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 정서조절 프로그램의 타당성 연구 : Validity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self-control progra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하은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2020. 2. 김동일.
Abstract
This research looks to develop a program to help elementary students improve their emotional self-control, and evaluate the programs validity. The overall emotional stress levels in elementary students is increasing. Emotional education, therefore, during this period is important, as the emotional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is the foundation for future emotional capabilities in adulthood.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school counselors, the lack of properly qualified professionals and limited time with the students is preventing the necessary education students require. Therefore, this research looks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evaluate its validity through three methods.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a total of six emotional self-control sessions were developed. Next, two sixth grade classes in A Elementary School, Seoul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ith the clas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ei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non-participating class being the control group.
The validity results of the self-control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eleven selected experts. The eleven experts were given a survey asking the programs content and structures relevance. The results showed the CVR value to be higher than the .59 necessary to deem the content valid, validating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program.
Second, the programs response process validity was evaluated through a subjective assessment b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asked questions on the changes they experienced through the program, with the results analyzed based 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approach.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responses displaying emotional self-control. This validate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triggering emotional self-control in students.
Finally, sign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Results showed, of the social emotional capabilities, self management construc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elf awareness,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may be due to the program being focused on the students individual ability to emotionally self-control, and therefore not prove statically significant in areas such as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Despite such results, the sign test still proved to be meaningful as it showed an increase in participants ability to self manage their emotions depending on their goals.
In summary, the emotional self-control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proved to be valid in its content, in getting a response from the participating students, and increasing their emotional self-control abilities. Theref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foundation to enhance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self-control, and provide an effective approach to implement emotional educations in elementary schools.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정서조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생들의 정서적 스트레스가 점차 심해지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 시기는 이후 성인기의 정서능력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정서교육이 의미가 있다. 정서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인력으로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어 있지만 심리적 소진, 전문성에 대한 논란, 시간부족과 같은 이유로 직무수행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상담교사가 이용할 수 있는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사회정서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세 가지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담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에 따라 6회기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예비 연구 후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서울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두 학급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구분하여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8명으로 배정되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평정을 통하여 내용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총 11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조의 적절성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VR 수치가 패널 11명일 때의 최소 기준치인 .59를 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조에 있어서 타당성을 확보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프로그램의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여 반응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참여한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이후 변화된 자신의 모습에 대해 묻는 질문을 한 후 그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수정본(CQR-M)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반응에서 정서조절 요소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정서조절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부호검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관리 구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지만 자기인식, 사회인식, 관계 관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스스로의 정서조절에 초점이 되어 있기 때문에 타인차원의 구인인 사회인식과 관계 관리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내지 못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럼에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자기 정서를 목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자기관리에 있어서는 상승하는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연구를 요약하면 초등학생 정서조절 프로그램은 내용적으로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자 하는 학생들의 반응을 이끌어냄을 확인하였고, 학생들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일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의 시작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 제도권 내에서 정서교육을 위해 실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