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취향 표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하지수-
dc.contributor.author김희영-
dc.date.accessioned2019-10-21T03:10:07Z-
dc.date.available2019-10-21T03:10:07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28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2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28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2019. 8. 하지수.-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발한 이용은 개인이 다양한 취향을 매개로 적극적으로 자아를 표현하고 온라인상에 공유하도록 자극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지인과의 관계 유지보다 취미나 관심사 공유를 위한 이용 목적 비율이 높아졌고, 사람들은 자아 전시를 위한 도구로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능동적인 미디어 이용자가 되었다. 소셜 미디어에서 자아는 직접적으로 표현되기보다 소비 대상이나 경험에 대한 취향을 통해 간접적으로 묘사된다. 학문적 관점에서 취향은 오랜 기간 사회경제적 위치 표시 수단으로 해석되어왔지만, 집단의 위계적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상징적인 의미들이 증식되는 혼돈 속에서 개인은 자신만의 가치를 부여하는 대상을 중심으로 패션취향을 형성하고 있다. 개성 있는 취향이 자아의 정체성을 대변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사회적 만남의 장소인 소셜 미디어에서 차별적인 패션취향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미디어 특성을 반영하여 패션취향을 파악하고, 미디어 환경 속에 형성된 패션 문화를 이해하고자 현재 가장 이용이 활발한 소셜 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패션취향의 표현 활동과 내재된 의미를 고찰하였다. 미디어에서 발견되는 의례적인 행동들은 개인이 속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방식이 되기 때문에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취향 표현에 대한 분석은 현재 사회의 문화적 차원의 해석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패션취향과 관련한 인스타그램의 활용 특성을 파악하고, 둘째, 인스타그램에서 패션취향의 의례적 표현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행동 양식들을 밝힌다. 그리고 셋째,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취향 표현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각 행동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며 사회문화적인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온라인 대상의 문화 분석 방법으로 네트노그라피와 1:1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아카이브 내용분석을 위해 각 계정의 모든 게시물을 시간 흐름 순서에 따라 썸네일 형의 작은 이미지로 자료화하여 전체적으로 반복해서 열람하였으며, 떠오르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자료를 취합하였다. 취합된 선택 이미지들은 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작성하여 자료화한 뒤 분석에 사용되었다. 심층면접은 참여자의 게시 및 검색 활동을 중심으로 단계별 행동 목적과 내용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유동적으로 진행했으며, 자료화한 선택 이미지의 사진설명하기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응답 내용을 수집했다. 연구 참여자는 20∼30대로 패션관여도가 높으며 인스타그램 이용 기간 3년 이상, 평균 주 1, 2회 게시 활동을 하는 비상업적 목적의 이용자 21명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취향과 관련한 인스타그램 활용 특성은 자기 표현과 자기 확인, 정보 수집과 정보 공유, 관계 맺기와 관계 형성으로 확인되었다. 자기 표현 및 확인 차원에서 인스타그램은 일기, 앨범, 포트폴리오 등의 세 가지 용도로 이용되었고, 개인들은 자신의 패션취향을 스스로 확인하고 성찰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다. 정보 수집 및 공유 차원에서 인스타그램은 주요 정보 수집원이자 유희적인 정보 열람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개인들이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패션취향을 발전적으로 구성하고, 공유를 통해 타인과 취향을 교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또한, 관계 맺기 및 형성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팔로잉을 허용하거나 유사한 취향의 사람들만 선택적으로 관계를 맺었고, 네트워크 확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스타그램에서 나타나는 패션취향의 의례적인 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패션취향의 표현 요소 및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미지 속에 반복적으로 출현하는 표현 요소 중 물질적 요소들은 각 패션 제품 자체가 지닌 의미보다는 그것을 획득하거나 사용한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상징적인 가치가 부여되었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자아 표현의 매개물이 되었다. 부모님, 친구 등의 사회적 요소들 또한 본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들의 모습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신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연인의 경우 패션취향 표현하는 행동에는 둘 사이의 관계를 과시하는 의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인스타그램에서 패션취향과 관련한 의례적인 표현 방식으로는 텍스트 정보의 제한, 상황적인 맥락의 활용, 기술적인 효과 장치의 사용, 칼라 뉘앙스의 강조, 동일한 구도 및 형식의 유지, 간접적인 신체 표현 등으로 확인되었다. 인스타그램에서 텍스트 설명이 불충분한 이유는 이미지 의존 경향의 미디어 특성에서 비롯되기도 했지만, 자세한 설명이 열람자의 반응을 유도하려는 행동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오해를 피하고자 했다. 패션취향은 이미지화되면서 촬영 당시 공간이나 상황의 맥락이 반영되었고, 다양한 기술 장치를 사용한 효과와 칼라 표현이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동일한 구도와 형식을 유지하는 표현 방식은 효과적인 내용 전달과 함께 감각적이고 일관된 패션취향으로 인식될 가능성도 높이고 있었다. 그러나 신체 노출에 대해서는 상당히 민감했는데, 얼굴의 직접적인 노출을 피하고 뒷모습이나 신체 일부만 확대해서 촬영하는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넷째, 인스타그램의 패션취향 표현에 내재된 의미로 과시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가 발견되었는데, 이용자들은 경제적, 감각적, 신체적 측면에서 보여주기와 감추기 사이를 움직이며 일정한 수준에서의 과시적인 행동을 취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미디어 내의 단편적인 행동들에서 어떤 것이 과시로 평가되고 어느 정도까지가 허용되고 있는지 그 경계를 이미 알고 피하고자 노력했으며,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과시적인 표현 행동을 하고 있었다.
특히, 패션취향의 표현은 경제적인 자랑거리로 비난받기 쉽기 때문에 브랜드나 상품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방법적인 고민을 하게 되었다. 개성 있는 패션취향이 높게 평가되면서 미적 감각과 판단 능력이 중요하게 부각되었고, 색감 등을 통한 차별적인 이미지 표현은 자신의 뛰어난 감각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었다. 그러나 개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트렌드에서 이탈하지 않으려는 상반된 태도도 갖고 있었는데, 대중의 트렌드를 좇는 것이 유행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개성 없는 취향으로 비난했지만, 본인의 패션취향도 어느 정도는 트렌드 안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패션취향을 표현하는데 신체 노출이나 과시에 대해서 매우 거부감을 갖고 있었지만, 간접적으로 드러내며 오히려 신체 일부를 강조하거나, 자연스러운 정도의 보정 효과를 통해 얼굴이나 신체를 미화시키는 행동도 보이고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패션취향은 미디어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영향 받고 있다. 사람들은 인스타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며 패션취향을 구성하고 있고, 이것을 사람들과 공유하며 함께 향유하는 즐거움을 얻고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가 이용기간이 흐르며 대표적인 과시의 공간으로 여겨지면서 인스타그램에서 사람들은 적정 수준의 이중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패션취향을 표현하고 있었고, 다른 사람들에게 허용되는 미묘한 차이들을 구별하며 과시 행동을 하고 있었다. 다양한 취향을 매개로 자아를 표현하는데 여전히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고 그들의 관심 받고 싶어 했으며, 이와 같은 본인의 타자 의존적인 태도가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었다. 사회적인 존재로서 개인은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으며 의미를 찾고, 다른 사람들을 통해 자아를 확인하고자 하는 바람이 있지만, 동시에 이것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의지 또한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의 패션취향 표현 활동에 대한 사회문화적 차원의 이해를 위해 문화 분석 방법인 네트노그라피와 함께 심층면접을 병행함으로써 연구자 중심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연구 대상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했다. 특히, 인스타그램의 이미지 중심 커뮤니케이션은 외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어 참여자의 인식이나 태도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두 가지 질적 연구방법의 혼합으로 보다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
둘째,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패션취향에 대한 표현 행동 분석을 통해 개인의 자아 표현 수단으로써 취향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높이고, 미디어가 취향 형성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리라 사료된다. 다변화된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취향은 계속해서 형성되는 과정 중에 있으며, 특히 미디어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이 간과될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가 패션취향에 대한 학문적 관점을 넓히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에서 사람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례적 표현 행동을 분석하고 미디어 내에 형성된 사람들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현대 미디어 환경과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인스타그램에서 발생하는 패션취향 표현 활동들을 미디어 내에 제한된 현상으로 간주하지 않고, 미디어 이용과 함께 형성되는 문화적인 현상으로 접근하여 사회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이와 더불어, 미디어 특수성을 반영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연구 참여자를 세분화시켜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후속 연구도 함께 제안하는 바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active use of social media in modern society is prompting individuals to actively express and share their selves online with various tastes as mediums. Social media has seen a higher rate of use for hobbies or sharing interests than for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acquaintances, and people have become active media users who use social media as a tool for self-exhibiting. In social media, self is portrayed indirectly through tastes in consumption or experience rather than through direct expression.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tastes have long been interpreted as a means of displaying socioeconomic positions, but as the hierarchical boundaries of groups become unclear and symbolic meanings proliferate, individuals are forming fashion tastes around objects that give their own values. As characteristic tastes have become representative of self-identity, people are trying to effectively show discriminatory fashion tastes in social media, a place of social encounters.
In order to identify fashion tastes by reflecting modern media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 fashion culture formed in the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expression activities of fashion taste and their inherent meanings, focusing on Instagram, the most active social media currently in use. The analysis of fashion tasting expressions on Instagram will be a cultural interpretation of current society, as the ritual actions found in the media become a way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society and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belong.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firstly to identify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Instagram related to fashion taste, and secondly, to analyze the ritu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taste on Instagram to reveal the behavior patterns commonly found. And third, to grasp the inherent meaning in the expression of fashion taste shown on Instagram, this study take a look at the general perception and attitude of behavior pattern and examine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comprehensively.
As a method of research, netnography, an online cultural anaylisis method, and 1:1 in-depth interview were performed together. In order to analyze the archive contents of Instagram posts, all the posts in each account were reproduced as thumbnail-type small images in order of time flow and viewed over and over again, and after that, the data was collected selectively around emerging topics. The selected images were made in the data form, and used for analysis with compiling text information contained in each image.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lexibly, based 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the purpose and content of each step of behavior,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posting and searching activities, and the method to describe the picture of the selected images was also accompanie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ose in their 20s and 30s with high level of fashion involvement, and 21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noncommercial purpose users, who post one or two times a week on average for Insta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stagram utiliza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fashion taste have been identified by self expression and self confirm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nd information sharing, relationship building and relationship forming. In self expression and confirmation, Instagram was used for three purposes: diary, album and portfolio, and individual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identify and reflect their fashion tastes on their own. In terms of collecting and sharing information, Instagram has been used as a major information collector and a enjoyable information reading place, helping individuals to develop fashion tastes using various information and interact with others through sharing. And in terms of relationship building and forming, people allowed the following limitedly or formed a selective relationship with people of similar tastes, and were generally passive about expanding the network.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 factors and methods of fashion taste in order to identify the ritu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taste on Instagram. The material expression factors appearing repeatedly in the image were given symbolic value based on past experience of acquiring or using it rather than on the meaning of each fashion product itself, and became a medium of self-expression to explain their identity. The social factors, such as parents and friends, were also subject to self-explanation, focusing on their relationships, and in the case of a lover, they intended to show off their relationship through fashion taste expressions.
Third, the ritual expression methods associated with fashion taste in Instagram have been identified by limiting text information, using contextual context, using technical effects devices, highlighting color nuances, maintaining the same structure and format, and indirect body expression. The reason for the insufficient text description on Instagram was that the detailed explanation, along with the image-dependent tendency, was regarded as an behavior to induce followers' reaction, so they intended to avoid the misunderstanding about it. Fashion tastes were imaged, reflecting the context of space or situation at the time of being photographed, and the effect of various technical devices and color expression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addition, expression method maintaining the same arrangement and format were able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also gave the possibility to be perceived as sensuous and consistent fashion taste. However, they were quite sensitive to physical exposure, using methods to avoid direct exposure to the face and capture the back or zoom in the part of the body.
Fourth, a double-sidedness attitude toward conspicuousness was found in the inherent meaning in Instagram's expression of fashion taste, with participants taking show off behaviors at a certain level, moving between showing and concealing in economic, sensory and physical aspects. People already knew the boundaries of what was being regarded the conspicuousness behaviors as and what extent allowed within the social media, and were behaving a proper level of the conspicuousness.
Especially, since the expression of fashion taste is apt to be criticized as an economic conspicuousness behavior, participants were thinking about how to indirectly reveal a fashion brand or product. As characteristic fashion tastes were highly valued, aesthetic sense and judgment abilities were highlighted in importance, and differentiated image expression through colors and so on was intended to show one's own ability. But they also had conflicting attitudes about pursuing individuality while not breaking away from the trend, which they criticized as an other's preference that blindly follows the trend, but also wanted to show that their fashion taste remained within the trend to some extent. In addition, although they were very resistant to physical exposure or conspicuousness in expressing their fashion taste, they were indirectly revealing and emphasizing parts of the body or beautifying the face or body through natural degree of correction.
In modern society, fashion tast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dia and are affected. People are using Instagram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actively express themselves, form fashion tastes, and share it with people and enjoy it together. However, as social media was seen as a conspicuousness space as the period of use goes by, people on Instagram expressing their fashion tastes by maintaining a proper level of double-sidedness attitude, and showing off, distinguishing the subtle differences that are acceptable to others. They was still conscious of other people's eyes and wanted to get their attention in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various tastes, and were trying not to expose their dependent attitude on others. As a social being, an individual find meaning in recognition of others, and have the desire to identify themselves through others,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willing to be free from 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ations of researcher-centered interpretation and enabled in-depth understanding of research subjects by paralleling in-depth interviews with netnography, a method of cultural analysis, for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fashion taste expression activities on Instagram. In particular, Instagram's image-oriented communication includes complex, multilayered meanings that are not exposed externally,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specific perceptions or attitudes of participants, enabling more accurate analysis with a mixture of tw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cond,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expressive behavior on fashion tastes on Instagram, would have help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 specific interpretation of tastes as a means of individual self-expression, and to infer the influence of the media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astes. In a diversified modern society, individual tastes are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to form, and especially since interaction with the media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ave contributed to broadening academic perspectives on fashion tastes.
Thi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and culture by analyzing people's social interactions and ritual expressive behavior on Instagram and identifying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ose formed within the media. Instead of considering the fashion tastes expression activities that occur on Instagram as a limited phenomenon within the media, this study tried to approach the cultural phenomena that form with media use and understand them on a social level. In addition, further studies that analyze intensively with subdivided study participants for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that reflects media specificity are also propos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제 1 절 소셜 미디어에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례 8
1.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례 8
2. 소셜 미디어에서 의례적 커뮤니케이션 12
제 2 절 인스타그램의 커뮤니케이션 문화 15
1. 인스타그램과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15
2.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의 문화적 번역 19
제 3 절 소셜 미디어에서 패션취향 표현 23
1. 소셜 미디어에서 자아 표현의 변화 23
2. 패션취향에 대한 시각 변화 26
3. 소셜 미디어에서 패션취향 표현에 대한 인식 30

제 3 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7
제 1 절 연구문제 37
제 2 절 연구방법 및 대상 39
1. 연구방법 39
2. 연구 참여자 46

제 4 장 패션취향과 관련한 인스타그램 활용 49
제 1 절 인스타그램 활용 특성 49
1. 자기 표현과 자기 확인 49
2. 정보 수집과 정보 공유 59
3. 관계 맺기와 관계 형성 69
제 2 절 인스타그램에서 패션취향과 관련한 의례적 표현
특성 78
1. 표현 요소 78
2. 표현 방식 91

제 5 장 인스타그램에서 패션취향 표현의 이중성
110
제 1 절 경제적 과시의 이중성 110
1. 경제적 과시의 제한 110
2. 간접적 과시 113
제 2 절 감각적 과시의 이중성 117
1. 개성 추구와 동경 117
2. 미적 감각의 과시 121
3. 트렌드 인식과 암시 123
제 3 절 신체적 과시의 이중성 124
1. 신체 노출과 은폐 124

제 6 장 결론 130

참고문헌 135
Abstract 154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패션취향-
dc.subject인스타그램-
dc.subject소셜 미디어-
dc.subject상호작용 의례-
dc.subject네트노그라피-
dc.subject과시의 이중성-
dc.subject.ddc646-
dc.title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취향 표현-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28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28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