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인도네시아어 통·번역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Focusing on the Learning Cases of Korean Speakers
한국어 화자의 학습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주원-
dc.contributor.author양은심에블린-
dc.date.accessioned2019-10-21T03:27:22Z-
dc.date.available2019-10-21T03:27:22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43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23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43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언어학과,2019. 8. 김주원.-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concern about the difficulties and errors that frequently occur in the field of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divided into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o prepare alternatives to identify and minimize difficulties and errors in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In addition, from the view point of functionalist theory of translation, this study aims to improv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education.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deal with the problems in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the preliminary survey investigates the difficulties and errors of frequent Indonesian-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student and expert groups. Based on the survey, the second part analyzes the problem, prepares an improvement plan, and applies the plan to the educational field, and investigates the improved results. The last part suggests direction of Indonesi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students at the undergraduate level.
In the preliminary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interest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as high (92%), and for student it was more difficult to translate and interpret from Korean to Indonesian than from Indonesian to Korean (78%). Difficulties in translating activities were use of proper vocabulary (80%), use of affixes (38%), and word order (25%). The most difficult part in interpreting activities was the lack of instant interpretation ability (71%), lack of listening ability (34%) and lack of confidence in interpretation (11%).
In the survey on expert group, it was found that the difficulties in Korean-Indonesian and Indonesian-Korean translating are similar. Meanwhile, for interpreting, they found Korean-Indonesian interpreting more difficult. The expert group recommended bilingual grammar and vocabulary learning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Second, this study divided the subjects of study into student beginner group, student intermediate group, and student advanced group to examined the patterns of translation errors. In student beginner group's translation tasks, errors as follows were found: ① use of affixes (22.05%), ② appropriate wordings (22.05%), ③ use of prepositions (13.30%), ④ passive sentence (9.27%), ⑤ use of conjunctions (7.12%), ⑥ use of time marking (6.98%), ⑦ use of personal pronouns (6.58%), ⑧ word order (6.31%), ⑨ subject/object missing (5.24%), and ⑩ similar words confusion (1.08%).
In the survey on student intermediate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rror in translating Korean endings and postpositional particles. In the intermediate level text translation, student intermediate group were found to have errors in translation of endings, post positional particles, and expressions in Korean. In the high-level text translation, the students made frequent mistakes in translation of Korean endings, long sentences, Chinese characters, and expressions.
In the survey on student advanced group difficulties in translating time markers, personal pronouns, conventional expressions, long sentence, and idioms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task, students immature contents were poor microphone discipline, monotonous or hesitant delivery and inaccurate Indonesian words pronunci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ystematic and continuous bilingual edu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xercise using various forms of text in the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education curriculum at the undergraduate level may escalate students ability not only in basic communication but also in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인도네시아어 통·번역 현장과 학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려움과 오류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다방면적으로 한-인 통·번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통·번역할 때의 어려움과 오류를 파악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기능주의 번역이론의 관점에서 실제 한국어-인도네시아어 통·번역 상황을 가정하여 통·번역교육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한국어-인도네시아어 통·번역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다룬 첫 시도라는 점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예비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인 학생그룹과 전문가그룹에서 빈발하는 한-인 통·번역의 어려움과 오류를 조사하는 것이다. 둘째,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마련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셋째, 학부 단계에서 한-인 통·번역을 위한 인도네시아어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조사 단계에서 학생그룹과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학생그룹의 통역이나 번역에 관심은 높은 것(92%)으로 나타났고 인도네시아어에서 한국어 통·번역에 비해 한국어에서 인도네시아어로 통·번역이 더 어렵다고 하였다(78%). 번역 활동할 때에 어려운 점은 가장 어려운 순으로 적절한 어휘 사용(80%), 접사 사용(38%), 어순(25%)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역 활동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는 순간통역능력부족(71%), 원어듣기능력 부족(34%)과 통역에 대한 자신감 부족(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그룹은 한국어-인도네시아어 또는 인도네시아어-한국어 양방향 번역의 어렵다고 느끼는 정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역에서는 한국어-인도네시아어로 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통·번역 교육을 위해 전문가그룹은 양국어 문법과 어휘 학습이 병행되어야 할 것을 권장하였으며 배운 내용을 숙지하고 다양한 텍스트를 접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본조사에서는 연구대상자를 학생초급그룹, 학생중급그룹 그리고 학생고급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 번역 오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생초급그룹 번역과제에서 총 10개의 오류가 발견되었다. 문장구조 오류는 ① 능동문 오류(22.04%), ② 피동문 오류 (9.27%), ③ 어순 오류(6.32%)이 발견되었고 어휘 사용 오류는 ① 적합한 어휘 사용 오류(22.04%), ② 전치사 사용 오류(13.30%), ③ 연결사 사용 오류(7.12%), ④ 시점 표기 사용 오류(6.98%), ⑤ 인칭대명사 사용 오류 (6.59%), ⑥ 주어·목적어 누락 오류(5.24%), ⑦ 유사 단어(1.08%) 등이 발견되었다.
학생중급그룹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초급단계 텍스트 번역에서는 한국어의 어미와 조사를 번역하는 것에 오류가 잦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급단계 텍스트 번역에서 연구대상자는 한국어의 종결어미, 조사, 그리고 표현 등의 번역에 오류가 잦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급단계 텍스트 번역에서는 연구대상자는 한국어의 연결어미, 긴 문장, 한자어, 표현 등의 번역에 오류가 잦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생고급그룹은 시점 표기, 인칭, 상투적인 표현, 긴 문장 나누기, 사자성어 등의 번역이 어려운 부분으로 발견되었다. 통역과제 분석 결과 미숙한 내용으로 마이크 사용 미숙과 단조로운 또는 머뭇거리는 말투가 두드러졌다. 그 외에 추가적으로 학생고급그룹의 인도네시아어 단어의 한국어식 발음이 미숙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한국어-인도네시아어 통·번역 교육 커리큘럼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양국어 교육과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 통·번역연습을 통해 학부 단계에서 기본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통·번역을 위한 인도네시아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대한의 내용전달이 가능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인도네시아어 통·번역 결과물을 생산해 낼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과 방법 4
1.2.1. 연구 목적 4
1.2.2. 연구 방법 5
1.3. 연구 구성 8
1.4. 연구 설계와 과정 10
2. 연구사 15
2.1. 번역이론과 번역교육 21
2.1.1. 번역의 개념과 이론 21
2.1.2. 번역교육과 번역교육의 한계 24
2.2. 통역이론과 통역교육 26
2.2.1. 통역의 개념과 이론 26
2.2.2. 통역교육과 통역교육의 한계 28
3.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언어 차이로 인한 통번역 어려움 33
3.1.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어순 차이로 인한 어려움 33
3.2.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접사 차이로 인한 어려움 36
3.3. 한국어의 시제와 인도네시아어의 시제표시 차이로 인한 어려움 38
3.4. 한국어의 조사로 인한 어려움 42
3.5. 한국어의 종결어미로 인한 어려움 43
3.6.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음운체계 차이로 인한 인도네시아어 발음의 어려움 45
3.7. 한국과 인도네시아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 46
3.8. 통번역 평가에 대한 제안 47
4. 한-인 통번역 어려움과 오류에 관한 예비조사 50
4.1. 학생그룹을 대상으로 한 통번역 어려움에 관한 예비조사 50
4.2.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한 통번역 어려움에 관한 예비조사 57
4.3. 동시통역 현장에서의 통역 어려움에 관한 예비조사 65
5. 학생그룹의 한-인 통번역의 어려움과 오류에 관한 본조사 75
5.1. 학생초급그룹의 번역의 어려움과 오류 75
5.1.1. 문장구조 오류 80
5.1.1.1. 주어 누락 오류 81
5.1.1.2. 목적어 누락 오류 82
5.1.2. 어순 오류 84
5.1.2.1. 일반적인 어순 오류 84
5.1.2.2. 능동문 오류 87
5.1.2.3. 피동문 오류 96
5.1.3. 어휘 사용 오류 102
5.1.3.1. 적합한 어휘 사용 오류 102
5.1.3.2. 인칭대명사 사용 오류 110
5.1.3.3. 시점 표기 사용 오류 113
5.1.3.4. 연결사 사용 오류 117
5.1.3.5. 전치사 사용 오류 123
5.1.3.6. 유사 단어 사용 오류 127
5.2. 학생중급그룹의 번역의 어려움과 오류 131
5.2.1. 초급단계 텍스트 번역의 어려움과 오류 131
5.2.1.1. 어미 번역의 오류 131
5.2.1.2. 조사 번역의 오류 134
5.2.2. 중급단계 텍스트 번역의 어려움과 오류 135
5.2.2.1. 어미 번역의 오류 136
5.2.2.2. 표현 번역의 오류 138
5.2.3. 고급단계 텍스트 번역의 어려움과 오류 143
5.2.3.1. 어휘 사용 오류 144
5.2.3.2. 어미 번역의 오류 146
5.2.3.3. 긴 문장 번역의 오류 147
5.2.3.4. 한자어와 상투적인 표현 번역의 오류 150
5.3. 학생고급그룹의 인도네시아어 통번역의 어려움과 오류 152
5.3.1. 학생고급그룹의 인도네시아어 능력 현황 152
5.3.2. 학생고급그룹의 번역과 통역의 어려움과 오류 156
5.3.2.1. 학생고급그룹의 번역의 어려움과 오류 156
5.3.2.2 학생고급그룹의 통역의 어려움과 오류 164
6. 결론 167
참고문헌 171
Abstract 252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어-
dc.subject인도네시아어-
dc.subject통역-
dc.subject번역-
dc.subject통역 어려움-
dc.subject통역 오류-
dc.subject번역 어려움-
dc.subject번역 오류-
dc.subject인도네시아어 습득-
dc.subject인도네시아어 능력 평가-
dc.subject.ddc401-
dc.title한국어-인도네시아어 통·번역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Focusing on the Learning Cases of Korean Speaker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언어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한국어 화자의 학습사례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역시비교언어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43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43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