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 이해 : An Understanding of Practical Experi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n Innovative School : Focused on the Case of A Elementary School
A 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은비

Advisor
조영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2020. 2. 조영달.
Abstract
School is a place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school is a place where diverse people come together to live together, and students can practice and participate in community civic life at the school and develop their capacities as democratic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xperi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 Innovative School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A Innovative School is being practiced through links between the curriculum, school lif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and to analyze its meaning. As a result, the practi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 Innovative Schoo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n the practi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urriculum, the learners were able to determine the contents and goals of the learning process, lead the whole learning process, and realize the learner-led curriculum that evaluates the learning contents themselves. A Innovative School practic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based on learning content linked to learners' lives Through this, the cas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tegrating knowledge and practice was confirmed.
Second, we could confirm the educational efforts to guarantee participation in the practi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life without compromising student autonomy. Students were improving their lives based on participation, and teachers and parents provided the students with the things they needed to solve problems. Teachers and parents ensured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and provided appropriate support through social processes, dialogues, and discussions with the students to ensure that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ir own responsibility. A Innovative school students were empowered in their school life to embody their ideas throughout the school.
Third, the school established an educational community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nkage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n addition, the school endeavored to practi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nks with local communities. A Innovative schools have been exploring various mechanisms for restoring the right to education of marginalized students and par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to recognize the three subjects of education(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addition, wh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were organically connected and build a network, we could expand the learning place so that students can grow and learn in the context of life.
A Innovation School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hands-on civic engagement through curriculum, school life and community links. In addition, scaffolding of teachers and parents was combined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high quality civic participation and empower them as democratic citizens through experien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connected and influenced each other based on the interaction of learners, teachers, and parents.
When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 Innovation School, A Innovation School tried to practi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y forming a school ecosystem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The basis is as follows. A In Innovation School, first, in terms of educational philosophy, members shared the view that 'the school is a space that grow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Second, in terms of the curriculum, education was conducted by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teracting with teachers and learners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Third, there was a cultur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erms of community culture. Fourth, the space was designed to improve the space that was designed and designed centered on school and teacher. Fifth, efforts were made to connect with local communities in terms of educational network construction. The elements of educational philosophy, curriculum, cultur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pace, 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network were positively influencing each other and virtuous cycle.


………………………………………
keywords :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chool democracy, case study, innovative school, practical experi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democracy of everyday life
Student Number : 2017-21697
학교는 민주시민교육의 장이다. 학교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모여 생활하는 곳이며,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동체적 시민 생활을 실천하고 참여하며 민주시민으로서 역량을 갖춰나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qualitative case study)를 바탕으로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연구하여, 학교를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 조성하고자 한 학교의 사례를 다루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이 교육과정, 학교생활 속, 학교 안과 밖의 연계를 통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속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있어서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학습 내용과 목표를 결정하고, 학습 과정 전체를 주도하며 학습 내용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는 학습자 주도형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혁신학교에서는 학습자의 삶과 연계된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협력학습 및 프로젝트 학습을 실천하였다. 이를 통해 지식과 실천을 통합한 민주시민교육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생활 속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있어서 학생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으며 참여를 보장하고자 하는 교육적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참여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생활을 개선해 나가고 있었으며, 교사와 학부모는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필요한 것들을 마련해주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와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학생들이 자율에 따르는 책임을 스스로 질 수 있도록 학생들과의 사회적 과정, 대화, 토론 등을 통하여 적절한 도움을 주었다. A 혁신학교 학생들은 학교생활 속에서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받아 자신들의 생각을 학교 곳곳에서 구현해 나가고 있었다.
셋째, 학교 안과 밖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있어서 학교의 교육공동체를 구축한 후 지역사회와 연계를 통하여 학교 안과 밖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 혁신학교에서는 소외되어 있는 학생, 학부모의 교육권을 회복할 수 있는 기제를 다방면으로 탐색하여 학생, 학부모, 교원의 3주체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교육 활동이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학교와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학생들이 삶의 맥락 속에서 성장하고 배울 수 있도록 배움터를 확장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었다.
A 혁신학교에서는 교육과정, 학교생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실제적 시민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양질의 시민 참여를 경험하여 경험을 통해 민주시민으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사, 학부모의 뒷받침(scaffolding)이 병행되었다. 학습자, 교사, 학부모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이 연결되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종합적으로 살폈을 때, A 혁신학교에서는 교육 공동체의 참여를 기반으로 학교 생태계를 형성하여 민주시민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A 혁신학교에서는 첫째, 교육 철학 측면에서 구성원들이 학교는 학교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성장하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수평적 관계에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작용을 하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공동체 문화 측면에서 소통과 협력의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넷째, 공간 측면에서 학교 중심, 교사 중심으로 설계되고 디자인되었던 공간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교육 네트워크 구축 측면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고자 노력하였다. 교육 철학, 교육과정, 소통과 협력의 문화, 공간, 교육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요소는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선순환하고 있었다.

주요어 : 민주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 학교 민주주의, 사례 연구, 혁신학교, 생활 속 민주주의
학 번 : 2017-21697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53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