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포츠는 여학생을 어떻게 행복하게 하는가? : How does sports make girls happy? : Developing Strategies to Cultivate Sport Literacy by Exploring Sport Savoring Multi-modalities for female students
여학생 운동향유 방식 탐색을 통한 운동소양 함양 방안 모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형식

Advisor
최의창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2020. 2. 최의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emale students sports savoring multi-modalities, to identify the factors applied in the process,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cultivate sport litera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female students enjoy multi-modalities of sports? Second, what are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female students sports-savoring experience? Third, what are the strategies of cultivating female students sport literacy?

To explore various cases of which female students enjoy sports, a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in social constructivist paradigm was conduct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18 to February 2020 for a total of 14 months, and the entire process of the study consisted of stages of plann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conclusion. To start with, 12 PE teachers were selected with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 1)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who teach female students, 2) teachers who intentionally teach multi-modalities of savoring sports that integrat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3) reflect the diversity of school settings such as school type(with or without co-education), teaching career, gender, locality, etc. 6 PE teachers who met these selection criteria and agreed to take part in the research were finally selected. A total of 12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by asking each research participation teachers to recommend two female students they were teaching.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 1) female students enjoying multi-modalities of sports, 2) female students who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can express their opinion fluently, 3) female students who met the two criteria above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ith their paren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 non-participant observation, local document collection, and online survey.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step by step and recursively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ption an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posed by Wolcott(1994). As a framework for exploring sports savoring multi-modalities of female students, the research used [Sports Savoring 15+] suggested by Eui-chang Choi(2013). In order to explore the sports savoring experience of the female student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in detail the entire process of not only the school life but also the daily life of female student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indicated through the process abov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the five signature modalities of sports savoring. 1) Performance Savoring is a modality of performing the sports directly such as doing. This basically means the main way of satisfying human movement needs, generally the way of enjoying sports in games. 2) Spectation Savoring is a modality of which the learner accepts the contents related to sports such as watching, reading, listening. Its a way for learners to accepts new concepts and integrate them well with existing ones to form a new perspective of sports experience. 3) Expression Savoring is a modality of expressing previously accepted experiences in a systematic and orderly form such as writing, speaking, drawing, making, singing. In order to internalize the meaning inherent in the sports as ones own, the sports experience should be exposed through the Expression Savoring. 4) Exploration Savoring is a modality of encouraging learners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discovering wisdom of life such as calculating, thinking. As a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sports experiences, learners understand the phenomenon related to sports and reflect on their lives by connecting it with the context of life. 5) Inspiration Savoring is a modality of giving emotional inspiration to students through sports experience such as collecting, feeling, sharing, loving. It helps make learners life more valuable by internalizing the values and meanings in the sports. These five modalities of sports savoring experience have been savored dynamically and cyclically, in a way that makes female students highly understand sports as culture, deeply accept savoring as meaning, and widely connect with context of life.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factors such as individuals, significant others, programs and environment/culture influence the beginning, widening and deepening of sports savoring experience. 1)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Recommendations from friends, programs that provide a variety of starting points for sports savoring experience, environment exposing sports savoring to female students influenced female students to starting and having interest in sports savoring experience. 2) innate learning desposition of female students, active support from parents, evaluation to recognize the process, positive school culture related to sports had an important effect on savoring sports widely and continuously. 3) active willingness to savor sports experience, the firm belief of the teacher, programs that provide an narrative dimension about sports, ongoing budget support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savoring sports meaningfully by experiencing it in depth.

Third, as strategies to enhance the female students sports savoring experience, it was suggested to viewing sports highly, viewing sports widely, viewing sports long, and viewing sports deeply. Based on the study so far, subjectivity, communality, Contextuality, Connectivity, sustainability, multiformity, narrative, and integration were derived as main educational principals to enhance the female students sports savoring experience. Increasing the subjective sports-savoring experience, Expanding sports-savoring experience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 Providing sports-savoring experience related to life, Enhancing connectivity between sports-savoring experiences, Ensuring continuous sports-savoring experience opportunities, Securing diversity of sports-savoring experience opportunities, Emphasizing an narrative approach to sports experience, Efforts to integrate the sports-savoring contents were presented as specific strategies to implement educational principals abov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the practical suggetions for female students sports-savoring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PE teachers should exapnd female students perception related to sports, by utilizing sport savoring multi-modalities found in this study. Second, PE teachers should be a person themselves who savoring sports experiences humanitely and narratively. Third, in order to maintain the sports-savoring experience throughout the life course, it is required to support the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Lastl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add more sports-savoring multi-modalites by analyzing the sports-savoring experience in more depth. Second, it is needed to shed light on the experience of late-sportists who start savoring sports lately. Third, it is needed to explore the process of sports-savoring experience from an holistic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여학생들의 다양한 운동향유 방식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하는지를 파악하여, 여학생들의 운동소양 함양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연구문제는 1) 여학생은 어떠한 방식으로 운동을 향유하는가? 2) 여학생의 운동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3) 여학생의 운동향유력을 증진 시키기 위한 방안들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여학생들이 운동을 즐기는 다양한 사례들을 탐색하기 위해 사회적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2018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총 14개월 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전체 과정은 계획, 자료 수집 및 분석, 결론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유목적적 표집 방법을 통해 연구참여교사를 최초 12명 선정하였다. 선정의 기준은 1) 여학생을 가르치고 있는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을 갖춘 체육교사, 2) 직접체험활동과 간접체험활동을 통합한 다양한 운동향유 방식을 의도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교사, 3) 학교유형(공학/여중), 교직 경력, 성별, 지역 등과 같은 학교 현장의 다양성 반영 이다. 이와 같은 선정 조건을 충족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교사 6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연구참여교사들에게 그들이 직접 가르치고 있는 여학생들 중에서 2명씩 추천을 받아서 총 12명의 여학생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의 기준은 1) 다양한 운동향유 방식으로 운동을 즐기고 있는 여학생, 2) 본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유창하게 표현하는 여학생, 3) 위의 두 조건에 부합하며, 부모님과 함께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여학생 이다. 자료수집은 면담, 비참여 관찰, 현지 문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Wolcott(1994)가 제시한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단계적면서도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여학생의 운동향유 방식을 탐색하기 위한 틀로 최의창(2013)이 제시한 운동향유 15+를 활용하였다. 여학생의 운동향유 체험을 탐색하기 위해, 여학생의 학교 생활부터 일상생활까지 전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운동을 향유하는 방식은 5가지로 나타났다. 1) 수행향유는 운동을 직접 수행하는 방식으로 하기가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움직임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주된 방식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는 운동을 게임으로 즐기는 방식을 말한다. 2) 관전향유는 운동에 관한 내용을 학습자가 수용하는 방식으로, 보기, 읽기, 듣기가 이에 해당된다. 학습자가 새로운 개념을 수용하고, 기존의 개념과 적절히 통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발전적인 형태의 개념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3) 표현향유는 이전에 받아들인 체험을 체계적이고 질서있는 형태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쓰기, 말하기, 그리기, 만들기, 부르기가 있다. 운동에 내재된 의미를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표현향유 방식을 통해 운동체험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4) 탐색향유는 운동에 관한 반성적 성찰과 삶에 대한 지혜를 발견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셈하기, 생각하기가 있다. 운동체험을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운동에 관한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삶의 맥락과 연계하여 자신의 삶을 반성하게 한다. 5) 감흥향유는 운동체험을 통해 학습자의 마음에 감성과 울림을 주는 방식으로, 모으기, 느끼기, 나누기, 사랑하기가 있다. 운동에 담긴 가치와 의미들을 내면화하여 삶을 보다 가치롭게 살아가도록 돕는다. 이와 같은 다섯 가지 향유 방식들은 여학생들이 운동을 문화로서 폭넓게 이해하는 방식으로, 향유를 의미로서 깊이있게 즐기는 방식으로, 삶의 맥락과 더욱 연관 깊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면서 유기적이고 순환적으로 향유되고 있었다.

둘째, 운동을 향유하는 체험이 시작되고, 넓어지며, 깊어지는 데에는 개인, 타인, 프로그램, 환경/문화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1) 운동향유체험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시작하는 데에는 개인적 성향 및 특성, 친구들의 추천이나 권유, 향유를 위한 다양한 시작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자신과 맞닥뜨리는 주변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운동향유체험의 폭이 넓어져 지속적으로 운동을 즐기는 데에는 여학생의 학습성향, 부모의 적극적인 지원, 과정을 인정하는 평가, 긍정적인 학교체육 문화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 운동향유체험의 깊이가 더해져 운동을 의미있게 즐기는 데에는 운동향유를 위한 적극적인 의지, 교사의 확고한 신념, 서사적인 차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지속적인 예산지원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들의 운동향유력을 증진하는 방안으로는 운동을 높게 보고, 넓게 보며, 길게 보고, 깊게 보는 것을 제안하였다. 운동향유체험을 높이는 주요원리로서 주체성, 공동체성, 맥락성, 연계성, 지속성, 다양성, 서사성, 통합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운동향유의 주체적 체험 증대, 사회적 관계를 통한 향유체험 확장, 삶과 연계된 향유체험 제공, 향유체험 간 연결성 강화, 지속적인 향유기회 보장, 향유기회의 다양성 확보, 운동에 대한 서사적 접근 강조, 향유내용의 통합적 연계 노력으로 제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학생들의 운동향유체험을 위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다양한 운동향유 방식들을 활용하여 여학생들에게 운동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장시켜주어야 한다. 둘째, 체육교사 스스로가 운동을 인문적이고 서사적으로 체험하는 향유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여학생들의 운동향유체험이 평생동안 지속되기 위해서 학교 내·외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향유체험을 더 깊이있게 분석하여 운동을 즐기는 향유방식들을 추가적으로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운동향유를 뒤늦게 시작하는 운동향유 후발주의자들의 체험을 밝혀주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총체적인 관점에서 운동향유체험 과정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7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