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환경에서 청소년의 비판적 문식성 실천에 대한 문화기술지적 사례연구 : An Ethnographic Case Study on Adolescents' Critical Literacy Practic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은선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문식성 실천청소년 문식성비판적 문식성쓰기 실천필자 정체성문식성 자원문화기술지적 사례연구Literacy practicesAdolescent literacyCritical literacyWriting practicesWriter identityLiteracy resourcesEthnographic case study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19. 8. 민병곤.
Abstract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s the ways in which adolescents engage in public problems and practice critical literaci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Online article writing activities in an alternative high school's online journalism club were selected as a case of adolescents' critical literacy practices to ethnographically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critical literacies were socially practiced in the context of the digital environment, alternative education, and adolescent culture.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literacy and learning, this study takes the view that literacy is socially practiced in association with identities, beliefs, values, and attitudes and that literacy is learned by employing literacy resources in situational practic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nsidered the process of adolescents' designing of writing activities in the online journalism club as a process of learning and explored how adolescents perceived the situation of writing articles and how they organized and integrated it into the context of writing.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dolescents practiced critical literacy through article writing and what kind of literacy resources were employed in the process of the writing.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over a year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texts produced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on-site material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ir writing activities and from their experience of alienation and oppression in previous writing activities, adolescents perceived that the purpose of writing activities and the theme and form of the articles were important contexts for thinking and presenting in a certain way as a writer. They recogniz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volved in writing by reflecting on the fact that they write not only as a journalism club within a school but also on a spatial topography where they meet readers online. They also perceived that they could have autonomy and openness in their dialogues and power to impact their readers effectively.
Accordingly, adolescents focused on creating new discourses on their school culture by circulating idea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nd between club members, and as such constructed a context of themes, forms, and interactions, In other words, they became to form a scheme on topics that could circulate different ideas among readers and provide new perspectives for reading school issues to them, on genres and forms that could be an appropriate 'outlet' to deliver these topics, and on a platform structure that could distribute these genres and forms and enhance readers' accessibility. Then, they were able to formulate common goals and norms and coordinate different beliefs about article writing, including appropriate quality, language and voice for article writing, by sharing plans with the advisor teacher and club members (seniors and juniors).
By writing articles, adolescents were practicing a variety of critical literacy based on their life situations, literacy resources, identities, and beliefs. This study had four adolescent writers describe the process of article writing in terms of making people feel uncomfortable behind language and discourse,' 'publicizing social issues,' 'giving voice to minorities,' and 'empowering various voices.'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problems critically, embodying ideas to construct contents, and then producing texts, adolescent writers were involved in the other writers' identity, attitude, and belief and utilized the functional literacy associated with specific discourse knowledge, language and discourse, and specific discourse forms, Furthermore, colleagues became important critical literacy resources for acquiring digital technology skills, gaining support and sympathy for different ideas, and sharing various perspectiv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writing education as a social practice and writing-oriented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learning through the designing of writing activities would make it possible to acquire abundant knowledge involved in the context of writing activities, establish a cooperative and responsible writing practice community, and reflect on dominant forms and customs of discourse. Second, the study argu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pplication of critical literacy resourc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fo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ways of educational support for critical reading of the world and for text design in the digital environment.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주체적인 문식 참여자로서 비판적 문식성을 실천하는 방식을 질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실제 디지털 소통 공간에서의 참여를 목적으로 청소년들이 동료들과 협력하며 비판적 문식성을 실천하는 사례로 대안고등학교 내 웹저널 동아리를 선택하여, 동아리에서의 온라인 기사 쓰기 활동을 문화기술지적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문식성과 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문식성이 정체성, 신념, 가치, 태도, 사고의 방식, 언어, 지식 등과 연합되어 사회적으로 실천되고, 이러한 요소가 관여되는 상황적 실천을 통해 학습된다는 관점을 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웹저널 동아리에서 청소년들이 기사 쓰기 활동을 기획하는 과정을 학습의 과정으로 보고, 청소년들이 기사 쓰기의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그것을 쓰기의 맥락으로 구성하고 조율하는지를 밝혔다. 또 청소년들이 기사 쓰기를 통해 어떠한 비판적 문식성을 실천하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문식성 자원이 관여되고 활용되었는지를 밝혔다. 자료는 1년 동안의 참여관찰,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가 산출한 텍스트, 현지 자료 등 문화기술지의 도구를 활용하여 수집, 분석되었다.
청소년들은 활동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이전 쓰기 활동에서 겪은 소외와 억압의 경험을 성찰하였다. 이를 통해 활동의 특정한 목적, 기사의 특정한 주제와 형식이 필자로서 특정한 방식으로 사고하고 존재하게 하는 힘의 관계가 내재된 맥락으로 작용함을 인식하였다. 또 학교 내의 언론 동아리이면서 동시에 온라인에서 독자를 만나는 공간적 지형을 성찰함으로써, 자신들이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대화에서의 자율성과 개방성, 실제 독자에 대한 파급력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기사 쓰기 활동에 독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미디어 되기라는 정체성을 부여하였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은 필자와 독자 간의, 또 부원들 간의 소통성을 높여 학교의 문화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생성해 나가는 데 초점을 두고 주제, 형식, 상호작용의 맥락을 구성하였다. 즉 독자들과 서로 다른 생각을 소통할 수 있고, 학교의 문제를 읽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주제, 이러한 주제를 담기에 가장 적절한 통로로서의 장르와 양식, 이러한 장르와 양식을 자유롭게 유통하면서 독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플랫폼 구조에 대한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이것은 자신들에게 삶의 맥락인 학교의 문화에 대한 지식 생성자로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고, 디지털 공간에서의 소통에 적절한 문식성을 학습하는 과정이었다. 이후 교사와 선후배들과 계획을 공유하면서 기사의 완벽함, 기사다운 언어, 기사의 객관성 등 기사다움에 대한 서로 다른 신념과 태도를 조율해 가며 공동의 목적과 규범을 구성해 나갈 수 있었다.
청소년들은 기사 쓰기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비판적 문식성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네 명의 청소년은 각각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필자, 문제를 고발하는 데 관심이 많은 필자, 생각이 다른 아웃사이더, 자치하는 애라는 필자 정체성을 취하여, 언어와 담화의 이면에서 불편함을 느끼게 하기, 사회적 이슈로 공론화하기, 소수자의 목소리 내기, 다양한 목소리에 힘을 실어 주기로서의 비판적 문식성을 실천하였다.
각 실천의 방식은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내용 구성을 위해 관념을 구체화하고, 상황 맥락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생성하는 쓰기 과정에 따라 기술되었다. 쓰기의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공통적으로 일상에서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였고, 특정한 담론 지식, 개인의 언어와 담화, 특정 담화 양식과 결부된 기능적 문식성을 활용하였다. 또 동료들은 디지털 기술을 전수받는 것은 물론, 다른 생각에 대한 지지와 공감을 얻고, 다양한 관점을 위해 대화를 나누기 위한 중요한 비판적 문식성 자원이 되었다.
사회적 실천으로서 쓰기 교육과 쓰기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차원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먼저 학습자가 쓰기 활동의 기획에 참여함으로써 쓰기 활동의 맥락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획득하고, 협력적이고 책임감 있는 쓰기 실천공동체를 구축하고, 지배적인 담화 형식과 관습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가져올 수 있음을 논하였다. 또 쓰기 중심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해서 비판적 문식성 자원의 활용과 개인차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에 대한 비판적 읽기와 디지털 환경에서의 텍스트 디자인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15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3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