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작품의 가치 평가에 있어서 도덕주의와 자율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Critical Consideration of Moralism and Autonomism Regarding Value of Ar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형주

Advisor
이해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미학과,2020. 2. 이해완.
Abstract
Ethical Criticism argument is an argument about relation between moral value and artistic value of artworks. Representative theories of Moralism are Ethicism of Berys Gaut and Moderate Moralism of Noël Carroll. The representative theory of Autonomism is Moderate Autonomism of Anderson and Dea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presentative theories of Moralism and Autonomism, and to understand them correctly, and finally to show what their significance and limits are. So far, we have classified ethical criticism theories on the basis of how often moral value is related to artistic value (sometimes, always, never, etc). This is the major reason why we could not understand the theories correctly. Carrolls theory was often misunderstood as almost the same as Gauts theory, and what Moderate Autonomism argues seemed unclear, if not contradictory. We can understand the theories better if we analyze them on another basis: not how often, but the way moral value and artistic value are related. I suggest we use direct relation and indirect relation as the new standard to classify and analyze ethical criticism theories.
In the first chapter several concepts and background knowledge will be introduced. Critical keywords are direct relation and indirect relation. Direct relation means that moral value is in itself artistic value, without rendering any kind of difference in aesthetic value of a given artwork. Even when moral defect does not harm the coherence of the plot or persuasiveness of the story, moral defect should be considered as artistic defect. Ethicism supports direct relation. On the other hand, indirect relation means that moral value is related to artistic value only indirectly, by affecting aesthetic value. For example, when an artwork shows immoral attitude, that moral defect might harm the coherence of the plot or persuasiveness of the story, therefore negatively affecting aesthetic value. Consequently, that moral defect will give rise to artistic defect. However, if moral defect does not harm aesthetic value it is not an artistic defect. Moderate Moralism advocates indirect relation.
In chapter Ⅱ, I will show that Ethicism and Moderate Moralism are clearly different theories in that the former advocates direct relation whereas the latter supports indirect relation. Also I will argue that Ethicism fails to be a persuasive theory because it is self contradictory, and that Moderate Moralism is a better theory since there is no contradiction.
In chapter Ⅲ, I will show that Moderate Autonomism admits the possibility of indirect relation, and in that matter it shares important common feature with Moderate Moralism. This analysis leads to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relation between Moderate Moralism and Moderate Autonomism. In other words,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two theories are not each others radical opponent. Rather they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both theories admit indirect relation. Next, I will introduce two possible criticisms that can be aimed at Moderate Autonomism, and argue that the fact that Moderate Autonomism accepts indirect relation is not a fatal threat to the theory. The first possible criticism is that Moderate Autonomism that accepts indirect relation is not Autonomism anymore. Second possible criticism is that if Moderate Autonomism accepts indirect relation and therefore share critical feature with Moderate Moralism, then the two theories are practically the same theories. To defend Moderate Autonomism I will first suggest a new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utonomy. If we understand autonomy in a different way, Moderate Autonomy is not a self-contradictory and it can maintain its stance as an autonomism theory. Secondly, I will point out that Moderate Autonomism does have different stance from Moderate Moralism; the former rejects the view that potential moral threat is an artistic defect.
Finally in chapter Ⅳ, I will argue that we can switch the direction of ethical criticism argument by admitting that two seemingly opposed theories share important common feature. So far, Moralism and Autonomism have been considered radically opposing theories, which led Ethical Criticism argument to center around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ories. However, if we accept that the two theories are not that radically different and that they share important feature, future debate could result in more productive study, such as complementing each theories weak points.
이 글의 목적은 예술의 윤리적 비평 논쟁에 참여하는 이론 중에서 도덕주의와 자율주의 진영의 대표적인 이론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분석하여 각 이론의 의의와 문제점을 밝히고 타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도덕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입장은 크게 도덕주의(Moralism), 비도덕주의(Immoralism), 자율주의(Autonomism)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도덕주의는 도덕적 미덕은 예술적 가치와, 도덕적 결함은 예술적 결함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주의의 대표적인 이론은 베리스 거트(Berys Gaut)의 윤리주의(Ethicism)와 노엘 캐럴(Noël Carroll)의 온건한 도덕주의(Moderate Moralism)이다. 두 이론가가 택하는 전략은 공통점도 있지만, 분명히 차이점도 있다. 하지만 기존의 윤리적 비평 논의에서는 캐럴의 이론과 거트의 이론의 차이점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고, 두 이론의 입장이 사실상 같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러한 주장을 포함하여 도덕주의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는 재고를 요하는 부분이 많다. 본 논문은 우선 이 점을 명료히 밝히려고 하며 이것이 논문의 주요 목표 두 가지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주요한 주제는 도덕주의에 대한 안티테제로 간주되는 자율주의에 대한 검토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의 진영의 이론 중에서도 온건한 자율주의만을 다룰 것이며, 제임스 앤더슨(James C. Anderson)과 제프리 딘(Jeffrey T. Dean)의 온건한 자율주의(Moderate Autonomism)를 분석한다. 온건한 자율주의는 예술작품의 윤리적 비평은 가능하다고 인정하지만, 작품의 도덕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는 완전히 별개이며 무관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온건한 자율주의는 표면적 주장과 이론의 논변이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며 이론의 정확한 주장이 무엇인지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본 논문은 도덕주의 이론들과 앤더슨과 딘의 자율주의 모두 기존의 관점보다는 관계를 맺는 방식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검토할 때 이론의 주장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론의 의의도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개념들을 설명한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거트의 윤리주의와 캐럴의 온건한 도덕주의를 분석하여 두 이론의 차이점과 이들이 제시하는 논변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하여 도덕주의 이론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를 할 것이다. Ⅲ장에서는 앤더슨과 딘의 온건한 자율주의를 분석하고 이것이 자율주의 이론으로서 타당한지 평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본문의 연구를 바탕으로 윤리적 비평 연구를 재고찰하여 앞으로의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먼저 1장에서 본고가 제시하는 주요 개념은 윤리적 비평 이론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에 관한 것이며, 도덕적 가치가 예술적 가치가 관계를 맺는 방식과 관련된다. 기존의 윤리적 비평 논의는 도덕적 가치가 예술적 가치와 얼마나 자주 관계가 있는지 기준으로 이론들을 구분했으며 때때로, 항상, 절대로 등의 빈도 부사로 각 이론의 핵심을 파악했다. 하지만 본 논문은 기존의 논의와는 달리, 도덕적 가치가 예술적 가치와 관계를 맺는 방식을 중심으로 이론들을 분석한다. 이 관계를 맺는 방식을 본고는 직접 관계와 간접 관계로 구분한다. 직접 관계는 예술작품의 도덕적 가치가 형식적 속성의 변화를 통한 미적 가치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도 그 자체가 곧 예술적 가치라는 뜻이다. 반면에 간접 관계는 도덕적 가치가 형식적 속성에 영향을 끼쳐서 간접적으로 예술적 가치와 관계를 맺는 방식을 뜻한다. 도덕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간접 관계로 이해한다면, 도덕적 가치가 형식적 가치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줄 때만 간접적으로 예술적 미덕이나 결함과 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도덕적 가치가 예술적 가치와 관계 맺는 방식을 분류한 후, Ⅱ장에서 이 개념을 활용하여 도덕주의 이론 두 가지를 분석한다. 우선, 우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거트의 윤리주의는 직접 관계를 옹호하는 반면 캐럴의 온건한 도덕주의는 간접 관계를 옹호한다는 점에서 분명히 다른 도덕주의 이론이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본고는 이처럼 거트와 캐럴의 이론의 차이점을 명확히 나타낸 후, 각 이론의 테제와 논변을 검토하여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검토 결과, 우리는 거트의 윤리주의는 이론 내적인 모순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한 이론이며 캐럴의 온건한 도덕주의가 거트의 도덕주의보다 더 나은 이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Ⅲ장에서는 온건한 자율주의의 테제와 논변을 분석하여, 온건한 자율주의는 간접 관계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캐럴의 온건한 자율주의와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온건한 도덕주의와 온건한 자율주의가 서로의 대척점에 있으며 첨예한 갈등 관계에 있다는 기존의 이해를 재고하도록 한다. 이어서 본고는 간접 관계를 인정하는 자율주의 이론이 직면할 수 있는 두 가지 가능한 비판점을 다루고 이를 재반박할 것이다. 첫 번째 가능한 비판은 온건한 자율주의가 간접 관계를 인정한다면 이는 더 이상 자율주의 이론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가능한 비판은 간접 관계를 인정하는 온건한 자율주의는 온건한 도덕주의와 사실상 차이점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을 반박하기 위해 본고는 새로운 자율 개념을 제시할 것이다. 본고는 자율주의를 새롭게 이해할 것을 제안하면서,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온건한 자율주의는 자율 개념에 모순적이지도 않고, 예술작품의 잠재적 악영향은 예술적 가치와 무관하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온건한 도덕주의와 분명한 차이점이 있는 이론이라는 것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우리가 온건한 도덕주의와 온건한 자율주의가 가지는 공통점을 인정함으로써 윤리적 비평 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 지금까지의 윤리적 비평 논쟁은 도덕주의와 자율주의가 완전히 다른 이론이라고 이해해 왔으며, 이 때문에 두 이론 사이의 차이점을 필요 이상으로 부각하는 소모적인 논의가 이어졌다. 하지만 우리가 도덕주의와 자율주의를 도덕적 가치가 예술적 가치와 관계 맺는 방식으로 이해한다면,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윤리적 비평 논쟁은 두 이론의 차이점보다는 각 이론의 보완점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0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