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acculturation on parenting efficacy :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자녀교육 지원활동의 매개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李伶; Li Ling

Advisor
강상경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2020. 2. 강상경.
Abstract
Korean society has been undergoing drastic social changes since the 1990s with the influx of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including marriage immigrants and migrant workers, and has been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grow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re being included in the family members, highlighting issues related to their child-rear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enter the country without sufficient prior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nd society and experience multidimensional hardship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parenting and acculturation, resulting in a double whammy of acculturation and upbringing. Interest i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is needed.
In this regard, parenting efficacy has an important meaning. Parenting efficacy is the expectation and awareness of the ability of parents to think they can work out well in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child-rearing. Parents who are highly effective in raising children are less aware of the stress and depression caused by child rearing and try to provide their children with desirable parenting. Therefore, the parenting effic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t can be noted for acculturation in relation to the increase in the parenting effic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cculturation is very importan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settle down in Korean society, perform well in raising children and promote parenting efficacy. Depending on the type and degree of accultur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the stress of acculturation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efficacy of the parent. This suggests that acculturation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Next, it is important for mothers to support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relation to their parenting efficacy. Education support from parents raises emotional closenes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leads to a positive parenting efficacy as well.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ve not adapted well to Korean culture, are not active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have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which lead to low parenting efficacy.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seek alternatives to enhance the parenting effic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rough this theoretical review,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the accultur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ffects child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and how these activities affect parenting efficacy. The research hypothesis is that the level of accultur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ll affect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that their child-education support activities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Th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research is that it sets accultur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rather than a result variable, examines the impact of acculturation on child education and the parenting efficacy,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how much acculturation describes child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the 6th data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as used and a total of 1,239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conducted.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strict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proposed by Hayes (2013) was use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gration and separ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more parenting efficacy they have, the higher the level of marginalization, the less parenting efficacy they have. Second, the higher level of integra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more effort they make for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thus the higher the parenting efficac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while maintaining the ident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important,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overlooked. Rather than forc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assimilate unilaterally into Korean culture,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create policy support and social atmosphere so that they can live by equating migration culture with them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ulture. Second, the governments systematic and long-term support should be supported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child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particular, as children enter school age, they need to prepare and implement various education programs by age and stage of their children.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integrated programs related to the acculturation and child educ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urth,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support to enhance the parenting efficacy by changing views on the accultur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by paren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age.
한국 사회는 1990년대부터 결혼이민자와 이주노동자 등 문화적배경이 다양한 사람들이 유입되면서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고 다문화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문화적 배경이 다른 여성결혼이민자가 가족구성원에 포함되면서 이들의 자녀양육과 관련한 이슈들이 부각되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문화와 사회에 대한 사전지식이 충분히 없는 상태에서 입국하여 다차원적인 고충을 경험하며 특히 육아시기와 문화적응시기가 겹쳐 문화적응과 양육의 이중고를 겪는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과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라도 그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양육효능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양육효능감은 자녀양육과 관련된 어려움에서 자신이 잘 해결해나갈 수 있다고 여기는 부모로서의 능력에 대한 기대와 인식이다. 양육효능감이 높은 부모는 자녀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낮게 자각하고 자녀에게 바람직한 양육을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 증가와 관련하여 문화적응에 주목할 수 있다.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사회에 정착하여 양육을 훌륭하게 수행하고 양육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응이 매우 중요하다. 문화적응 유형 및 그 정도에 따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차이가 나타나고 문화적응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부모역할 효능감에 부적영향을 미친다. 이는 문화적응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양육효능감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자녀교육 지원활동이 중요하다. 학부모의 교육지원은 부모-자녀 간의 정서적 친밀감을 높이고,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양육효능감을 이끌어낸다. 한국문화에 잘 적응하지 못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자녀 교육에 적극적이지 못하고 교육 지원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으며 이는 낮은 양육효능감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론검토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이 자녀교육 지원활동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활동이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요인별 수준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줄 것이고, 이 영향에 자녀교육 지원활동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기존연구와의 차이점은 문화적응을 결과변수가 아닌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문화적응 정도가 자녀교육과 부모로서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문화적응이 설명하는 양육효능감 변량의 어느 정도가 자녀교육 지원활동에 의해서 설명되는지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학부모용 6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1,239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엄밀히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통합수준, 분리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고 주변화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통합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업성취를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이에 따라 양육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할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체성 유지가 중요함에도 간과되는 부분이 많다.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문화에 일방적으로 동화할 것을 강요하기 보다는 원 문화를 유지하면서 이주문화를 그들과 함께 동일시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교육 지원 과정에서 정부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자녀가 학령기에 접어들면서부터 자녀 연령별, 단계별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시행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자녀교육과 관련한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대한 관점의 전환과 자녀의 연령에 따른 부모교육으로 양육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