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대 여성의 인생사진 문화 연구 : A Study on the Pic of the day culture of 20s Wom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효

Advisor
김수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2020. 2. 김수아.
Abstract
인스타그램의 인생사진 문화는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공유되고 있지만, 그 대중적 파급력에 비해 적극적으로 분석되지 못하고 얄팍한 수준에서 이해되어왔다. 많은 연구는 자기 사진 연출에 몰두하는 20대 여성들을 나르시시즘적이고, 외모 집착적이며, 허영에 빠져 사람들의 주목을 갈구하는 유아적인 주체로 묘사해왔다. 여성들의 사진연출문화는 주로 자기에게 천착하는 '병리학적 증상'으로 해석되거나 마케팅의 대상으로 여겨질 뿐, 사회학적 분석의 장으로 적극 편입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페미니즘 리부트'와 같은 시, 공간을 점유하며 일어난 인생사진 문화의 유행에 초점을 맞추어 20대 여성에게 SNS와 사진이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이들이 아름다움과 페미니즘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SNS는 오프라인과 달리 자신이 보이고자 하는 이미지를 심사숙고하여 결정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여성들은 많은 시간과 공을 들여 자아의 컨셉을 기획하고 스스로의 서사를 창조하고 있었다. 스타일리쉬한 자아를 전시하기 위해 '인공추억'을 기획하고, '차별화'된 장소에서 사진을 찍으며 마치 연예인이 화보를 촬영하듯 사진을 연출했다. 또한 사진을 다 찍은 후에도 사진을 선별하고 보정하고 후에 '피드'를 정리하기까지, 일상을 인스타그램에 맞춰 재조직하는 모습을 보였다. SNS 사진은 타인에게 보여주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들의 상호작용 경험에 초점을 두고 관계적 차원에서 아름다움을 독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 평판의 핵심은 아름다움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에서는 '신학기 전통'과 같이 의례적인 방식으로 외모품평이 이뤄지고 있었는데, 여기서 외모 평가는 상당 부분 사진을 경유해 일어났다. 즉 사진이 '첫인상'으로 작동하며 이후 여성들의 관계경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몇몇 여성들은 상대를 알아가기 위한 시도를 하기도 전에 이미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가 정해졌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아름다움이라는 '첫 단계'를 넘어야 비로소 개인 대 개인의 관계 맺기가 가능해진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아름다움은 20대 여성이 '개인'으로 인식되기 위한 선결과제이자 청년 문제의 해결책으로 여겨졌다. 또한 SNS는 여성의 평판과 사회적 위치를 공개적으로 가시화하는 역할을 했다. 사진에 달리는 댓글은 품평 권력을 가진 남성과의 관계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했고, '좋아요'와 팔로워 수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해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여성들이 SNS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은 아름다운 사진을 매개로 작동하는 자신의 평판이었다. 즉 자신의 연출된 사진에 달리는 '좋아요'와 댓글을 지인들에게 전시함으로써 자신이 공동체 안에서 인정받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했다.
한편 이성연애는 여성이 아름다움을 획득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주요한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연애를 한다는 것 자체가 여성의 아름다움을 어느 정도 보증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여성들은 살이 찌거나 자신의 외모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연애를 함으로써 자신이 이성애적 매력을 갖춘 여성이라는 것을 확인받고 자아존중감을 획득했다. 사진은 이성 연애를 추구하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여성들은 잠재적 연애상대의 시선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아름답게 사진을 보정하고 전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20대 여성들은 페미니즘이 대중화된 시대를 살고 있는 만큼 자신들이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사진을 연출하는 행위를 페미니즘적으로 해석하고 정당화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즉 페미니스트가 못생기고 남성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여성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아름다운 사진을 전시하는 맥락이 있었다.
한편 적극적으로 탈코르셋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은 인생사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들이 미적노동을 거부하고 배척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이들이 가진 페미니즘 인식과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그 결과 탈코르셋 운동이 단순히 외모억압구조에 균열을 내기 위한 실천일 뿐 아니라, 성적 폭력으로부터 안전해지기 위한 전략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들에게 안전과 위험은 페미니즘의 핵심 논점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20대 여성들이 자신을 증명하고 인정받기 위해 SNS와 연애를 활용하는 모습은 이들이 살고 있는 현실의 위태로움과 취약성을 보여주었다. 여성 청년들은 '청년 문제'를 바탕에 깔고, 개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아름다움을 증명해야 하는 과제까지 안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SNS와 연애는 여성들이 자아존중감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범퍼 역할을 했다. 이 연구는 20대 여성이 맺고 있는 관계 문제를 젠더관점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페미니즘 담론장 외부에서 보이는 여성 청년의 일상과 현실을 드러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While Instagram's 'Pic of the day' culture is widely shared around women in their 20s, it has not been actively analyzed and understood at a shallow level compared to its public impact. Many studies have described women in their 20s who are narcissistic, obsessed with their appearance and vain as infantile players who crave peoples attention. The photographic culture of women has not been a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field of sociological analysis, as it is largely interpreted as a "physiological symptom" or considered a marketing target.
This paper sought to find out the meaning of SNS photos for women in their 20s, focusing on the trend of 'Pic of the day' culture that took place taking possession of time and space, such as "feminism reboot." The paper also wanted to see how they perceive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feminism in addition to the recent feminist reboot.
Unlike offline, SNS is given time to contemplate and decide on the image they want to display, so women were spending a lot of time and effort planning their own concepts and creating their own narratives. To display their stylish selves, they planned "artificial memories," took pictures at "differentiated" locations, and produced pictures as if an entertainer was taking a photo shoot. They also selected and retouched the photos, later organized "feed" and reorganized their daily lives to Instagram after taking the photos. Because SNS photos are intended to be shown to others in the end, This papaer tried to analyze beauty with a focus on their interaction experience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re of women's reputation in their 20s is beauty. In the university, appearance evaluation was carried out in a ritual manner, such as the 'the tradition of the new semester', where appearance evaluation took place in large part through photographs. In other words, photography works as a "first impression" and has greatly affected women's experience in relations since then. Under these circumstances, some women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ir "objective" position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before they even try to get to know each other. Since it was conceiv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have a personal-to-person relationship only after the 'first step' of beauty, beauty was regarded as a prerequisite for the recognition of women in their twenties as 'individuals' and a universal solution to the youth problem.
SNS has also served to publicly visualize women's reputations and social positions. The comments on the photo played a indirect role in reveal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en who had the power of criticism and 'Likes' and followers were thought to objectively quantify a woman's beauty. What women wanted to show through SNS was their reputation for working through beautiful photography. In other words, woman wanted to prove that she was recognized person in the community by displaying 'likes' and comments on her well-produced photographs to his acquaintances.
Meanwhile, heterosexuality was used as a major strategy to prove that women had achieved beauty. Because dating itself was considered to be a guarantee of a woman's beauty to some extent, women were identified as having a heterosexual charm by dating when they were fat or when they did not like their appearance. Photography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ursuit of romantic relationships. Some women have beautifully retouched and displayed photographs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potential love partners.
As women in their twenties live in the age of popularization of feminism, they are trying to interpret and justify the act of pursuing beauty and directing photographs. In other words, there was a context for displaying beautiful photographs to prove that feminists were not ugly and unloved by men.
Meanwhile, wome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Off-corset' movement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Pic of the day' culture. To understand why they reject all beauty labor, this paper have tried to analyze their understanding of feminism and beau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ff-corset' movement was not only a practice to crack the appearance suppression structure, but also had ruled out feminine markings as a kind of strategy to be safe from sexual violence. For them, safety and risk were understood as a key issue of feminism.
The use of social media and dating to prove and be recognized by women in their twenties showed the vulnerability of the reality in which they live. The young women even had the task of proving beauty to be recognized as individuals, based on the "Youth problem" issue. In this situation, SNS and dating have served as a kind of bumper that allows women to maintain self-esteem. The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daily life and reality of a young woman as shown outside the feminism discourse, by shedding light on the problems of the relationship that women in their 20s have.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9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