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비자역량에 기초한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교육 내용 분석 : Analysis of consumer education content presented in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of middle school based on consumer competen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소희

Advisor
손상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2020. 2. 손상희.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investigate consumer education content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in terms of content and component of consumer competency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consum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focused on building consumer competency. To this end, analyzed content on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textbooks, writte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including social studies, ethics, technology, Korean, mathematics, art, and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consumer competency measurement index developed by the Korean Consumer Agency, and reviewed different focus presented by subject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hich are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y, are presented in connection.
The major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 competency content, presented in textbook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were comprised in the order of citizenship competency(65.3%), transactional competency(27%), and financial competency(7.7%).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in general, financial competency content was inadequate: it was virtually non-existent in home economics. The home economics course needs to include financial life-planning,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n relation to real-life situations.
Second, in terms of content on the consumers citizenship competency, the focus on consumer responsibilities is excessive. In contrast, little attention is paid to consumer rights, revealing an imbalance between responsibilities and rights. The claim of consumer rights, currently covered only in the home economics course, should be complemented with content that can justify the claim of rights, thereby balancing between the two as a consumer.
Third, despite its importance and the need of the hour,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a transaction competency, and consumer participation in citizenship competency are insufficiently covered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se should be supplemented to enhance the practical competency of consumers to respond to a rapidly changing consumer environment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encourage them to behave more actively, leading to consumer participation.
Fourth, as for content on consumer capacity by subjects, social studies were most extensively covered(41%), followed by home economics(25.8%), ethics(17%), and technology(8.4%) courses. In terms of scope, home economics deals with the most sub-fields—17 out of the 22. As per these results, home economics deals with the core content on consumer competency, covering a wide range of areas, indicating that it should play a key role in consumer competency education.
Fifth, even when the same content was covered in consumer competency education, it was presented differently by subject. Home economics focused on proposing practical ways and specific knowledge concerning daily lives of individuals. Social studies approached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and considered them in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onsumers. Ethics education reflected on consumer life and dealt with moral problems related to consumption.
Sixth, there was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y—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ith a disproportionately high emphasis on knowledge. Notably, it was the same for home economics, which is considered a practical subject, revealing its limitation in consumer education. This indicated that consumer education content should be organized in a manner wherein its components—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are closely linked to help nurture consumer competency in stud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role of home economics in consumer education to nurture consumer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reorganizing consumer education content through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tegration.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교육의 내용을 소비자역량의 내용요소와 구성요소 측면에서 비교·검토하여 소비자역량 함양을 위한 소비자교육에 있어서 가정교과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집필된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인 사회, 도덕, 기술, 국어, 수학, 미술, 체육 교과서를 대상으로 소비자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소비자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체계화된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역량 내용체계를 준거로 활용하여 소비자교육 내용을 검토하였고, 소비자교육 내용이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소비자지식, 소비자태도, 소비자실천을 연계하여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은 시민역량(65.3%), 거래역량(27%), 재무역량(7.7%)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특히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재무역량 내용은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였으며, 가정교과는 재무역량 내용을 거의 다루지 않고 있었다. 가정교과는 생활설계 관점, 금융소비자 관점에서 그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비자시민역량에서 책임수용과 관련된 내용은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던 반면, 권리주장과 관련된 내용은 소홀히 다루고 있어, 권리와 책임 사이의 균형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리주장은 가정교과에서만 다루고 있는 영역으로 권리주장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용을 강화하고, 권리와 책임의 내용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시대적 요구와 문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가정교과에서 거래역량의 정보통신기술활용과 시민역량의 소비자 참여의 내용을 소홀히 다루고 있어 보완이 필요하였다.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의 소비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고, 소비자의 역할이 소비자 참여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능동적인 행동을 위한 교육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과 별 소비자역량 내용의 경향성을 살펴보면, 사회교과(41%)가 양적으로 가장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었고, 가정교과(25.8%), 도덕교과(17%), 기술교과(8.4%) 순이었다. 한편, 내용의 범위 측면에서는 가정교과가 22개의 소 영역 중 17개를 다루고 있었고, 가장 다양한 소 영역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가정교과는 소비자역량의 핵심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고,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역량 교육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교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소비자역량의 상세내용을 살펴본 결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교과별로 내용제시의 특성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교과는 개인의 실제 소비생활과 연계하여 실천적 방법. 구체적 지식을 제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고, 사회교과는 소비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제도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소비자를 둘러싼 환경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고려하는 내용이 많았다. 한편, 도덕교과는 소비생활을 성찰하고 소비생활과 관련된 도덕적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여섯째,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태도, 실천의 연계성이 매우 부족했으며, 지식의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특히, 실천교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가정교과의 경우에도 타 교과와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는 점에서 소비자교육에서의 가정교과의 한계점을 드러냈다. 소비자교육의 내용구성에 있어 지식, 태도, 실천이 총체적으로 연계되어 소비자역량 함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내용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학교 소비자교육에서 소비자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교과의 역할을 타 교과와의 관련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교과 간 통합적 접근을 통해 소비자교육 내용의 재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8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