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의 도덕과 형성평가 적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Application of Growth Mindset to the Formative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동현

Advisor
정창우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2020. 2. 정창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growth mindset concept, which is in the spotlight of teachers, parents, education policymake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in many countries, to the assessment area in moral education to promote the moral growth of learners. This purpose is based on a critical mind that the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can potentially have a negative impact on moral and character development, regardless of the evaluator's intentions.
Recently, The potential impact of assessment on learners is emerging as a key topic of educational discourse by educational assessment researchers who note alternative assessments. Many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formative assessment as assessment for learning. As an alternative point of view of educational assessment, formative assessment refers to assessment that performs a formative function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nd motivation by providing specific forms and procedures for implementing an assessment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Unlike traditional assessments that focused on administrative functions, these formative assessments focus on perception of the fundamental impact of the assessment on the affective domain of learner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evaluation. In this regard, researchers have reached a broad consensus that the use, interpretation and feedback of the assessment results are the main factors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formative assessment, based on studies supporting that the explicit or implicit impact of the assessment depends on the use, interpretation and feedback of the assessment results.
However, the field of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research shows certain limitations in research related to the use, interpretation and feedback of assessment results in moral education. While research on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quantitatively or qualitatively, it has focused on systematically settling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diverse and effective assessment methods. For this reason, the use, interpretation, and feedback aspects of assessment results 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research were normatively addressed and were not extended to studies on formative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This is a threshold that needs to be addressed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and evaluation research, considering that man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ssessment are paying attention to formative assessment as a new trend in educational assess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growth mindset by American psychologist Carol. S. Dweck(2006). The concept of a growth mindset is beliefs in the changeability of personal attributes, such as one's own intelligence, morality and moral character. Dweck has demonstrated through various studies that different beliefs in changeability of personal attributes are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cause personal differences in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s and explain various adaptive or maladaptive behaviors. Dweck's findings on growth mindset development support that belief in the changeability is influenced by explicit or implicit messages embedded in the feedback provided by someone. This means that messages related to growth mindset or fixed mindset implied in feedback provided in moral education may affect the learner's growth mindset development. In particular, Dweck notes that fixed mindset about morality and moral character has a correlation or causal relation with self-regulation in social situations, interpersonal skills, stereotype, retaliation and punishment-oriented judgments, or aggression, which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growth mindset is significant for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growth mindset developmental factors of formative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this study sought to apply growth mindset to formative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teacher's beliefs and values, the method of calculating assessment result, the method of providing assessment result, and the praise feedback can be the developmental factors of the growth mindset. Therefore, the proposed application method is as follows.
First, as the application to teachers beliefs and values, it proposed the principle for growth-oriented assess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methods and instructions describ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Second, as the application to the method of calculating assessment result, it proposed the need to be wary of the normative-referenced use of the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and explain the outcome of the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to the learn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rowth mindset. Third, as the application method using opinions and descriptive techniques and the application to the method of providing assessment result, it proposed the need for using comment, description, or letter grade. Fourth, as the application to the praise feedback, a list of prais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oral fixed mindset or moral growth mindset is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applic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improvement of the consequential validity, and enhancement of competence of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for mor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많은 국가의 교사, 학부모, 교육정책 입안자, 교육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 개념을 도덕과 평가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도덕적 성장을 돕는 도덕과 형성평가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도덕과 평가가 평가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학습자의 도덕성 및 도덕적 인성 발달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최근 평가가 학습자에게 미칠 수 있는 명시적 혹은 잠재적 영향은 대안적인 평가에 주목하는 교육평가 연구자들에 의해 교육적 담론의 핵심적인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학습을 위한 평가로서 형성평가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교육평가의 대안적 관점으로서 형성평가는 교실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식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학습과 동기의 향상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평가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형성평가는 행정적 기능에 치중하던 전통적인 평가와 달리 평가개념을 확장함으로써 평가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근본적인 영향에 대한 지각에 중점을 둔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평가의 명시적 혹은 암묵적 영향이 평가결과의 활용, 해석 및 피드백에 달려 있음을 지지하는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평가결과의 활용, 해석 및 피드백 측면이 형성평가의 성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점에 광범위한 합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도덕과 평가 연구영역은 도덕과 평가결과의 활용, 해석 및 피드백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도덕과 평가에 관한 연구는 양적 혹은 질적으로 발전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도덕과 평가를 교육과정 안에 체계적으로 안착시키는 문제와 다양하고 효과적인 평가방법을 마련하는 문제에 치중해온 측면이 있다. 이런 이유로 도덕과 평가 연구영역에서 평가결과의 활용, 해석 및 피드백 측면은 당위적인 수준에서 다뤄지는데 그쳤으며, 도덕과 형성평가에 관한 연구로 확장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교육평가 연구자들이 평가의 새로운 동향으로서 형성평가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도덕과 평가 연구의 발전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미국의 심리학자 Carol. S. Dweck(2006)의 성장 마인드셋 개념의 적용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성장 마인드셋 개념은 자신의 지능, 도덕성, 도덕적 인성 등 개인적 속성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Dweck은 개인적 속성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서로 대별되는 신념이 인지, 정서, 행동적 측면의 개인차를 유발하고, 여러 적응적 혹은 부적응적 행위양식을 설명하는 심리적 변인임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해왔다. Dweck의 성장 마인드셋 발달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대상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신념이 누군가에 의해 제공된 피드백 속에 내재해있는 명시적 혹은 암묵적 메시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지지한다. 이는 도덕과 평가 과정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속에 함축된 성장 마인드셋 혹은 고정 마인드셋과 관련된 메시지가 학습자의 성장 마인드셋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Dweck은 도덕성 및 도덕적 인성에 대한 고정 마인드셋이 사회적 상황에서의 자기조절 역량의 약화, 대인관계 역량의 약화,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 형성, 보복 및 처벌지향적 판단, 공격성과 상관관계 혹은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는데, 이와 같은 효과들은 성장 마인드셋 발달이 도덕교육적으로 유의미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과 형성평가의 성장 마인드셋 발달 요인을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토대로 성장 마인드셋의 도덕과 형성평가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교사의 평가관, 평가결과 산출방식, 평가결과 제공방식, 칭찬 피드백은 성장 마인드셋의 발달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제안한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평가관에의 적용 방안으로, 성장지향적인 평가를 위한 원칙과 도덕과 교육과정에 기술된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평가결과 산출방식에의 적용 방안으로, 준거참조평가의 규준참조적 활용을 경계하고 준거참조평가의 결과를 학습자에게 성장 마인드셋의 관점에서 설명해줘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셋째, 평가결과 제공방식에의 적용 방안으로, 의견 및 서술형 기술을 활용한 적용 방안과 문자 등급을 활용한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넷째, 칭찬 피드백에의 적용 방안으로, 도덕 고정 마인드셋 발달과 관련된 칭찬과 도덕 성장 마인드셋 발달과 관련된 칭찬 목록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성장 마인드셋의 도덕과 형성평가 적용 방안들은 도덕과 평가의 질적 향상, 결과타당도 향상, 도덕과 교사의 평가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