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페미니스트 대안 주거로서의 '함께살기(living together)' : 'Living Together' as an Alternative Feminist Housing Strategy : Focusing on Doing Home Practices of Single Young Korean Women
비혼 청년 여성들의 '집 꾸리기(doing home)' 실천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유진

Advisor
정현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2020. 2. 정현주.
Abstract
This study shows how single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not planning to be married in the future are living together in the given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der normative spatio-temporality that constructs our time and space based on reproductive normative, and also has purpose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se living together practices for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ritical thinking upon how single is often considered only as 'living alone' or 'temporary' in policy process or mainstream discourse. In other words, through examining the practice of living together by single women, this study tried to dig deeper into the attributes of not living alone and persistive.
With the wave of feminism re-emerged in the mid-2010s, 'non-marriaged life' has not only emerged as an important political agenda among young women, but also has become the term describing many young women's lives. However, normative spatio-temporality, which is the normative structure of time / space by family, heterosexuality, and reproductive systems, makes the doing home practices more difficult for single young women who are prone to be instable both socially and economically. Under these bad conditions, unmarried women seek live separately and together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the single women living together happens at the multiple levels of ① Finding the way of survival ② Making the extension of the imaginative and selectable options outside marriage system ③ Demanding and changing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created around heterosexuality-reproduction-family.
The living together of these single women was mainly caused by chance, or in the process of actively living together as an awareness of their position as 'non-married', 'young,' and 'women'. The first place that single women gain from independence from their original family, in a system that regards unmarried life as a temporary and limited form, and in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woven around heterosexual families, is mainly studios, Kosiwon, or dormitory wher they should live with random other person. In this space, single women feel 'like a room', that is, 'like a house'. In other words, the imagination and practices of various intimacy and relationships are suppressed, and single women experience a lethargy or a lack of productivity. Living together begins as part of a voluntary move to break this situation.
These single women who get away from the "home" of the gendered family get a "room-like" space, and want to find out what a "home-like" space is. Such "house-like" is summed up as enjoying a better living environment with respecting each other as equal individuals and not returning each other to roles. Living together is not ideal in a dense influence of normative space-time and in a living environment organized according to the logic of capital. At the symbolic level, the heterosexuality, reproductive, and family-centeredness of houses make it seeming that single women are constantly pushing or living together as peripheral. Material spaces do not adequately support their living together practices. In this situation, they constantly encounter and negotiate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barriers. However, single women rediscover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house' and its contents through living together. These practices can be imagined as feminist doing home' through the practice of creating a crack in the existing norms and actively politicizing them at the point where they collide with the barriers as well as in the personal sphere. As such, it is meaningful to expand the physical space that supports it spatially.
본 연구는 20, 30대 비혼여성들이 근대적 공·사 구분과 규범적 시공간성에 의해 구획되는 도시·주거환경 속에서 어떤 이유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함께살기(living together)를 실천하고 있으며, 이 같은 실천들은 도시·주거환경에 어떤 함의를 주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정책 과정이나 주류 담론 속에서 비혼이 종종 혼자 사는 것, 혹은 임시의 것으로만 여겨지는 세태에서 출발했다. 즉, 이 연구는 비혼여성들의 함께살기 실천을 통해 비혼의 독거 아님과 지속적임의 가능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파헤치려는 시도이다.
2010년대 중반 재부상한 페미니즘의 물결과 함께 비혼은 청년 여성들 사이에서 중요한 정치적 의제로 등장했을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수많은 청년 여성들의 삶을 나타내는 용어가 되었다. 그러나 시간/공간을 가족-이성애-재생산의 제도에 의해 규범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인 규범적 시공간성은 사회·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위치에 있기 쉬운 비혼 청년 여성들의 대안적 집 꾸리기(doing home)를 한층 더 어렵게 하는 배경으로 작동한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 비혼여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따로 또 함께 살아가기를 모색하고 실천하고 있으며, 이때 함께살기는 ① 생존을 도모하는 여성들의 궁여지책, ② 선택 가능한 결혼제도 외부를 상상 가능하게 만들며 그 영역을 늘려 나가는 실천, ③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만들어져 온 도시·주거환경에 변화를 요구하고 변화시키는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차원의 실천으로, 어떤 특정한 주거 형태나 공동체에 수렴하지 않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결혼하지 않은 삶을 임시의 한정적인 형태로 여기는 제도, 그리고 이성애 가족을 중심으로 직조된 도시·주거환경에서 비혼여성들이 원가족으로부터 독립해 처음 얻게 되는 공간은 주로 원룸, 고시원, 혹은 임의의 타인과 함께 생활하게 되는 기숙사 등이다. 이러한 공간에서 비혼여성들은 방 같음, 다시 말해 집 같지 않음을 감각하게 된다. 가족과 함께 살던 규범적 집에서 벗어나 독립된, 그러나 방 같은 공간을 얻은 비혼여성들은, 이러한 공간에서 밀려나는 경험을 통해 집 같은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주로 함께살기를 통해 감각되는 집 같음은, 자신의 생활을 한정적으로 축소시키지 않는 보다 나은 공간에서, 각각의 구성원들이 서로 동등한 개인으로 존중하며 또한 역할로 환원하지 않으면서 함께 삶으로써 보다 나은 주거 생활을 누리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이러한 함께살기는 결코 이상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상징적 차원에서 규범적 시공간성은 비혼여성들이 실천하고 있는 함께살기를 끊임없이 주변적인 것으로 내몰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도록 작동한다. 가족 생활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공간들도 이들의 함께살기를 적절하게 뒷받침해주지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은 끊임없이 다층적인 장벽들과 부딪히고 협상하게 된다. 그러나 비혼여성들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함께살기를 통해 집의 물리적 구조와 그 속의 내용물들을 재탐색해 나간다. 이 같은 실천은 개인적 실천임과 동시에 또한 다층적 장벽들과 충돌하는 지점에서 기존 규범에 균열을 만들어 내는 실천이다. 나아가 이러한 균열과 대안적 영역을 적극적으로 정치화하고자 하는 다각도의 노력은 페미니스트 대안적 집 꾸리기를 상상할 수 있게하고 이를 공간적으로 뒷받침하는 물리적 공간을 구축해나갈 수 있게 하는 역동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