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성숙도의 발달 유형과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Type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StudentsCareerMaturityUsingLatentTransitionAnaly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미림; 유예림; 황은희; 김선용

Issue Date
2019-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1, pp. 173-197
Keywords
진로성숙도대학생잠재전이분석잠재집단분석로지스틱 회귀분석Career MaturityCollege StudentsLatent Transition AnalysisLatent Class AnalysisLogistic Regression
Description
이 논문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최한 제12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2018.11.30.)에 발표된 원고를 수정·보완한 것임.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활용하여 대학생 진로성숙도 유형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진로성숙도 유형의 전이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 9차년도 진로성숙도 문항에 모두 응답한 일반대학의 대학생 678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1학년 시기와 4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잠재 프로파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유형은 대학교 1학년 시기의 경우 소극적, 중수준, 고수준의 3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으나, 4학년 시기의 경우 소극적, 저수준, 고수준, 적극적의 4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대학생 진로성숙도 유형의 전이 양상은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진로성숙도 프로파일의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이 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소극적, 고수준 집단의 경우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자아개념이, 중수준 집단의 경우 대학교 4학년 시기의 교내 취업지원 프로그램 경험이 진로성숙도 발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추후 학생들의 진로 발달 지원 관련 정책 수립이나 대학 차원의 진로지원 체계 구축 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8 undergraduates who responded to both the 7th and 9th year career maturity item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career maturity during the first year in college (Passive, Middle Level, and High Level) were different from the latent profiles of career maturity during the fourth year in college (Passive, Low Level, High Level, and Active). Second, the transition patterns of career matur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atent status of career maturity in the first year in college.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ition of career matur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ransition pattern. The self-concept of the first year in college, for Passive and High Level groups, and the experience of on-campu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years in college, for Middle Level group,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background on career maturity change in college years.
Also,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career support system at university level.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64902
DOI
https://doi.org/10.15753/aje.2019.03.20.1.1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