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ncidence of Deep Vein Thrombosis and its Effects on Clinical Outcome after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 이후 심부 정맥 혈전증의 발생율과 임상적 영향: 슬관절전치환술과의 비교
A Comparison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수

Advisor
강승백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대학 임상의과학과,2020. 2. 강승백.
Abstract
Medial opening high tibial osteotomy (OWHTO) is being used to treat knee osteoarthritis in relatively young patients with varus deformity. Among many possible complications following high tibial osteotomy (HTO), deep vein thrombosis (DVT) has potentials to develop to more life-threatening issues like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Incidence of DVT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s known as 41-85%. In case of DVT after HTO, it is relatively less studied. The incidence and pattern of DVT formation following HTO was compared to TKA. DVT occurred in 65.6% of TKA patient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ess in HTO group in which 45.2% occurrence was recorded (p=0.027). Although more patients had DVT in TKA group, more DVT patients in HTO group presented symptom (9.5% vs. 1.1%, p=0.00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cation of DVT (p=0.671). According to our results, distal DVT was not less prone to have symptom. Clinical outcome was also compared between DVT and non-DVT group in HTO patien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cause routine postoperative DVT screening was done by CT angiography, DVT could be detected in early stage and proper management could be done. It might be the reason wh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inical outcomes. There are guidelines including chemoprophylaxis and mechanical prophylaxis for deep vein thrombosis after joint replacement surgery.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chemoprophylaxis in HTO.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occurrence of DVT after HTO, and proper management should be done in early stage. However, in terms of routine postoperative evaluation and chemoprophylaxis of DVT, further research must be done.
내측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은 내반변형이 있는 비교적 젊은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주로 사용되는 수술방법이다. 근위경골절골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들 중, 심부 정맥 혈전증은 폐색전증과 같이 보다 위중한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슬관절전치환술 이후 심부 정맥 혈전증의 발생률은 41-85%로 알려져 있으나, 근위경골절골술 이후의 발생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근위경골절골술 이후 발생하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발생률과 패턴을 슬관절전치환술 이후 발생하는 경우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슬관절전치환술 이후 심부 정맥 혈전증의 발생률은 65.6%인데 비해 근위경골절골술 이후에는 45.2%의 발생률이 측정되었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027). 비록 슬관절전치환술에서 심부 정맥 혈전증의 발생률이 더 높았으나, 근위경골절골술의 경우에서 증상이 있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발생률은 더 높았다 (9.5% vs. 1.1%, p=0.002). 심부 정맥 혈전증의 발생 위치는 양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671).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위부의 발생하는 심부 정맥 혈전증이 임상적으로 증상을 덜 일으키지는 않았다. 근위경골절골술 환자들 중에서 심부 정맥 혈전증이 생긴 환자와 생기지 않은 환자들 간의 임상 결과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모든 환자들에 대해 CT 혈관조영술로 심부 정맥 혈전증 스크리닝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수술 후 발생하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대다수가 조기에 진단되어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심부 정맥 혈전증의 유무가 임상적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수 있었을 것이라 추정해볼 수 있다. 관절 치환술 이후에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화학적 및 기계적 예방에 대한 지침들이 제안되어 있지만 근위경골절골술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근위경골절골술 이후 발생하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경우, 증상이 있을 가능성이 슬관절전치환술에 비해 더 높기 때문에 그 발생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조기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근위경골절골술 이후 모든 환자들에 대해서 심부 정맥 혈전증 검사 및 화학적 예방이 이루어져야할 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2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