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키에르케고르의 '불안'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 The Implication of the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on Philosophy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ential self-relationship
청소년 자기 관계의 관점에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하영

Advisor
곽덕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2020. 2. 곽덕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the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meaning of anxiety so that we can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aling with increasing anxiety among todays adolescents by educational method. Increasing mental ill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has lately become a serious problem in education, and the urgency of this problem is requiring us to explain the reason why mental illness is increasing among adolescents even though the educational system has not changed in significant ways for a long time. I assumes that this can be explained further if we pay attention to new ethics in the present ages. The new ethics has made many adolescents seek relationship within themselves instead of struggling with obligations imposed from outside. However, their pursuit of inner autonomy also seems to contribute to growing anxiety accompanied by making choices and the ensuing responsibility. In this respect, I narrowed the problem of mental illness down to anxiety, and focused on the anxiety in terms of self-relationship.

Anxiety has typically been regarded as serious psychological disturbance against consecutive educational development, so in education, it has been what needs to be avoided if possible, and cured with the help of psychotherapy and clinical prescription. However, according to Kierkegaard, we human develop not in a continuous form, but through discontinuous disconnections and unexpected leaps, and anxiety can be educative itself by stimulating such qualitative leaps. For him, anxiety appears as an unavoidable phenomenon for humans who are under the condition of existence, in which we constantly face choices and must decide what to choose to deal with situations surging upon us in the real world, but it also indicates us importantly to become ourselves in an essential way by making us feel responsible for ourselves as the only subject of our lives. Along with this existential perspective of anxiety, this research intends to show how anxiety can be interpreted as the sign of a struggling existential self, and through facing this anxiety, how we can become a real, and ethical self. This course of exploration ultimately aims to draws an implication of anxiety on education.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we need to see the way of viewing anxiety within the context of the existential self-relationship, and anxiety can be educative if it leads us to face ourselves and to become their true self. We would be able to reach out to students with their anxieties by helping them to be themselves and become subjective within educ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증가하는 청소년 정신 병리 현상의 배후에 불안 정서를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하여 불안의 교육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불안의 교육적 해소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자는 그 동안 아이들이 느끼는 불행의 원인으로 꾸준히 문제 제기되어온 경직적인 입시제도만으로는 오늘날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독 증가하는 정신적 병리 현상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변화된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달라진 자기 관계의 양상에 주목한다. 변화된 사회·문화적 배경은 포스트 모던 사조의 영향을 받아 외부적 권위에의 거부, 전통적 질서에 대한 의심으로 특징지어지며, 이에 영향을 받은 오늘날 청소년들은 기성세대들의 조언과 외부적 권위를 맹목적으로 따르기보다, 자기 자신의 내면에 더욱 투명하게 다가가고자 하는 자기 진실성의 윤리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표면적으로는 아이들에게 스스로 삶의 가치관과 방향성을 결정하고자 하는 자율성과 주체성이 확대된 듯 보이지만, 그 이면에 선택의 몫을 홀로 책임지고, 감당해내야 내야 하는 불안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에 이 연구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교육 환경 속에서 불안은 주로 학생들의 효율적인 교육 목적의 달성을 방해하는 부정적 정서로 해석되어 왔는데,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불안은 병리적 현상으로서 속히 치료되어야 하는 것으로, 혹은 교육 제도적 개선을 통해 억제되어야 하는 현상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청소년 불안 현상을 교육의 장에서 직접적으로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은 차단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연구자는 불안을 임상병리학, 혹은 정신의학적 관점이 아닌 실존적 자기 관계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불안의 실존적인 차원에 대해 주목하는 여러 사상가들 중에서도, 키에르케고르는 실존적 자기 관계의 관점에서 불안 현상을 고찰하는 가운데, 불안이 자기 형성의 과제로 이어질 때 교육적인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인간은 건강하게 불안해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키에르케고르의 관점이 이 연구가 목적하는 바인, 청소년 불안 현상을 교육적으로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불안에 대한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적 해석에 기대어, 본문 2장에서는 다양한 실존적 자기 관계의 양태에서 출현하는 불안의 유형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오늘날 청소년들 가운데 나타나는 여러 불안의 유형들을 어떻게 실존적 자기 관계에서의 위기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불안이 인간에게 자기 자신과 갈등 중인 상황을 표시함으로써 계속해서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해 힘써야 함을 표지하는 중요한 교육적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낸다. 불안이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교육적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러한 키에르케고르의 해석은, 다음으로 불안이 지시하는 자아의 과제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탐구를 요청한다. 따라서 본문 3장에서는 오늘날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자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키에르케고르의 윤리적·실천적 자아관을 통해 탐색해본다. 삶 전반에 걸쳐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윤리적 실천이 함의하는 바는 키에르케고르의 자아관을 통해 더욱 명료하게 드러날 것이며, 결과적으로 교육이 어떻게 아이들의 자아 발달과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론 4장에서는 실존적 자기 관계의 관점에서 바라본 불안이 오늘날 우리 교육에 구체적으로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 본문 2, 3장에 걸친 탐구를 통해, 우리는 교육 현장에서 불안은 단지 전문 상담사나 임상적 처방을 통해 속히 치료되어야 할 현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윤리적인 자아 발달에 있어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현상으로서 교육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존적 자기 관계의 관점에서 불안이 윤리적인 자아 형성을 계속해서 표시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결과적으로 우리는 아이들이 개방적으로 자기 자신을 계속해서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아이들이 불안을 회피하지 않고, 건강하게 인내하게 하는 하나의 교육적 실천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연구자는 청소년들의 불안이 점차 증폭되어 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우리 교육이 불안을 막연히 부정적 심리로 치부하는 관점을 탈피하여 불안에 대한 인식적 전환과 함께, 불안에 대한 교육적 처방으로서 청소년들의 윤리적 자아 형성을 적극적으로 도울 것을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6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