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환자 가족의 연명 의료 관련 지식, 인식, 태도 및 간호사 역할 인식과 요구 : Knowledge, Awareness, Attitude, and Role perception, Needs about nurse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선정

Advisor
탁성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 간호학과,2020. 2. 탁성희.
Abstract
The life sustaining treatment enabled by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technologies has resulted in meaningless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with no possibility of recovery. Consequently, dignified death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Along with the social atmosphere as such, as ethical issues related to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have occurred, the necessity of legislation for decisions on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has emerged.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was enacted on February 4, 2018 and has been in effect thereafter. Some contents were amended on March 28, 2019, and the amended contents have been applied to the field.
However, in South Korea, it has not yet been universalized for patients to complete a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plan in advance, and in most cases, the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plan is completed just before the death or befor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the decision of the patients family memb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knowledge, awareness, attitude, and role perception, needs about nurse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new system termed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Also, examine their perception and needs of the rol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on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required from nurses as medical worke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regard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of family member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pouses, parents, children, or siblings among family members of critically ill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to the intensive care units of one higher general hospital in Seoul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July 30 to October 7, 2019. For ethical protection of the su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being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for Medical Research Ethics (IRB)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nd wa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managers of individual departments. A total of 91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urveys and 9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mong them, 89 copies were used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study except for two copies with insufficient answer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R version 3.5.1 statistical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critically ill patients family members for knowledge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was 8.88, that for attitudes was 3.43, and that for nurse role perception was 4.12. Additionally, the most frequently required nurse's role was the role as a pain controller. In a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most critically ill patients family members answered that they needed explanations about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and the stop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Furthermore, to the questions regarding an appropriate time for the explanations about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the ratios of the answer immediately after admission were the highest among both the critic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On review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could be seen that knowledge about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ngths of patients stay at the intensive care unit(t = 3.527, p <.001) and whether the subject heard about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t = 3.806, p <.001). Attitudes toward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ges by age group (F = 4.7954, p = .0106), lengths of stay at the intensive care unit (F = 2.3998, p = .00191), whether the subject heard about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t = 2.2588, p = .03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ole perception about intensive care unit nurses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family members and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reviewing the correlations between critically ill patients family members knowledge, awareness, attitudes, and nurse role perceptions and needs about nurse regarding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knowledge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ttitudes toward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r=0.46, p<.001).
According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of family about life sustaining treatment indicated that knowledge about life sustaining treatment(β=.278,p=.021) and awareness about life sustaining treatment (β=-.258,p=.018) were influencing factors. These variables explained 23.3% of attitude toward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of patients family.
It was concluded that an increase knowledge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family members led to an increase attitude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family members regarding life sustaining prolong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state of critically ill patients family members who are highly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on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as the subjects of decision-making was identified and the findings will be evidentiary materials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fit their view and demand. This study could provide baseline data for future stud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ollow-up studies that will develop life sustaining treatment related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and evaluate the effects will be needed.
현대 의료 기술의 발달이 야기한 생명의 연장은 회생 가능성이 없는 무의미한 연명 의료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존엄한 죽음이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와 더불어 연명 의료와 관련된 윤리적인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연명 의료 결정에 대한 법제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2018년 2월 4일부터 연명 의료 결정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2019년 3월 28일, 일부 내용이 개정되어 현장에 적용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연명 의료 계획서를 환자가 사전에 미리 작성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있지 않으며, 대개의 경우 환자 가족의 결정에 의해 임종 직전, 심폐소생술 시행 직전에 연명 의료 계획서를 작성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연명 의료 결정법이라는 새로운 제도가 시행된 후 중환자 가족의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에 대해 파악하고, 연명 의료 결정 과정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에 대한 역할 인식과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간호사의 의료인으로서 요구되는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의 상관 관계 및 영향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1개의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실한 중환자의 가족 중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 또는 자매로 편의 표집하여 시행되었으며, 2019년 7월 30일부터 10월 7일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되었다.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연구윤리센터의 의학 연구 윤리 심의 위원회(IRB)의 연구 승인을 받은 뒤 각 부서의 관리자의 협조를 얻어 실시되었다. 총 91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91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그 중 대답이 불충분한 2부를 제외한 89부를 연구의 결과 해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R version 3.5.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환자 가족의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은 평균 평점 8.88점, 태도는 3.43점, 간호사 역할 인식은 4.12점의 평균 점수를 보였다. 더불어 1순위로 요구되는 간호사의 역할은 통증 관리자로서의 역할이었다. 연명 의료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설문에서는 대부분의 중환자 가족이 연명 의료에 대한 설명과 연명 의료 중단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연명 의료 중단에 대한 설명의 적절한 시기에 대한 문항들은 환자와 중환자 가족에게 모두 입원 즉시 설명해야 한다는 응답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환자 가족의 지식, 태도, 간호사 역할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은 환자의 중환자실 재원 기간(t=3.527, p<.001)과 연명 의료 결정법에 대해 들어본 경험 유무(t=3.806,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명 의료에 대한 태도는 연령대별 나이(F=4.7954, p=.0106), 중환자실 재원 기간(F=2.3998, p=.00191), 연명 의료 결정법에 대해 들어본 경험 유무(t=2.2588, p=.03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환자 가족의 중환자실 간호사 역할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에서의 결과와 같았다.
중환자 가족의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사 역할 인식 간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은 연명 의료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r=0.46, p<.001)를 보였다. 이에 중환자 가족의 연명 의료에 대한 태도의 영향 요인을 다중 회귀 분석을 적용한 결과 태도의 영향 요인으로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β=.278,p=.021), 인식(β=-.258,p=.018)이 선택되었다. 선택된 변수들은 연명 의료에 대한 태도의 23.34%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환자 가족에게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연명 의료 중단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임상 현장에서 환자의 무의미한 연명 의료의 시행을 중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중환자 가족에게 연명 의료와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이러한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간호 중재들의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연명 의료 결정에 대한 중환자 가족의 지식과 태도의 인과 관계 및 영향요인에 대한 다양한 배경에서의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명 의료 결정 과정에 의사 결정의 대상자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중환자 가족의 현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환자 가족의 연명 의료 결정 과정에서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요구에 대해 범주화 해 알아봄으로써 그들이 실제 필요로 하는 간호사 역할의 범주가 무엇인지 파악해 보았다.
또한 관련 요인들의 상관 관계와 영향 요인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추후 연명 의료 결정법 시행 후의 중환자 가족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추후 연명 의료 결정 과정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확인하는데 있어 간호사에 대한 역할 인식을 확고히 하고, 간호 대상자에게는 그들이 요구하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8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