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학업성취의 차이 및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비교 : Comparisons between College Admission Typ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lated Factor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주; 권나현

Issue Date
2018-09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3, pp. 825-851
Keywords
대학입학전형자아존중감전공 선택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대학생활적응학업성취college admission typeself-esteemreason for selecting one’s major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tionstudent adjustment to collegeacademic achievemen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입학전형에 따라 대학생들의 학업성취(평균학점) 및 그 관련 변인(자아존중감, 전공 선택 이유,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활적응)의 평균과 구조적 관계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한 사립대학의 재학생 5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변량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와 평균학점은 학생부전형 입학생이 수능전형 입학생보다 높았고, 흥미와 적성으로 인한 전공 선택 비율은 학생부-수능 혼합 전형이 다른 전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외의 변인에서는 입학전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연구 변인간 구조적 관계에서는 입학전형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아 대학생의 학업성취 및 그 관련 요인의 영향이 입학전형 간에 동일함을 나타내었다. 입학전형과 관련 없이, 자아존중감은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업적응, 흥미와 적성에 의한 전공 선택은 평균학점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입학전형 별 추수 프로그램보다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흥미와 진로계획에 따른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대학생의 생활적응과 학업성취 지원에 효과적이며,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지원하는 진로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between college admission types exist in the mean levels and relations among self-esteem, the reason for selecting ones major, extra curricular program participa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attachment to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516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and S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vels of 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GPA) were higher for the students who entered university through Comprehensive School Report admission type compared to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dmission type. 2)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ollege admission types that existed in the patterns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reason for selecting major, 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tion,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nd academic achievement. 3) The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s of self-esteem on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nd 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tion. Furthermore, 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tion, academic adjustment, and major decision based on interests and ap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GPA regardless of college admission types. These results mean that colleges need to develop effective extracurricular programs to increase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 schools need to provide career orientation for students to be prepared in deciding their college major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63053
DOI
https://doi.org/10.15753/aje.2018.09.19.3.8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