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덕적 정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Feasibility Study of the Measuring Tools for Moral Identi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창우-
dc.contributor.author정이슬-
dc.date.accessioned2020-05-07T04:35:34Z-
dc.date.available2020-05-07T04:35:3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10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2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2020. 2. 정창우.-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rationalize the moral identity measurement tools of early adolescence students in the country. This study is based on a sense of question that in order for measurement tools to be used properly, the relevance of cultural background, context and timing must be reflected. Moral development is based on experiences that are organized differently by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in which each individual is placed. It is also likely that adolescents will experience a rapid development of self-reflection and morality. Therefore, measurement tools related to morality should also be developed and utilized within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 However, the existing tools for measuring moral identity were developed and utilized mainly outside the country, and measurement tools outside the country do not properly reflect the cultural background and context of our country.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ntext of Korea, the area where measuring tools are used, should be included and that the tool should be suitable for the level of development of early adolescent students who are used.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by applying the self model of Blasi (A. Blasi) and the self-development step of Damon (W. Damon).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person who formed a moral identity had a moral understanding, willpower, moral desire, and self-integration, the salvation of measurement tools was set up in four categories: moral understanding, moral self-interest, moral self-consolation and moral aspiration. And a draft of a tool for measuring moral identity was developed using the four moral values presented in the revised moral and educational courses: case of dilemma and choice of ranking multiple choice with respect to sincerity, responsibility, consideration and justice.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 Building Blocks method of M. Wilso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is survey were conducted through the steps of applying a measurement model after drawing a construction map, developing an Item design, categorizing and grading the subjects responses.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30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preliminary survey, we reconstructed the staffing scheme and questions of this survey, response categorization, and scoring step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80 fifth and sixth graders. Finally, the moral identity measurement tool was confirmed by two questions for each dilemma: two questions for moral understanding, two questions for moral self-interest, two questions for moral self-consistency and two questions for moral aspi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ner consistency of the developed moral identity measurement tool (Cronbach-alpha value) was relatively high. The reliability value of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and utilized in this study is .85. Second,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obtained through the Interpretations of the Question (Item Infit), the analysis of individual students' suitability to the Question and the consultation of a group of experts. In addition,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was verified by establishing the consistency of the construction map with the correct map in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phase.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in terms of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in terms of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results. Fir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erms of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was high, and the moral identity was measured appropriately and accurately. In terms of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results, the following are considered.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moral judgment ability of the early teens in Korea is at a high level, moral aspiration and self-understanding are at a moderate level, and moral self-match is at a low level.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ierarchy of moral self-consistent levels, which is a sub-seeking element. Third, for more accurate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it is necessary to have additional summation and question and answer times for the examiners dilemma during the examination. Fourth, there was a tendency for certain values (responsibility and justice) to show easier difficulty for respondents in accordance with the moral values of sincerity, responsibility, consideration and justice.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objects to be collected and to further study them. Fifth, it has been revealed that hierarchy exists in moral understanding, moral self-interest, moral aspiration and moral self-consolation as sub-seeking elements of moral identity.
Summing up the practical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the moral identity measurement tools discussed above,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ional and temporal limitations exist in the listings. Seco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s could intervene in the response categorization and scoring phase. Third, it has not been able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components of moral identity and moral behavior. Fourth, the question of moral identity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using the four key values presented in the revised ethics and curriculum, thus failing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measuring tools for other moral values.
Never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moral identity measurement tools reflecting the Korean context were sought. Second, we tried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moral identity that would suit the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youth. Third, objective and empirical theories and the use of programs in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easuring moral identity were introduced. Third, the core values of ethics presen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were used to confirm the extent to which moral values were internalized to students. Fourth, the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guiding methodologies was presented to help shape moral identity according to the core values presented in the revised ethics and curriculum.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that we can identify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ral identity of early teens in Korea and present the guiding methodology of moral identity formation in school mo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to present more concrete moral education measures for the formation of moral identity.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기 청소년기 학생들의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측정 도구가 적절히 사용되기 위해, 문화적 배경과 맥락 및 시기의 적절성이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하고 있다. 도덕발달은 개개인이 놓인 사회적·역사적 맥락에 의해 다르게 구성된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청소년 시기는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과 그에 따른 도덕성의 비약적 발달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덕성과 관련된 측정도구 또한 개인이 놓인 맥락 내에서 개발·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는 국외에서 주로 개발·활용되었으며 국외의 측정도구들은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과 맥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측정도구가 사용되는 지역인 한국의 맥락을 담아야 한다는 것과 도구가 사용되는 대상인 초기 청소년기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해야한다는 결론에 이르도록 하였다.
측정 도구는 블라지(A. Blasi)의 자아 모델과 데이먼(W. Damon)의 자아발달 단계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도덕적인 정체성이 형성된 사람은 도덕적 이해력, 의지력, 도덕적 욕구, 자기 통합성을 지녔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측정 도구의 구인을 도덕적 이해, 도덕적 자기 이해, 도덕적 자기 일치, 도덕적 열망의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4가지 도덕적 가치인 성실, 책임, 배려, 정의와 관련된 딜레마 사례와 순위 선다형 선택지의 문항을 활용하여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측정 도구는 윌슨(M. Wilson)의 4 구성요소(The Four Building Blocks) 방법에 의거하여 개발되었다. 구인 구성도(Construct map)를 그리고 그에 따라 문항을 개발(Item Design)하고 피험자의 반응을 범주화 및 채점(Outcome spaces)한 뒤 측정 모형(Measurement model)을 적용하는 단계를 거쳐 사전 검사와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사전 검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사전 검사에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조사의 구인 구성도와 문항, 반응 범주화 및 채점 단계를 재구성하였다. 본 조사는 초등학교 5, 6학년 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도덕적 정체성 측정도구는 각각의 딜레마별로 도덕적 이해 두 문항, 도덕적 자기 이해 두 문항, 도덕적 자기 일치 두 문항, 도덕적 열망 두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의 문항 내적 일관성(Cronbach-α값)은 비교적 높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활용된 측정도구의 신뢰도 값은 .85 이다. 둘째, 본 연구의 타당도는 문항의 적합도(Item Infit)와 개별 학생들의 문항 적합도 분석 및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하여 확보하였다. 아울러 4 구성요소 단계에 따른 구인 구성도(Construct Map)와 측정 모형 분석 단계의 롸잇맵(Wright Map)과의 합치성을 규명하여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함의는 측정 도구 타당화 측면과 측정 결과 분석 측면으로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측정 도구 타당화 측면에 있어 개발된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게 나타나 도덕적 정체성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분석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기 청소년들의 도덕적 판단 능력은 상위 수준이며 도덕적 열망 및 자기 이해는 중간 수준, 도덕적 자기 일치는 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 구인 요소인 도덕적 자기 일치 수준의 위계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좀 더 정확한 측정 도구의 적용을 위해 검사 진행 중 딜레마에 대한 검사자의 추가 부연 설명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성실·책임·배려·정의의 도덕적 가치에 따라 특정 가치들(책임·정의)이 응답자들에게 있어 더 쉬운 곤란도를 보이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표집 대상의 확대 적용 및 추후 연구가 필요한 사항이다. 다섯째, 도덕적 정체성의 하위 구인 요소로서 도덕적 이해, 도덕적 자기 이해, 도덕적 열망, 도덕적 자기 일치에 위계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으로 논의된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실질적 결과를 종합하면서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집 대상에 있어 지역적, 시기적 국한성이 존재한다. 둘째, 응답 범주화 및 채점(Outcome spaces) 단계에서 연구자의 자의적 해석이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셋째, 도덕적 정체성의 하위 요소들과 도덕적 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덕적 정체성 문항에는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네 가지 핵심 가치들을 활용하여 개발됨으로써 다른 도덕적 가치들에 대한 측정 도구의 객관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적 맥락을 반영한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의 개발 및 실질적 적용을 꾀하였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발달 단계에 어울리는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셋째,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 개발에 있어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이론과 프로그램의 사용을 도입하였다. 셋째,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도덕과의 핵심 가치들을 문항에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도덕적 가치들이 얼마나 내면화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넷째,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 가치들에 따라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도덕 교육 지도 방법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초기 청소년의 도덕적 정체성 발달 과정을 규명하고 학교 도덕 교육에서 도덕적 정체성 형성의 지도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에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도덕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도덕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연구 방법 및 구성 6
4. 연구의 의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도덕적 자아 및 정체성 개념의 학문적 배경 10
1) 자아 및 정체성 10
2) 도덕적 자아 및 정체성 이론 14
3) 도덕적 정체성의 조작적 정의와 하위 구성 요소 설정 22
4) 개정 교육과정 상에 나타난 도덕과의 핵심 가치 25
2. 측정도구 개발의 이론적 배경 28
1) 라쉬 모형(Rasch model) 28
2) 윌슨(M. Willson)의 4 구성요소 접근(The Four Building blocks Approach) 29
3) 도덕적 자아정체성 측정도구 분석 31
Ⅲ. 사전 검사 실시 및 결과 41
1. 측정 도구 초안 개발 41
1) 대상 및 구인의 정의(Construct Map) 41
2) 구인 특화 단계(Specifying Construct) 41
3) 문항 개발 단계(The Item Design) 44
4) 반응 범주화 및 채점(The Outcome Spaces) 58
5) 사전 검사의 진행 64
6) 측정 모형 적용(The Measurement Model) 65
2. 사전검사의 결과 분석 65
1) 부분점수 모형(Partial Credit Model) 측정 결과 65
2) 학생 수준에 대한 문항의 적합도 분석 73
3)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 76
4) 측정도구 수정 사항 논의 및 반영 77
(1) 구인구성도의 수정 77
(2) 문항 및 반응 범주화(채점)의 수정 79
Ⅳ. 본 조사 실시 및 결과 분석 85
1. 본 조사 실시 85
1) 조사 대상 85
2) 조사 환경 85
3) 분석 방법 86
2. 본 조사 결과의 해석 86
1) 롸잇맵(Wright Map) 분석 결과 86
2) 문항 적합도(Item fit) 분석 결과 90
3) 고전 문항 분석(Classical Item) 분석 결과 92
4) 개별 응답 분석 결과(Individual Fit 및 Person Diagnostic Map) 93
5) 결과 해석 및 논의 105
3.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의 도덕교육적 함의 107
Ⅴ. 결론 및 제언 113
* 참 고 문 헌 119
* ABSTRACT 126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70-
dc.title도덕적 정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Feasibility Study of the Measuring Tools for Moral Identi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ng, Yi Seul-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윤리교육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102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102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