning of art language can also be created when individuals meet the nature and the world. At this point, though the meanings they produce are all different, there can be seen that there is a formal center point to which they are all universally oriented; it i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mechanically perceived experience and to form humanity by concentrating on one's own sense and inner side for a dignified life that can be pursued spiritually.

While the art language as a self-expression, whi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the world, gives us insight into how the articulation of the inner knowledge of the world leads us to a dignified life that is not flat, there is not much that can be said about how we can respect ourselves as human beings through self-expression in 'relationship with others.' So secondly, I want to encompass the view of Merleau-Ponty's 'expression' that the expression can be understood as gestural 'performance' and 'process', which is a form of expression that means physical sign. The claim that this study is trying to make is that in 'phenomenon' in which 'expression' unfolds, we can be captured as being entangled in a dynamic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others) where we 'perceive and are perceived by' each other, and this capture can provide a picture or visualization to help understand the argument that we can nurture self-respect by revealing ourselves in our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others. This is because our way of being, which generate an art language, is also realistically placed in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and others, and in relationships where we are 'perceiving and being perceived by' each other, we are committed to recognizing and respecting our mutual-existence in a sensible and perceptual way.

In this inquiry, I try to name the concept that includes the above two characteristics as 'self-forming expression'. Self-forming expression' on one hand, carries an individualistic linguistic nature as it is a concept through which one can gain an intimate self-knowledge when meeting the world in the first-person level. Yet, on the other hand, when it does not stop here, and when it is visualized and expressed, this concept also carries a communicative linguistic nature through which one can existentially be connected to the world and others. The inherent accrual dimension of language that can be perceived here may contribute to reconsideration of the conventional thinking that the curriculum's 'language' has a fixed meaning that we all must accept. Language generally conveys meaning the moment it is ignited and forgets its existence, but art language has meaning that cannot be created by separating it from the way it is produced, because it reveals meaning only when the viewer approaches and tries to understand its object.ᅠ Thus, this research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y' for self-respect that can be formed through 'self-forming expression' in educational space as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by using each other's outward expressions to acknowledge and respect the existence of oneself and others in a more perceptual way, one can trust one's body with a common human sense on a 'horizontal' level.ᅠSecond, based on one's sense and perception, by vividly meeting the 'language' of the educational texts coming down from the curriculum and tradi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xistential sense of belonging to the human group on a 'vertical' level.

In the end, it is suggested that creating art language as a 'self-forming expression' to form self-respect could be useful because it could contribute to fostering 'cultural sensibility' to interpret and re-express various educational 'language' of nature and the world by their own senses and judgments. Here, cultural sensibility is considered to be a way of approaching and understanding the 'language' of expressing the world not in a given way, but in one's own sense and perception, by distinguishing myself from thi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Furthermore, cultural sensibility is also regarded as a way to assume and communicate-through the expressions of others-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Eventually, unlike the previous moral educational attempts to approach the issue of 'why can an aesthetic individual form a better community,' exploring the educational dimensions of a person's 'inner' and 'internal' relationships with people through the phenomenon of the art language will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take a new political and existential approach that clarifies the inner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recognition' network.
본 논문은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교육실천의 패러다임적 전환이 요청되는 오늘날, 자기 자신과 타인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존중할 수 있는 교육실천의 형식을 구상하는 데 예술의 특성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를 철학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의 설정은 현재 우리 교육의 장이 대부분 경쟁의 각축장으로 간주됨으로써, 자기 자신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 존중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다. 노력에 부합하는 재화와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 학력을 키워야 한다는 교육을 향한 우리의 오래된 능력주의 관점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성취도에 따라 서열화된 구도로 자신과 타인을 평가함으로써 우열의 논리에 입각하여 인간의 존재 가치를 매기는 정신적 습관을 형성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교육을 능력주의의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정신적 습관을 형성하는 원인이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에 있다는 일반적인 분석과 달리, 교과의 언어를 생생하게 다룰 수 없는 내적 원인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실부터 대학의 강의실까지 학생들의 함구증(mutism)이 만연한 무기력한 수업문화는 교육주체들이 교과 혹은 교육적 텍스트를 자신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기지 못하는 데서 비롯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현상을 학생들이 교육공간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자기존중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는 것으로 진단하면서, 교과의 언어를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언어로 만나기 위해 예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자의 생각과 느낌을 명료화하는 자기표현이 자기존중을 위한 인간다움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전제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자기존중은 결코 고립된 개인의 조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인간다움을 드러낼 수 있도록 표현하고 그 인간다움을 인간다움으로 바라보고 존중해줄 수 있는 타인의 시선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상호주관적이고 수행적으로 형성되면서도, 미적인 판단력을 요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자기존중과 자기표현 간의 개념적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인간다움을 드러내는 자기표현이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그리고 예술이 어떻게 우리의 자기존중의 형성에 기여하는 자기표현을 하는 데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밝히는 것이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해명하고자 하는 바다.
우선, 가벼운 소회를 밝히는 자기표현이 아닌 사물과 세계를 진지하게 마주하고 이해하려는 시도로 간주될 수 있는 자기표현의 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찰스 테일러가 낭만주의 시대에 부상한 예술을 포괄적인 표현의 의미로 재해석한 관점을 참조한다. 흔히 서구 낭만주의의 표현 개념이나 예술의 성격은 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서정적 자아의 도취나 열광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이해된 바 있다. 그러나 미학적 관점을 넘어 근대적 자아가 태동하는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자기표현은, 계몽주의적 접근의 기계적이고 차가운 시선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것과 다르게 세계의 내적 속성을 파악하고 싶은 인간의 실존적 욕구를 포함하는 폭넓은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이때의 자기표현은 더 이상 세계에서 주어진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을 수 없는 근대의 인식적 조건에 놓인 자아가 다시 세계와 맺는 내적 관계를 언어적으로 형상화하려는 시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은 예술가를 영웅시하는 입장에서 조망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실존적으로 연결되고 싶은 근대인에게 원칙적으로 모두 접근 가능한 것, 그러나 일인칭적으로 자연과 세계를 만날 때에만 고유한 의미를 생성할 수 있는 표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각자가 생성하는 의미는 모두 다를지라도, 기계적으로 파악되는 경험의 한계를 인식하고 정신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존엄한 삶을 위해 자신의 감각과 내면에 집중하여 인간다움을 형성하려는 공통의 형식적 구심점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아와 세계가 맺는 관계에 주목하는 자기표현으로서의 예술언어는, 세계에 대한 내적 앎을 명료화(articulation)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를 평평하지 않은 존엄한 삶으로 이끄는지에 대한 통찰은 주지만,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어떻게 우리 자신을 인간다운 인간으로 존중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말해줄 수 있는 바는 많지 않다. 그리하여 둘째, 표현이 물리적인 기호를 의미화하는 운동적 수행이자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메를로-퐁티의 표현에 관한 관점을 포괄한다. 표현이 전개되는 현상에서 우리는 타자 및 세계와 서로 지각되고 지각하는 역동적인 관계로 엮이는 것으로 포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착은 현존하는 타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자기존중을 함양할 수 있다는 주장을 이해할 수 있는 한 가지 그림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예술언어를 발생시키는 우리의 존재방식 역시 실존적으로 세계 및 타인과의 관계에 놓이게 되며, 서로가 서로를 지각하면서 지각되어지는 관계에서 우리는 감각적이고 지각적인 방식으로 상호현존을 인정하고 존중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위의 두 가지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을 자기형성적 표현(self-forming expression)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한다. 자기형성적 표현은 한편으로는 일인칭적으로 세계를 만나는 내밀한 자기인식(self-knowledge)을 위한 개별적인 언어의 성격을 가지지만, 여기에 함몰되지 않고 그것을 가시화하여 표현할 때에는 소통적인 언어로 발원함으로써 세계 및 타인과 실존적으로 연결되는 성격을 가진다. 여기서 지각할 수 있는 언어 본연의 발생적 차원은, 교과의 언어가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고정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관습적 사고를 재고하는 데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언어는 그것이 발화되는 순간 의미를 전달하며 자신의 존재를 망각하게 하지만, 예술언어는 질료 및 표현 방식과 분리해서 생성될 수 없는 의미를 지니며, 감상자가 접근하여 그 대상을 이해하려할 때 비로소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교육 공간에서 자기형성적 표현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자기존중을 위한 인간다움의 특성을 다음의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한다. 첫째, 서로의 표현을 제시하며 지각적인 방식으로 자신과 타인의 현존을 인정하고 존중하게 됨으로써 수평적 차원에서 인간 공통의 감각을 가진 자신의 몸을 신뢰하게 된다. 둘째, 자신의 감각과 지각에 근거하여 교과 및 전통으로부터 내려오는 교육 텍스트의 언어를 생생하게 만남으로써 수직적 차원에서 인간 집단에 속하는 실존적 감각을 두텁게 하게 된다.
결국 자기존중의 형성을 위해 '자기형성적 표현'으로서 예술언어를 생성하는 것이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은, 자연과 세계를 표현하는 인간의 다양한 교육적 언어'를 자신의 감각과 판단에 의해 해석할 수 있는 '문화적 감수성'을 함양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여기서 문화적 감수성은 세계를 표현하는 '언어'를 이미 주어진 방식이 아닌 자신의 감각과 지각으로 다가가 이해하고, 그로부터 이 세계와 관계 맺는 나를 인식하는 것, 나아가 다른 인간의 표현으로부터 그들이 이해하는 세계가 무엇인지 짐작하고 소통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예술언어가 수행되는 현상에서 한 사람의 내면과 사람들 '간'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교육적 차원을 동시에 탐색하는 것은, '왜 미적 인간이 더 나은 공동체의 존재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조화로운 인격의 함양을 통해 접근하려는 그간의 도덕교육적 시도와는 달리, '개인'의 형성과 '사회적 인정의 관계망' 사이의 내적 연관성을 해명하려는 정치적·실존적 교육접근의 시도로서 이해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15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2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