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의 정체성 학습 연구 : A Study on Identity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ing on the conflict and negotiation between parent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학부모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의 갈등과 협상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대중-
dc.contributor.author이지환-
dc.date.accessioned2020-05-07T04:30:25Z-
dc.date.available2020-05-07T04:30:2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09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97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2020. 2. 강대중.-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체성 형성 과정을 학습의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의 역할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드러나는 학습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가 되기 전 자녀 없는 초등 교사로서 인식한 초등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 교사의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에서 드러나는 학습의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 여성 교사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학부모가 되기 전 교사의 역할 정체성이 드러나는 장면과 기존의 교사 정체성이 새로 구성되어가는 학부모정체성과 갈등을 일으키는 장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학부모 정체성 형성 과정과 상호작용하는 교사의 역할 정체성 학습 양상은 네 가지로 드러났다.
연구참여자들이 학부모가 되기 전 가지고 있는 교사의 역할 정체성은 크게 세 가지로 드러났다. 첫 번째로 연구참여자들은 주로 가르치는 일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어 교직을 선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식 전달자를 교사의 중요한 역할로 인식했다. 두 번째로 연구참여자들은 1년간 함께 지내는 학생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학급을 원활하게 운영하는 역할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교실 질서 관리자라는 역할을 교사의 주된 역할 중 한가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세 번째로 연구참여자들은 더 많은 자녀를 양육한 경험을 가진 학부모들로부터 교사로서 존중받기 위하여 초등교육 이론 전문가 역할을 강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를 양육하면서 초등학교 학부모가 됨에 따라 학부모 경험을 교사의 역할 정체성 재구성에 반영하였다. 이에 따라 교사 역할 정체성 학습은 네 가지 양상을 보인다. 첫 번째는 학부모의 학교 공부 지도에 대한 갈등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학부모들과 상담할 때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집에서 간단히 부모가 지도할 것을 이야기 했지만, 이를 실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직접 겪으며, 학교 수업을 완전학습으로 구성하는 역할을 인지하게 된다.
두 번째는 학부모 상담 시 교사의 조언에 대한 갈등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학생의 발전을 위하여 심사숙고하여 꺼낸 진정성 있는 조언이 학부모들에게는 상처가 되거나 혹은 교사에 대한 분노로 되돌아오는 것에 좌절을 느낀다. 이에 기존의 객관적인 조언자로서 역할을 공감하는 조언자 역할로 재구성하게 된다.
세 번째는 학부모들이 기대하는 선생님의 역할에 대한 갈등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철저한 학습지도와 학급 운영의 치밀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엄격하고 공정한 선생님을 지향했지만, 자녀의 학급 교사에게 바라는 모습은 따뜻한 선생님이라는 것과 학부모들도 교사에게 따뜻한 교사를 바라는 모습을 보며 역할의 적합성에 대해 갈등하게 된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학생들에게 기대하는 성취기준을 완벽한 완성에서 격려를 통한 도달로 바꾸게 되고, 이를 도와주는 역할로 교사의 역할을 인식한다.
네 번째는 교사가 기대하는 학부모 역할에 대한 갈등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학부모에게 자녀의 학교 활동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을 기대한다. 하지만, 정작 학부모의 삶으로 구성된 시간을 통해 학부모에게는 자녀의 학교 활동이 언제나 최우선이 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각각의 학부모들이 처한 상황은 항상 돌발적일 수 있음을 알게 됨에 따라 학부모에게 기대하는 역할을 재조정하게 되며, 학교의 활동은 가능하면 교사가 전임하고, 가정에서는 그 곳에서만 할 수 있는 자녀의 심리적 안정과 양육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주는 것으로 기대 정도를 설정한다.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교사 정체성과 학부모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정체성 학습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교사 정체성과 학부모 정체성을 분리적으로 인식한다. 때로는 두 정체성 간의 갈등 상황을 회피하거나, 상황에 대한 행동과 판단을 유보하기도 한다. 둘째, 학부모와 교사로서 기대하는 공교육 지향점에 대한 간극을 발견한다. 교사로서는 교과 학습을 중심으로, 학부모로서는 사회생활과 교우관계를 중심으로 학교 공교육 지향점을 구성한다. 셋째,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이해의 차이이다. 연구참여자들은 각 과목의 전공자들보다 지식 면에서는 부족하지만, 학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도 방법이나 학생들을 통솔하고, 학급을 운영하는 데에 있어서는 전문가임을 자부한다. 하지만, 주변 학부모들의 인식과 시선을 직접 경험한 연구참여자들은 교직 전문성에 대해 고민하고, 갈등한다.
본 연구는 초등 자녀를 둔 초등 교사를 학부모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 사이에서 더 나은 역할을 모색해 가는 학습자로 인식하였다. 또, 초등 교사가 역할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학습 활동으로 보았다. 이는 단일한 정체성 형성에 주목했던 기존 연구의 관점을 극복하여 삶은 주어지는 역할을 끊임없이 학습하는 과정이라는 관점으로 현상을 탐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새로운 정체성이 기존의 정체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며 새롭게 재구성되는지에 관한 학습 양상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s the process of lear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pattern of learning revealed in the role identity formation of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out children before becoming parents?
Second, what are the aspects of learning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veal in becoming primary school parents?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7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research participants, interviewed them and collected data.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cenes in which the role identity of the teacher was revealed before becoming parents and the scenes in which parent identity and conflict were newly formed. Accordingly, four aspects of the role identity learning of teachers interacting with the process of parent identity formation were revealed.
The role identities of the study participants before they became parents revealed three major factor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became interested in teaching mainly, and chose the teaching profession. Thus, they recognized the 'knowledge deliver' as an important role for teachers. Second, participants were burdened with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for a year and running the class smoothly. Accordingly, the role of 'classroom manager'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main roles of teachers.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role of 'elementary education theory specialist' in order to be respected as a teacher by more parents with more experience in raising children.
Participants reflected parent experiences in reconstructing role identity of teachers as they became elementary parents while raising their children. Accordingly, teacher role identity learning shows four aspects. The first is the conflict over parental guidance. Teachers talked easily at home about the 'lack at school study' when counseling with parents, but experienced the realities of doing this, and became aware of the 'role of school lessons'.
The second is the conflict over the advice of teachers in parental counseling. Teachers are frustrated with sincere advice taken for the student's development to hurt parents or to return to anger at the teacher. Therefore, the role of the objective advisor is reorganized into the role of 'sympathetic advisor'.
The third is the conflict caused by the role of teachers as parents expect. Teachers aim to be strict and fair teachers in order to maintain thorough and perfect instruction and the thoroughness of class operation. As a result, there is a conflict about the suitability of the role. As a result, research participants change the value of achievement expected from students from 'perfect completion' to 'reach through encouragement', and recognize the role of teachers as a role to help this.
The fourth is the conflict over the parental role expected by the teacher. Teachers expect parents to provide first-aid support for their children's school activities. However, through the time of parental life, parents realize that their child's school activities are not always a priority. Each parent realizes that the situation may be sudden at all times. Therefore, the role expected of parents is readjusted, and the school's activities are full-time if possible, and the level of expectation is set to provide the best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nurturing of the child that can only be done at home.
This suggests that research participants have a conflict between teacher identity and parent identity, and that identity learning is conducted as follows. First, it recognizes teacher identity and parent identity separately. Participants tended to distinguish between teachers as professions and parents as mothers, sometimes avoiding conflict situations between two identities or withholding behavior and judgment about the situation. Second, find a gap in the aim of public education that parents and teachers expect. Teachers form the aim of public education centering on 'learning knowledge', but parents have the goal of school public education as a place where they learn 'social life' and 'friendship' rather than expectation of 'learning'.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teaching professionalism. Participants are less professional than their majors, but are confident that they are experts in teaching, leading students, and running class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However, the perceptions and gazes of teachers experienced by the parents around them make them worry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conflict.
This study recogni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lementary children as learners seeking a better role between parent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Th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onstructing role identity was studied as a learning activity. This allows us to look at the aspects of learning that reveal how new identities affect existing identities and reconstruct them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ocess of continually learning the role given to life by overcoming the perspective of previous research that has focused on the formation of a single identi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역할 정체성 학습 8
가. 역할 정체성 8
나. 역할 갈등 12
다. 역할 정체성 학습 17
2. 교사 정체성과 학부모 정체성 21
가. 교사 정체성 21
나. 학부모 정체성 24

Ⅲ. 연구 방법 29
1. 연구참여자 31
가. 연구참여자 선정 기준 31
나. 연구참여자 소개 33
2. 자료 수집 38
3. 자료 분석 40
4. 연구 윤리 42

Ⅳ. 학부모가 되기 전 인식한 초등 교사 역할 44
1. 지식 전달자 44
가. 가르치는 게 재미있어서 선택한 직업 44
나. 학교와 교사의 역할은 지식을 가르치는 것 46
2. 교실 질서 관리자 49
가. 완벽한 관계를 위한 열과 성을 다한 노력 49
나. 학생은 규칙을 지키고, 교사는 규칙을 관리 51
다. 흐트러짐에 대한 두려움 52
3. 초등교육 이론 전문가 53
가. 초임시절, 학부모들의 시선: 아기 선생님 54
나. 초등 교육의 전문적 지식을 갖춘 조언자 56

Ⅴ. 학부모가 된 후 교사 역할 정체성의 재구성 58
1. 학교 공부만 충실히 시켜도 돼요 vs 가정 내 학습지도의 어려움 58
가. 내 자식은 제가 못 가르쳐요 58
나. 부족하다 싶으면 엄마가 해 주세요 62
다. 학습활동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노력 64
라. 완전 학습을 구성하는 역할 67
2. 객관적인 조언자 vs 자녀 지적은 나를 지적하는 것 71
가. 우리 애가 뭘 못 하나 71
나. 그 애가 나중에 어떻게 자랄지 걱정이 돼요 73
다. 학생의 더 나은 조력자가 되기 위한 경험과 대응 76
라. 공감하는 조언자 역할 81
3. 엄격하고 공정한 선생님 vs 자녀에게 따뜻한 선생님 83
가. 자녀의 교사상에 대한 기대 83
나. 엄격하고 공정한 교사 88
다. 엄격한 선생님의 대안을 찾기 위한 경험과 대응 90
라. 완벽한 완성이 아니라 격려를 통한 도달을 도와주는 역할 96
4. 교사가 기대하는 학부모 vs 완벽한 지원이 어려운 학부모 103
가. 엄마는 몰라 너가 알아서 해 103
나. 학부모는 절대적인 학교교육의 지원자 106
다. 기대보다 훨씬 더 모르더라고 109
라. 학부모의 기본적 역할 재정립과 학습의 전담자 역할 111

Ⅵ. 교사 정체성과 학부모 정체성의 정체성 학습 114
1. 교사 정체성과 학부모 정체성의 분리적 인식 114
2. 공교육 지향점의 간극 121
3.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이해 125

Ⅶ. 요약 및 결론 131

참고문헌 137

면담 질문지 146

Abstract 148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4-
dc.title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의 정체성 학습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Identity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ing on the conflict and negotiation between parent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eehwa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title.subtitle학부모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의 갈등과 협상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097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097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