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사망 연관성 차이 :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고은

Advisor
정완교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2020. 2. 정완교.
Abstract
주관적 건강은 보건학적으로 가치있는 지표이며, 역학, 보건학 및 건강형평성 연구에서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로 주로 쓰인다. 하지만 주관적 건강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므로 그 차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건강 상태 변수와 건강 행태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주관적 건강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ii)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주관적 건강과 사망의 연관성이 상이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원으로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6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i)을 알아보기 위해, 종속 변수를 주관적 건강으로, 독립 변수를 사회경제적 수준으로, 통제 변수를 건강 상태 변수와 건강 행태 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ii)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변수는 주관적 건강으로, 종속 변수는 사망으로, 통제 변수는 교육 수준, 종사상 지위, 소득 수준으로 하여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i)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자신의 건강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ii)교육 수준이 높을 때, 일용직 및 임시직일 때보다 상용 근로자일 때, 주관적 건강과 사망과의 연관성이 높았다. 소득 수준에 따라서는 주관적 건강과 사망의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할 확률이 높으며, 주관적 건강과의 사망과 연관성 또한 낮음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종사상 지위에 따른 주관적 건강의 사망연관성 차이를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주관적 건강 변수를 사용하는 연구자 및 그 연구 결과를 정책에 활용하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주관적 건강 변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Self-rated health is a widely used measure of health status in public health and epidemiology and as a measure of inequalities in health. However, self-rated health needs to be checked for heterogeneity because individuals will report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 the self-rated health evaluation and ii)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death vari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level when controlling for health status variables and health behavior variables.
We used the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06-2016. We used logistic regression and a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djusting for health status variables and health behavior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assess their health negatively. The association of self rated health and mortality was higher for highly educated individuals and regular workers compared to lower educated individuals and temporary workers. According to income leve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analyzed, for the first time, the association of mortality in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occupational status in Korea.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help researchers who use self-rated health variables and policymakers who use those variables to write policies to help them understand self-rated health variables and establish relevant policies.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4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