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박완서 문학의 저자성 연구 : A Study on the Authority in Literature of Park Wan-se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미

Advisor
방민호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저자성증언기억전쟁일상목소리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19. 8. 방민호.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to identify literary usages and political strategies in Park Wan-seos novels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authority. For this, this study took care not to take a dichotomous view and consider the author as a fixed entity or an entity bounded by ideologies and focused on how Park Wan-seo became a novelist and what changes she had displayed. While this paper traced the trends of the discussions of the time, it aimed to understand the literary reactions that arose from the author who prioritized her narrative intentions and clashed and negotiated with such trends. While this paper considered the position of Park Wan-seos work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it also aimed to identify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the era, which was the main subject matter of Park Wan-seos novels. For this, this research took a diachronic view of Park Wan-seos works with a focus on her novels that represent the era but also used various texts such as short stories, essays written by the author, as well as some of her interviews. This research also referred to critical reviews and articles which displayed the critical demands and contemporaneous discourse of the era.
An author, who desires to bear witness to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ncluding the Korea War, defines herself as a female survivor and reconstructs the era she had witnessed. Her testimony, therefore, differs from the general historical testimonies and masculine testimonies. As an experiential self who have experienced an incident, a female survivor would use her distinctive moral sense to expose that she too was complicit in the incident. At the same time, the female survivor will also establish herself as the whistleblower who would continue to blow the whistle without any hesitation. The desire to bear witness through literature inevitably leads the author to explore her authority, the act of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rns raised by the female authors who were continuously belittled by being categorized as women writers by the literary circle of the era. Using the distinctive narrative strategy of the narrativization of memory, and by using her distinctive morality established through her experience as a woman, Park Wan-seo attempted to project her testimony, which was imbued with female values, in her literary works.
In Chapter II, this paper focused on how Park Wan-seo became a novelist with her first novel, The Naked Tree, which portrayed her own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n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she debuted. The Naked Tree and The Thirsty Season, which are Parks earlier works, are literary testimonies of the Korean War from the female survivors point of view which simultaneously discuss the issue of ethical responsibility one has as a survivor in the aftermath of a war.
In Chapter III, this paper examined Parks literary works published from the 1970s to the 80s, which focused on the ruling ideology that permeated different spheres of everyday life, as well as Parks literary reaction to the oppression of free discourse during the era. In reaction to the critical demand leaning to the ruling authority during the era, Park Wan-seo rejected the limited approval given to her as a popular and female writer and pointed out the fictitious discourse propounded by the ruling ideology by portraying the despair and resignation of the individual who is at odds with the ruling regime. Through her novels, including The Year of Famine in the City, Swaying Afternoons, The Beginning of Days Lived, and Warm Was the Winter That Year, Park exposed the inner mechanisms of the two major ideologies that served as the building blocks of nationalism – the growth ideology and anti-communism – as well as the family ideology which was used as the reproducing mechanism for nationalism.
Chapter IV covered Parks works that were published from the 1990s until her death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death of her son, which was a critical event in the authors life and was in contrast with the death of her older brother. For Park Wan-seo, the death of her son was an incident which enabled her to put down the resentment and wrath she had after the Korean War and to go on and accept and coexist with pain with a mature attitude. Park, who reached a level of maturity with age, reflected on death through various voices telling stories about their existence. Parks novels Who Ate up All the Shinga and Was that Mountain Really There were autobiographic works showing her sense of responsibility of remembering the past as a historical intermediary.
이 글의 목적은 저자성 개념을 중심으로 박완서 문학의 문학적 용법과 정치적 전략을 동시에 주목함으로써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듯 박완서 문학의 대표적인 특징은 사적 체험에 기반하였다는 점인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내려지는 박완서 문학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평가들이 모두 작가의 창작 동인과 서사 욕망, 그리고 창작방법론을 온전히 바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따라서 작가 스스로 천명한 창작의 동인, 즉 증언의 욕구가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시대적,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 작가로서 자리잡기 위해, 즉 저자성을 구축하기 위해 벌이는 고투와 전략에 주목함으로써 변화의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때 박완서가 추구하는 저자성이란 절대적 권위를 지닌 기존의 남성적 저자와 다른 성격으로서 당대 담론과 충돌하고 교섭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서사 욕망을 내세우며 선택한 문학적 대응을 통해 구축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대응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박완서 문학 전체를 통시적으로 살피되, 시대를 대표하는 장편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면서 단편과 산문, 인터뷰를 비롯하여 당대 비평, 기사 등 다양한 텍스트를 활용하였다.
한국전쟁 체험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여성 생존자로 규정한 박완서는 한국전쟁을 비롯한 한국 현대사를 증언하고자 한다. 이때 증언은 일반적인 역사적 증언, 남성적 증언과 달리 체험에 기반한 경험적 자아로서 자신 또한 사건에 연루되어 있음을 폭로하는 특유의 윤리 감각을 동반하는 한편 현재진행형의 형태로 고발을 서슴지 않는 일종의 내부 고발자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문학을 통한 증언이라는 욕구는 필연적으로 저자성의 탐색으로 이어지는데, 당대 문단에 의해 끊임없이 여류로 호명되며 폄하당한 여성작가들의 고민과도 긴밀하게 연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박완서는 기억의 서사화라는 특유의 서사 전략을 통해 여성의 경험으로 정립된 차별적인 윤리성을 바탕으로, 여성적 가치가 질서를 부여한 자신의 증언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작가적 원체험으로 언급되는 한국전쟁을 형상화한 작품을 대상으로, 박완서가 작가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검토하는 한편, 『나목』을 통해 등단하는 과정을 둘러싼 시대 상황을 살펴보았다. 초기작 『나목』과 『목마른 계절』은 여성 생존자의 시각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증언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 동시에 생존자로서 전쟁 이후의 삶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책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한편 「엄마의 말뚝」 연작에서는 새로운 어머니-딸 서사의 가능성이 나타난다.
Ⅲ장에서는 다양한 일상적 차원에 틈입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다룬 1970~80년대의 문학 활동을 검토하는 동시에 당대 담론적 억압에 대한 문학적 대응 양상에 주목하였다. 지도비평적 관점의 당대 비평적 요구에 대해 박완서는 대중작가 혹은 여류작가로서의 제한적 승인을 거부하며, 체제와 불화하는 개인의 절망과 체념을 형상화함으로써 지배 이데올로기의 담론적 허구성을 지적하고 있다. 국가주의를 구성하는 양대 이데올로기로서 성장 이데올로기와 반공 이데올로기의 작동 양상에 대한 폭로와 국가주의의 재생산 기제로서 이용된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 허위성을 고발하는 작품으로 『도시의 흉년』, 『휘청거리는 오후』, 『살아 있는 날의 시작』,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등을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1990년대 이후부터 작고 직전까지 발표된 문학 활동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오빠의 죽음과 대비되는 중요한 사건으로서 아들의 죽음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박완서에게 아들의 죽음은 한국전쟁 체험 이후 지속된 억울함과 분노의 감정을 내려놓고, 고통과의 공존을 받아들이는 성숙한 자세로 나아가는 계기로 작용한다. 노년에 이른 작가는 자신의 실존을 이야기하는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죽음에 대해 성찰하였으며, 젠더-나이체제라는 이중적 억압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었다. 한편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등의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역사적 매개자로서의 책임 의식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단편소설 「석양을 등에 지고 그림자를 밟다」와 「빨갱이 바이러스」는 각각 작가의 삶과 문학 세계를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작을 통해 끝까지 현역작가로서 자신의 저자성을 담보 받고자 했던 작가의 염원이 실현될 수 있었던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32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8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