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과 중국의 정부신뢰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Government Trust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Government Trust
계층적 정부신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Mou Feijie

Advisor
김순은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중 비교정부신뢰계층적 정부신뢰정치문화제도성과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trust in governmenthierarchical government trustpolitical cultureinstitutional performance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2019. 8. 김순은.
Abstract
Trust, as excellent social capital,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costs in social communication and promoting harmonious social development. The issue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sounds like a platitude, but nevertheless it is a thought-provoking problem. In the microscopic view, the trust in the government relates to the smooth operation of the government policy; in the macroscopic view, it concerns the legitimacy of a regime. Hence, the issue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has been the center of attention in different historical eras.
Compared with China, most of the other countries level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is not high. In terms of the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 Chinese public trust in government has demonstrated a distinctive trait. According to Li Lianjiang, in China there is a high level of trust in the national government but a low level of trust in the local government, which is referred to as a hierarchical government trust structure. Contrarily, most of the capitalist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ve a reversed government trust structure. To be more specific, a high level of trust is demonstrated in the local government, while a low level of trust in the national government.
Many scholars attribute a low level of government trust to high public exceptions brought by economic growth, while other scholars argue that it is the paradox of distance caused by devolution that leads to the reverse-hierarchical government trust in the western countries. Chinese scholars believe that it is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the cultural tradition, and government performance that affect Chinese hierarchical government trust.
Among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South Korea is the unique country which shares the most similar cultural tradition with China. Moreover, the state-dominant economic development model of South Korea is the same as that of China. According to the research literature and social survey in South Korea, until the early 1980s, South Korean citizens have demonstrated more trust in and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national rather than the local government affairs. The change took place after the democracy movement in 1987 and the decentralization in 1994. Over the past decade, the South Koreans overall trust in the government is not high. Also, like most western capitalist countries, South Korea is featured by a reverse-hierarchical government trust structure.
The current study aim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public government trust of South Korea and China which have a similar cultural background but different economic development levels and political systems.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 natural experiment, the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 trust will be conducted in terms of the consistency, difference as well as simultaneous changes of China and South Korea.
The research frame i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human beings are the combination of rationality and sensibility. Furthermore, two questions have been raised in the current study. Firstly, why are citizens trust in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consistent? Moreover, if the trust is closely related to culture and government performance, how is South Korean citizens trust in their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4th Asian Barometer Surve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theory and institutional theory, independent variables, namely, traditional Asian value, diffused support, such as the support to the regime, and special support, for example the transparency and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the social capital, media use habits, etc., have been analyzed by a classic regression model. And a ANCOVA method is also appli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regression model slopes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rust.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cultural influence o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rust is waning gradually. As for the cultural factors, the consciousness of obedience to authority does not bear any relation to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rust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groupism is only related to the national government trust. As for the institutional factors, in South Korea, community consciousness(part of the diffused support) is irrelated with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rust. Whereas, it is related to the Chinese national but not local government trust. In terms of special support, South Korean governments responsiveness and anti-corruption performance have been proved to be related with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rust.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sponsiveness, transparency, anti-corruption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all demonstrate a positive statistic correlation to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rust in China.
Finally, it is found in the paper that the sources of Chinese national government trust are richer than that of Chinese local government, which means the public trust in Chinese national government, especially the national government can get more support from cultural factors, diffused support and special support, while the trust in the local government is relatively weaker. This situation is owing to the integration of the CPC Party and government and the national governmental control over the local government.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slight influence of the cultural factor, diffused support, and the citizens high expectation,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overnment trust and government performance. South Koreas government trust structure presents a trend of separatism caused by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institutional reform.
본 연구는 정부신뢰 형태 중 계층적 정부신뢰를 적용하여 한국과 중국의 정부신뢰 영향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계층적 정부신뢰는 한 사람이 다른 계층의 정부에 대해 다른 신뢰 태도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계층적 정부신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서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지만, 중국에서 이런 현상이 오래전부터 뚜렷하게 존재해 왔기 때문에 계층적 정부신뢰의 의미가 잘 밝혀졌다. 현재 한국은 중앙정부에 대한 신뢰가 낮고,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는 높은 역계층적 정부신뢰 형태를 가지며, 중국은 이와 반대로, 중앙정부에 대한 신뢰는 높고,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가 낮은 정부신뢰 형태를 갖고 있다. 정부신뢰의 영향 요소는 일반적으로 문화론적 측면 및 제도·성과론적 측면으로 나누어서 접근한다. 문화론적 측면에서 볼 때, 정부에 대한 신뢰는 사회문화 속에 있는 일반신뢰의 확산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신뢰는 감성을 기반으로 발생한 감정적인 행동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제도·성과 측면에서 보면, 정부에 대한 신뢰는 현실 성과에 근거한 이성적인 판단으로 볼 수 있다. 즉 국민은 정부 또는 정부의 제도가 이루어낸 성과에 근거를 두고 정부에 대한 지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런 두 가지 접근법 아래, 한 나라의 문화적 배경 및 정부의 성과는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 중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 된다. 비교의 관점에서 출발하면, 비교 대상의 일치성, 차이성, 공동변화성을 고려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동아시아 유교 국가로 분류되어 그들의 문화적 배경이 매우 유사하다고 인식된다. 또한, 한국과 중국은 비슷한 경제발전 노선인 중앙집권주의적 경제발전 모델을 채택했다. 이런 일치성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제도·성과적 요소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양국의 정부신뢰 형태의 차이가 이러한 제도·성과적 요소와 연관성이 있는지가 본 논문의 연구주제이다. 즉, 문화적 배경이 유사하고, 제도와 성과가 서로 다른 두 국가에서 중앙과 지방정부 사이에 신뢰 차이가 발생하는 영향 요소가 무엇이고, 그 가능한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연구해 보려고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같은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중앙과 지방정부에게 서로 다른 신뢰 태도를 보여주는 개인을 감성 및 이성이 공존하는 결합체로 보고, 감성적, 즉 문화적 요소 그리고 이성적, 즉 정부 실적에 대한 인식이 중앙 및 지방정부신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 논문에서는 문화적 요소를 권위복종, 집단의식으로 구성된 단일차원으로, 그리고 제도·성과적 요소는 공동체의식, 레짐지지로 구성된 포괄적 지지 및 정부의 절차적 요소(정부 투명성, 정부 대응성), 정부의 기능적 요소(정부 경제성과, 부패퇴치)로 구성된 특정적 지지의 2개 차원으로 나누어서 한국과 중국의 중앙과 지방정부에 동일한 독립변수를 적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중국은 경제발전에 따라 문화적 요소와 정부신뢰의 상관관계가 점차 약화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대한 문화적 신뢰 영향 요소를 살펴보면, 권위복종 의식이 중앙과 지방정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무의미하게 나오고, 집단의식이 중앙정부 수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다. 한편, 포괄적 지지 측면에서 보면, 레짐에 대한 지지는 중앙과 지방정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오지만, 공동체 의식이 전부 무의미하게 나왔다. 또한, 특정적 지지 측면에서 보면, 중앙정부 수준에서 절차적 성과인 대응성과 기능적 성과인 부패퇴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오지만, 지방정부 수준에서 볼 때 절차적 성과인 대응성과 기능적 성과인 경제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권위복종 의식이 중앙과 지방정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못하며, 집단의식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수준에서 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오지만, 지방정부의 회귀계수는 마이너스 부호를 가진다. 즉, 집단주의 의식이 강할수록, 중국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가 오히려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한편, 포괄적 지지 측면에서 보면, 레짐에 대한 지지는 중앙과 지방정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만 공동체 의식은 중앙정부 수준에서만 유의미하게 나오고, 지방정부 수준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못했다. 그리고 특정적 지지 측면을 살펴보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절차적 성과 및 기능적 성과 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회귀결과가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비교하면, 한국과 중국의 정부신뢰 영향 요소에 있어서 문화적 요소 측면에서는 두 국가는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제도·성과적 요소 측면에서는 중국의 포괄적 지지 및 특정적 지지가 한국보다 더 강력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중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 중앙정부 수준에서는 신뢰의 원인인 포괄적 지지의 수준이 낮다. 그리고 한국의 중앙과 지방정부 수준에서는 특정적 지지도 부족하다. 이런 차이는 한국이 민주주의 체제와 지방분권 제도를 채택하였고 중국이 공산주의 체제와 당정일체 정부 구조를 채택한 점 및 양국의 경제발전 수준의 차이에 따른 양국 국민의 가치관의 차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49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