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산업화 너머의 작업장 : The Workshop beyond industrialization: Culture and technology of the watch repair practice in Jongno Clock alley, Seoul, South Korea
예지동 시계골목의 기술과 문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미영

Advisor
강정원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2020. 2. 강정원.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시 종로구 예지동 시계 골목의 시계 수리 기술과 작업장 문화의 역사적 변천과 사회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구한말부터 산업화 시기까지 최첨단 기술로서 각광받았던 복원 중심의 시계 수리 기술은 오늘날 사라져가는 전통문화가 되었다. 도제식으로 세대를 이어가며 기술을 전수하던 시계 기술자들의 작업장 문화는 복원에서 교체로, 손기술에서 기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민간영역에서 제도의 영역으로 전환되는 흐름 속에서 지속적 재생산의 위기를 맞고 있다. 예지동의 시계 기술은 국내외의 전문대학과 시계회사를 중심으로 제도화된 서비스 센터와 비교했을 때 시대에 뒤떨어진 기술로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주목할만한 것은, 한때 주된 시계 생산국으로 손꼽히던 한국의 시계산업이 그것을 고치는 수리 기술로부터 시작해 발전해왔다는 것이다. 또한, 자동화 기계장치가 아닌 손기술을 사용해 시계를 복원하는 기술은 오늘날 고부가가치를 가진 예술품을 생산하는 스위스의 독립 시계제작자 및 한국의 금속공예 작가들의 기술과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시계 골목은 국가의 지원이나 대기업의 자본 없이 자생적으로 성장한, 우리나라 중소 시계회사들의 모태가 되는 생산 공간이었지만, 1990년대 새로운 시간 지시 매체의 등장으로 손목시계의 인기가 떨어지고 치열한 경쟁으로 상당수의 국내 시계회사들이 문을 닫으면서 저가 조립 시계의 생산과 수리 작업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한편, 한국에서 시계라는 사물에 작동해 온 가치 체제(regimes of value) 아래에 예지동 시계골목의 작업장은 지속 가능한 상황학습의 장으로서 기능을 잃고, 마니아와 시계 산업구조 내에서 시장기술이라는 낙인을 안게 되었다.
현장에서 수집한 아카이브 자료와 참여관찰을 바탕으로 시계골목의 과거와 현재를 재구성한 이 글은, 크게 4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연구자는 시계의 수리라는 실천이 어떠한 상공인들의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구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노점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적 경관의 구체적인 양상과 기능을 밝히고, 시계골목에 존재하는 총체적 네트워크는 쓰레기가 되는 시계를 상품으로 재탄생 시키며, 사물의 안전망(safety-net for materials) 역할을 하는 기반시설로서 생태·사회문화적 가치를 가짐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는 골목의 경관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작업장 내의 구체적인 일상생활을 살펴보았다. 시계는 하나의 사물이면서 동시에 여러 부속의 조립품으로서 물질의 총합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시계 수리의 큰 범주를 복원의 기술과 제작의 기술로 구분하여 수리, 선반, 문자판, 유리, 시야게-도금(부식-레이저, 캇트), 줄(줄땜, 가죽줄)의 세부 분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세부 분야의 기술자들이 어떤 작업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한정된 지면으로 해당 기술을 완전히 기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지만, 이를 통해 시계 수리뿐 아니라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정밀금속가공기술로서의 선반 기술, (문자판) 인쇄기술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었다는 데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기술자들의 작업은 실행공동체의 원리가 작동하는 실천의 영역으로서, 도제식 교육을 분석한 레이브와 웬저의 상황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유효하게 분석될 수 있다. 논문에서는 기술의 전수가 어깨너머 기술로 압축되는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을 구술과 아카이브(생활유물) 자료를 통해 복원하였다. 또한, 기술자 중에서도 장인이 될 수 있는 조건과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시계 수리 기술에도 일반 기술과 특수 기술의 차이가 존재하며, 기술자의 장인 의식은 온전한 개인의 몫이기보다 사회문화적 조건이 갖추어져야만 상황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기술임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상황학습 공동체의 단절, 즉 선반과 같은 특수 기술 분야에서 후배 기술자를 양성하지 못하는 시계골목 작업장의 상황이 정치적이고 제도적인 맥락에서 시계 수리 기술자들을 배척해왔던 시장과 국가의 지식 권력이 작동한 결과임을 설명하였다. 시계골목에는 국가와 시장이 사치품과 밀수품, 모조-변형품을 단속·검열한다는 명목으로 시계를 고치는 기술자들까지도 그러한 인식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역사가 있었다. 이 연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보상위험을 기준으로 작업 공임비를 책정하는 방식이, 보험의 원리가 반영된 공동체의 도덕적 기술임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공동의 합의가 손님과 기술자, 시계를 매개로 한 공동체를 구성하고 작업 과정에서 장인 의식을 발현하는 데 기여해왔음을 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시계 골목의 수리 작업장들이 당시로서는 시계 생산의 산업화에 실패했지만, 그 너머의 기능과 가치를 가지게 되었음을 환기하고자 했다. 시계 골목은 시계라는 유형의 물질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상품 상황을 총괄하는 공간이다. 시계를 생산-소비-폐기의 단일한 경로로부터 전환해, 그것이 가진 다양한 가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공간인 것이다. 각자가 가진 모양과 색깔과 구조와 역사를 통해 시계들은 역사 속 하나의 대상으로서 진정성을 획득하게 된다. 예지동에서 고쳐지는 시계들은 그것이 빛을 발했던 어느 특정한 근대적 시대가 아닌, 사람들 각자의 경험 속에서 탄생하는 의미와 역사를 담은 기념물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istorical changes and social functions of watch repair technology and the workshop culture of Clock Alley in Jongno,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The technology, which was centered around restoring rather than simply replacing parts and was hailed as a cutting edge technology until the mid-20th century, now has become a diminishing traditional culture. Reproduction of the workshop culture of the repairers passed down through apprenticeship has been endangered by several interrelated changes: from restoration to replacement, handcraft to machine-based, and private to institutional. Watch repair technology itself even tends to be recognized as an old-fashioned technology in comparison to a systemized service center run by watch companies and engineering colleges. However, the remarkable thing is that the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watch industry, once one of the biggest watch producers and exporters, began from such repairing technology. Handcraft restoring skills, distinctive from 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automated machines, also have a technical connection with independent horologists in Swiss and Korean metal craft artists.
Clock Alley developed by itself, without governmental support or the capital of conglomerates, and became the birthplace and the production site of small-scale watch companies. However, the advent of new media containing the time-indication function in the 1990s led to the decline in popularity of watches. In the fierce competition for survival, many small-scale domestic watch companies ran out of business and the market became reorganized into cheap priced assembling and repairing work. On the other hand, workshops in Clock Alley have lost the function as a sustainable training field and became stigmatized as bazaar skill by the Korean watch industry, under the regimes of value operating on the thing called the watch.
This study reorganizes past and present of the alley based on archival content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body of the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Chapter II investigates the social relationship on which the repair work as a social practice is founded, and explains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the industrial landscape recognized by street vendors. It argues that the total network of Clock Alley could be considered as an infrastructure conveying ecological and social-cultural values. In this network, the study calls it a safety-net for materials: wasted watches are saved, repaired and become commodities.
Chapter III describes the technology itself, captured through the life culture of the workshops. A watch is not only a single artifact, but also a component assembled from various materials into parts. The study roughly categorizes watch repair technology into two sections: skills of restoration and skills of making, and sub-categorizes them again into five parts: repair, lathe, dial, glass, polishing-gilding (corrosion and laser, and diamond-cutting), a band (soldering and leather crafting). The following descriptions covers the overall repair process, including less noticed skillful techniques, for instance, the lathe as precision metalworking and dial restoration as a deliberate printing skill. Not from manuals nor archival records, this helps readers understand how complex and diverse the watch repair technology is, as a sum total of those technical fields.
Chapter IV applies Lave and Wengers situated learning theory to analyze repairers work and handed-down institution. In the communities of practice, repair skills are regarded as social practices. The process of handing down veteran repairers skills to their apprentices is well summarized by Lave and Wenger's term skills learned beyond shoulders through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his chapter tries to reconstruct how this is practiced with interviews from participants and archival materials. Also, it presents the specific conditions and situations that make repairers become master craftsmen, emphasiz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eneral skill, and special skill and that the craftsmanship is not entirely an individual quality for the mastery of repairers and can be revealed situationally only under adequate socio-cultural conditions.
Chapter V explains the rupture of the communities of practice, that is, the workshops failure of a training follow-up generation in the realm of a special skill as a consequence of the knowledge power of government and (formal) market from which Clock Alleys repairers have been excluded in a political and an institutional context. Constant crackdown and censorship on luxuries, imitations, and smuggled products have labeled them as informal economic actors. Nevertheless, this study argues that the way repairers value the price of their work based on the risk-reward is the moral engagement of a community that reflects the principles of insurance. Such communal engagement has contributed to intermediate actors in Clock Alley such as visitors, repairers, and watches to become a community and helps repairers manifest their mastery as craftsmen in the process of repair work.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s to evoke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workshops in Clock Alley failed to industrialize their production system during the late 20th Century, they have come to acquire functions and values beyond industrialization. Clock Alley is a locus where all commodity situations allowed for the type of materials belonging to the watch are subsumed. It diverges watches from the unitary trajectory of production-consumption -disposal and makes their latent possibilities to be realized as second-hand goods. In this place, watches acquire authenticity as an object in the history through their respective shapes, colors, mechanisms, and histories. The repaired watches in Clock Alley are remembrances containing meaning and history that came from each individuals experiences, not from a certain modern time.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1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