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alyzing the Functional Spaces of Military Dining Faciliti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승후

Advisor
박문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20. 2. 박문서.
Abstract
This research u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functional space and evaluation factors of each functional space of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Dining in the military is an important factor in restoring combat power and promoting morale.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serves as a not only for meals, but also for watching TV, education and club activities. Workers working in dining facility spend most of their work hours in dining facility, perform tasks such as cooking, dishwashing, and leftover disposal, and take breaks. As such,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is a space where various functions are performed, and space planning should take into account these various functions when planning the building of the dining facility.
However, the criteria for defense and military facilities, which are the basis for planning the space of military dining facility, are calculated only by simply analyzing the standard floor plan to match the size of the person-to. Therefore, when there is space to be reduced in the total area,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leaving visible table space without consideration for priority or functional space, unseen office space, and adjusting the entire area through reduction of the lounge.
Accordingly,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space that the staff of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considers importa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unctional space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ts unique function. This can be an indicator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vision of the building floor area standards of the defense and military facilities standards, and it can improve usability with an efficient space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ilitary and the satisfaction of its worke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not only to military dining facilities but also to school cafeterias where group meals are served.
군 병영 내에서의 식사는 전투력 복원과 사기 증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군의 취사식당은 식사뿐만 아니라 TV 시청, 교육, 동아리 활동 등의 소모임 기능을 수행한다. 식당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조리부사관/병/군무원 등)들은 일과시간 대부분을 식당에서 보내며 취사, 식기세척, 잔반 처리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휴식도 취한다. 이처럼 군의 취사식당은 여러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취사식당 건축 계획 시에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고려한 공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집단생활을 군부대의 특성상 식중독 등의 질병 발생 시 전염의 우려가 높으며 이는 곧 전투력 하락으로 직결된다. 식당에서의 위생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위생 관리체계인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eria Control Point System)에서는 식품을 다루는 환경에 관하여 효과적인 위생관리를 위해서는 공간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공간구성이 적절하지 못하면 위생원칙에 반하는 동선을 유도하게 되어 위생관리가 어려워지고, 식당 구성공간에 위생개념이 고려되면 위생원칙을 준수하기 쉬워지고 위생관리가 편해지므로(Lee, 2011), 기능공간 계획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군 취사식당의 공간을 계획함에서 기준이 되는 국방군사시설기준은 표준 평면도를 단순 분석하여 인당 규모에 맞도록 한 계산식으로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체 면적에서 줄여야 할 공간이 있을 때 우선순위에 대한 기준이나 기능공간에 대한 고려 없이 눈에 보이는 테이블 공간은 남겨두고 보이지 않는 사무실 삭제, 휴게실 축소 등을 통해서 전체 면적을 맞추는 등의 부작용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 공공시설 취사식당의 건축계획은 식당 내부의 세부공간 기능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공무원 수 전체 인원에 대한 비율에 해당하는 전체면적만을 제시하는 수준이고, 미군의 경우는 Public area, Serving area, Preparation area, Support area 등의 기능공간 분류를 통해 한국군보다 세부적인 기능공간별 바닥면적을 제시하고 있으나 주·부식, 취사방법 등의 차이로 인해 적용하기에는 제한사항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군 취사식당을 대상으로 취사식당 근무자가 중요시 여기는 공간의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고유 기능에 따른 분류를 통해 기능공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국방군사시설기준의 건축바닥면적기준 개정 시에 관련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고, 한국군 특성과 근무자 만족도를 고려한 효율적인 공간계획으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군 취사식당 뿐만 아니라 단체급식이 이루어지는 학교 식당 등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7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