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High preoperative platelet count i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symptomatic cerebral hyperperfusion syndrome after superficial temporal artery-middle cerebral artery anastomosis in moyamoya patients : 모야모야 환자에서 표면 측두 동맥-중뇌 대동맥 동맥 문합 수술 후 과관류 증후군과 높은 수술 전 혈소판 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우영

Advisor
박희평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대학 의학과,2020. 2. 박희평.
Abstract
Background: Platelet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accompanied by micro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underlying postoperative symptomatic cerebral hyperperfusion syndrome (PSCHS) after superficial temporal artery–middle cerebral artery (STA-MCA) anastomosis in moyamoya patients. We examined whether the preoperative platelet count can predict PSCHS after STA-MCA anastomosis in such patients.
Methods: In 160 adult moyamoya patients undergoing 186 STA-MCA anastomoses, preoperative (demographics, initial clinical manifestation, and Suzuki grade), intraoperative (surgical time, operative side, fluid balance, and maximum and minimum mean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vessel anastomosis), immediate postoperative (APACHE 2 score), and laboratory (hemoglobin and C-reactive protein levels and white blood cell and platelet counts)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Results: 84 patients (90 sides, 48.4%) developed PSCHS with a median (IQR) onset of postoperative day 1 (0–3) and duration of 4 (3–7) days. The preoperative (mean [IQR] 252 [228–280] vs. 231 [197–262] ×103/μL, p = 0.009) and immediate postoperative (190 [160–227] vs. 174 [148–206] ×103/μL, p = 0.037) platelet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PSCHS than in those without. The preoperative platelet count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1.01 [1.00–1.02], p = 0.002), operation on the dominant hemisphere (10.38 [4.56–23.64], p < 0.001), and negative fluid balance (2.70 [1.10–6.66], p = 0.031)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PSCHS. The optimal cut-off value for the preoperative platelet count was 227 ×103/μL. PSCHS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cases with a preoperative platelet count ≥ 227 ×103/μL (2.90 [1.54–5.45]; p = 0.001).
Conclusions: A high preoperative platelet count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SCHS after STA-MCA anastomosis in adult moyamoya patients.
배경: 혈소판은 모야모야 환자에서 표면 측두 동맥-중뇌 동맥 (STA-MCA) 문합 수술 후 발생하는 과관류 증후군의 원인으로 알려진 미세 혈관 내피 기능 장애와 그에 동반되는 염증 반응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러한 환자에서 수술전 혈소판 수가 표면 측두 동맥-중뇌 뇌동맥 문합 수술 후 과관류 증후군 발생의 잠재적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186건의 표면 측두 동맥-중뇌 뇌동맥 문합 수술을 받은 160 명의 성인 모야 모야 환자에서 수술 전 (인구 통계, 초기 임상 증상, 스즈키 등급), 수술 중 (수술시간, 수술 부위, 체액 균형, 혈관 문합 전후의 최대 및 최소 평균 혈압), 수술 직후 (APACHE2 점수), 혈액 검사(헤모글로빈 및 C-반응성 단백질, 백혈구, 혈소판 수)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결과: 84명의 환자 (90건, 48.4%)는 과관류 증후군이 평균 (IQR) 첫 발생 (술후 1 [0-3]일) 및 지속 기간 (4 [3-7] 일)로 나타났다. 수술 전 혈소판 수 (252 [228-280] vs 231 [197-262] x10/ul, p = 0.009) 및 수술 후 혈소판 수 (190 [160-227] vs 174 [148-206] x10/ul, p = 0.037) 는 과관류 증후군이 발생한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수술전 혈소판 수치의 최적 절단값은 227x10/ul (2.90 [1.54–5.45]; p = 0.001) 이다. 수술 전 혈소판 수 (교차비 [95% 신뢰 구간], 1.01 [1.00-1.02], p = 0.002), 우성대뇌반구의 수술 (10.38 [4.56-23.64], p <0.001) 및 음성 체액 균형 (2.70 [1.10–6.66], p = 0.031)은 과관류 증후군에 대해 중요한 독립적인 요인이었다.
결론: 수술 전 높은 혈소판 수는 성인 모야모야 환자에서 표면 측두 동맥-중뇌 뇌동맥 문합 수술 후 과관류 증후군 발생과 관련이 있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6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