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한국어 부사어 연구 : A Study on Adverbials in Current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혜영

Advisor
장소원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부사어부사부사구부사절상황 표시 기능입장 표시 기능접속 기능문장 부사어성분 부사어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19. 8. 장소원.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dverbials in current Korean according to several features to find the system of current Korean adverbial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each type.
It i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the range of adverbials in Korean because they have much more constructions and semantic functions than any other sentence constituents. So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of adverbials and establish the range of them. This study defines adverbial as a word or a group of words modifying sentence elements in a sentence except nouns or noun equivalents and claims that obligatory adverbials, coordinate clauses and subordinate clauses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adverbials. And the following work is that constructions, semantic functions and scopes of modifying are proposed as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adverbials.
On the basis of constructions, Adverbials are divided into adverbs, adverbial phrases, adverbial clauses, adverbial case postposition phrases, nouns, nominal phrases and nominal clauses. Adverbs which are composed of an adverb but not modify noun phrases are viewed as adverbials. Their construction is very simple but their usages are various. Several adverbs are used repeatedly, especially in conversation texts. Degree adverbs, negative adverbs, connective adverbs are used more repeatedly than others. Adverbial phrases are devided into 'modifying adverbial+modified adverb' and 'complement+adverb'. The kinds, meanings and usages of adverbs in adverbial phrases are restrictive. Adverbial clauses include coordinate clauses and subordinate clauses and have various semantic functions. They also have elliptical adverbial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some of them even can be used for connecting. Adverbial clauses, especially in conversation texts, are frequently used and hold a very high share of the total adverbials. In adverbial clauses, polysemous endings are used repeatedly in texts. While in thesis texts the preferred endings are used frequently only in written Korean, in conversation texts the preferred endings are used frequently only in spoken Korean. Adverbial case postposition phrases are a big part of adverbials and used frequently. A few adverbial case postpositions are used repeatedly, especially in thesis texts. Noun adverbials are almost the forms where adverbial case postpositions are omitted, but not every adverbial case postposition can be omitted. Thats why noun adverbials are not used in high frequency. Noun phrase adverbials have various constructions comparatively and are used in high frequency. Noun phrases with adnominal clauses, which have complex and various meanings, are used frequently. Noun clause adverbials are used scarcely.
On the basis of semantic functions, the semantic functions of adverbials are divided into indicating circumstances, indicating stances and connecting. Adverbials indicating circumstances are divided into space adverbials, time adverbials, degree adverbials, manner adverbials, logical relation adverbials, background adverbials and negation adverbials. And adverbials indicating stances are divided into modal adverbials, domain adverbials and style adverbials. Moreover, each type of adverbials can be sub-classified. On the other hand, connecting is the subordinate function that adverbials have when they don't indicate circumstances or stances directly but just indicate the fact that the preceding context indicates circumstances or stances. Time adverbials, logical relation adverbials, background adverbials, modal adverbials, style adverbials can have this function.
Finally, on the basis of scopes of modifying, adverbials are divided into constituent adverbials and sentence adverbials, both of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he scopes of sentence adverbials don't depend on their positions. The positioning of adverbials in sentences depends on movements of other constituents. In many previous discussions, sentence adverbials were divided into modal adverbials and connective adverbials, but upon the investigation of this paper it is ascertained that there are various adverbials such as style adverbials, domain adverbials and time adverbials in sentence adverbials. Moreover, the scopes of sentence adverbials are determined by various mechanisms.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의 부사어의 유형을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나누어 한국어 부사어의 체계를 밝히고 각 유형의 특성과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사어는 다른 문장 성분에 비해 훨씬 다양한 구성과 의미기능을 가지고 있어 그 범주를 설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먼저 부사어를 정의하고 범주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는 부사어를 문장 안에서 체언 및 체언 상당어구 외의 다른 요소를 꾸미는 말로 정의하고, 필수성을 가지는 부사어들과 접속절로 주로 다루어진 절들을 모두 부사어의 범주에 포함한다. 그리고 이렇게 특정된 부사어들은 구성, 의미기능, 수식 범위를 기준으로 삼아 몇 가지로 유형 분류한다.
부사어를 구성에 따라 분류하면 부사, 부사구, 부사절, 부사격조사구, 체언, 체언구, 명사절로 나뉜다. 부사는 품사가 부사인 단일 어휘로 구성된 것인데 체언을 수식하는 부사는 제외된다. 구성은 단순하나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며 구어에서는 담화표지의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특정한 부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논문 텍스트보다는 일상대화 텍스트에서, 정도 부사와 부정 부사, 그리고 접속 기능을 하는 부사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부사구의 경우는 크게 수식 부사어+피수식 부사 구성과 보충어+부사 구성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부사구 부사어를 구성할 수 있는 부사의 종류와 의미는 한정적이며 쓰임 역시 비교적 제한적이다. 부사절 부사어는 기존의 한국어 문법 논의에서 종속접속절이나 대등접속절로 보았던 절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다양한 의미기능을 담당한다. 부사절 중에는 생략 부사어나 문법적 연어들도 있으며 일부 부사절은 문장 접속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부사절 부사어는 부사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며 특히 논문 텍스트보다 일상대화 텍스트에서 높은 빈도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의성을 가지는 부사형어미가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쓰이는 경향을 보이며 논문 텍스트와 일상대화 텍스트에서는 각각 문어에서만 선호되는 어미와 구어에서만 선호되는 어미가 고빈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부사격조사구 부사어는 한국어 부사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빈도가 높다. 적은 수의 부사격조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논문 텍스트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체언 부사어는 대부분 문맥에 의해서 유추가 가능한 부사격조사가 생략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모든 부사격조사가 쉽게 생략되는 것은 아니며, 이 때문에 체언 부사어는 그 빈도가 높지 않다. 체언구 부사어는 그 형태가 비교적 다양하고 빈도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관형절이 체언을 수식하는 형태의 체언구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한편, 명사절 부사어는 텍스트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부사어의 의미기능은 크게 상황 표시 기능과 입장 표시 기능, 그리고 접속 기능으로 나누어지며, 상황 표시 기능의 부사어는 다시 크게 공간 부사어, 시간 부사어, 정도 부사어, 방식 부사어, 논리적 관계 부사어, 바탕 부사어, 부정 부사어로, 입장 표시 기능의 부사어는 양태 부사어, 영역 부사어, 양식 부사어로 나뉜다. 또한 각각의 부사어는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더욱 다양한 하위 의미를 가진다. 한편, 접속 기능은 상황 표시 기능이나 입장 표시 기능을 담당하는 부사어가 문장이 나타내는 사태와 관련이 있는 상황 또는 입장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그것이 선행하는 문맥에 제시되어 있음을 표시할 때 부수적으로 담당하게 되는 기능인데, 접속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부사어로는 시간 부사어, 논리적 관계 부사어, 바탕 부사어, 양태 부사어, 양식 부사어가 있다.
마지막으로 부사어는 수식 범위에 따라 성분 부사어와 문장 부사어로 크게 나누어지며 둘은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이때 문장 부사어의 수식 범위는 문장 부사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며, 문장 부사어의 위치 변화는 부사어 외의 다른 성분이 이동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장 부사어는 기존 논의에서 양태 부사어와 접속 부사어로 나뉘는 경우가 많았으나, 실제로는 양식 부사어, 영역 부사어, 시간 부사어 등 다양한 부사어들이 문장 부사어로 쓰일 수 있으며, 문장 부사어의 수식 범위 역시 다양한 기제에 의해 결정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33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7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