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amilia y nación: configuración de personajes y espacios en Vecindarios excéntricos, de Rosario Ferré : 가족과 국가 : Rosario Ferré의 Vecindarios excéntricos 속 인물과 공간 구성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진솔

Advisor
María Claudia Macías Rodríguez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2020. 2. María Claudia Macías Rodríguez.
Abstract
Esta tesis analiza la configuración de los personajes femeninos en Vecindarios excéntricos de Rosario Ferré, con el fin de revisar la formación del sujeto femenino a través de la historia de una familia.
Rosario Ferré vivió épocas cruciales en cuanto a la identidad nacional de Puerto Rico. Uno de los aspectos a destacar de Ferré es que fue la primera dama de Puerto Rico de 1970 a 1972, acompañando a su padre, el gobernador Luis A. Ferré, que apoyó la asimilación de Puerto Rico a Estado Unidos. La escritora misma se privilegió en términos de formación porque frecuentaba Estados Unidos desde su adolescencia para luego llegar a cursar literatura inglesa, francesa en dicho país y, por último, literatura hispánica en la Universidad de Puerto Rico. El contacto con la cultura norteamericana y la experiencia tan variada fue posible por la base económica y la posición de elite que tuvo su familia. Aunque en los primeros años creativos de Ferré, apoyó la independencia de Puerto Rico, que chocaba con la ideología de su familia, su conversión hacia la estadidad no salió de la nada si consideramos la base en la que creció la autora.
Vecindarios Excéntricos, la novela objeto de estudio de nuestra tesis, se publica primero en inglés, en 1998, y un año después en español. Trata de la configuración sociopolítica y económica de Puerto Rico, a través de la historia de la familia paterna y materna de la protagonista, la cual funciona en no pocas ocasiones como alter ego de la autora misma.
La orientación de la tesis comienza con la propuesta de que la novela entera constituye una saga de la familia de la protagonista. La historia familiar es narrada por la misma protagonista. Enfocamos el proceso de la conformación de esta narradora-personaje como sujeto femenino a través de su relación con otros personajes, en mayor parte femeninos, para concluir que en la formación del sujeto femenino en la novela la existencia de la madre juega un rol crucial.
Otro asepcto que destacamos es que la familia configurada en la novela va más alla de la formación del sujeto femenino dentro del relato. Proponemos que la familia de la novela nos permite ver un aspecto de la nación puertorriqueña en épocas decisivas en cuanto a la fundación nacional. Prestamos atención al hecho de que la familia en la novela siempre se encuentra en una posición influyente, tanto económica como sociopolíticamente. Y además, que esta famila remite a referencias históricas que recuerdan a la familia de la autora.
Por lo tanto, podemos afirmar que la novela tiene como motivo central la representación de Puerto Rico a través de la configuración de la familia. La familia está revisada por la protagonista, que está influida mayormente por los personajes femeninos, especialmente por la madre. Desde ahí, se analiza la configuración de la familia y, luego, de la nación puertorriqueña igualmente desde el punto de vista de los personajes femeninos.
En primer término, revisamos las etapas en la escritura de Rosario Ferré, así como los estudios previos sobre sus obras para comprobar sus temáticas centrales y la pertinencia de nuestra investigación que llena un espacio pendiente en la crítica. Después, destacamos algunos puntos principales de la evolución histórica de Puerto Rico, especialmente en relación con Estados Unidos. Las propuestas teóricas que consideramos para el análisis de Vecindarios excéntricos, son las siguientes: en primer lugar, Marianne Hirsch que rescata la figura de la madre en la tradición de la literatura occidental y de la crítica feminista. Enseguida, reflexionamos cómo el concepto de la familia sirve de metáfora literaria y discursiva para el nacionalismo, siguiendo las teorías de Doris Sommer, Juan Gelpí y Marisel C. Moreno. Sommer estudia la literatura del siglo XIX, en particular las novelas familiares; por su parte, Gelpí enfoca su crítica hacia la literatura canónica de Puerto Rico, especialmente en los años 30. Moreno sigue la crítica de Gelpí y analiza la literatura de las autoras puertorriqueñas de los 70, que intentan resistir ante la convención canónica.
Con los hechos históricos y las bases teóricas mencionados, analizamos la novela en cuanto a la relación madre-hija y a la configuración de espacios y estructura. Comprobamos que hay dos perspectivas que predominan en la narración, la de la madre y la de la hija. Revisamos cómo la relación madre-hija de los personajes influye en la formación del sujeto femenino de la novela. Después, consideramos la configuración de los espacios textuales como determinantes del cambio histórico de la isla, así como la representación del nacionalismo jíbaro, típico de Puerto Rico.
Al revisar la configuración de los personajes femeninos bajo el contexto familiar no se pretende delimitar la representación de los sujetos femeninos. Tampoco la tesis se orienta para afirmar que la familia sea el mayor impedimento para la emancipación femenina. Por el contrario, la protagonista siempre muestra que está bajo las influencias emocionales y sociales de la familia. Esto no quiere decir que la protagonista se sienta restringida por la familia sino por el rol de la familia, especialmente por el papel de la madre que menosprecia la protagonista tiene más poder en su imaginación.
Por otro lado, demostramos que la familia de esta novela de Ferré sirve de metáfora de la nación puertorriqueña, que históricamente ha sido la estrategia utilizada consistentemente para sostener el nacionalismo puertorriqueño. El nacionalismo representado en la familia propone un sujeto nacional estereotipado, que encarna y dirige la ideología en la literatura y la política en Puerto Rico. Sin embargo, los sujetos nacionales son parciales y excluyentes por el hecho de que el nacionalismo puertorriqueño ha sido androcéntrico, racista y homofóbico. Este aspecto mismo se representa en la novela, donde el sujeto nacional va evolucionando de una elite jíbara puertorriqueña a una burguesa estadista. Sin embargo, la exclusión de los personajes femeninos en la participación social sigue igual. Al respecto, la comunicación entre la madre y la hija se hace posible a pesar de la relación problemática entre ambas.
En suma, la protagonista está en dilema tanto en su situación personal como en cuanto a su identidad nacional. Su postura acerca de la identidad nacional es pasiva, en el sentido de que no exhibe cómo piensa que debe ser el rol de un sujeto femenino que vive en la oscilación entre dos opciones políticas: el Estado Libre Asociado y la estadidad. Así como la protagonista, el pueblo puertorriqueño se debe preguntar todavía por el dilema entre dichas opciones. La oscilación ante la ambigua identidad nacional no existe solo dentro de la novela sino que se comparte con la gente de todo Puerto Rico. La novela representa esta nacionalidad ambigua a través de los recuerdos y de las perspectivas disidentes de una «gran familia puertorriqueña». Aunque la protagonista falle en proponer un nuevo modelo de familia más abierta a los marginados. Esta novela cobra valor por insertar varias voces dentro de la familia, especialmente las femeninas, lo cual permite revisar el concepto de la familia de manera crítica en este tipo de novelas familiares femeninas.
이 논문은 로사리오 페레의 의 여성 인물들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분석하여 소설 속 한 가족의 역사를 통해 여성 주체의 형성을 관찰하려 한다.
로사리오 페레는 푸에르토 리코 국가 정체성 형성에서 결정적인 시기를 살았던 인물이다. 페레의 아버지가 푸에르토 리코의 미국으로의 병합을 지지했던 총독 Luis A. Ferré 였으며, 자신의 아버지를 보필하여 1970년부터 1972년까지 푸에르토 리코의 퍼스트 레이디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이러한 가족 배경이 작용했기에, 페레는 청소년기부터 미국을 오가며 특히 교육이나 문화적 측면에서 다양한 특혜를 누릴 수 있었다. 페레는 미국에서 영문학과 불문학을 전공했고, 푸에르토 리코 대학에서 서문학을 전공했다.
페레가 북미 문화와 접촉하고 다양한 경험을 살 수 있었던 것은 페레 일가의 경제적 배경과 엘리트에 해당하는 사회적 지위 덕분이었다. 페레는 작가 생활 초창기에 푸에르토 리코의 독립을 지지했고, 이 이념은 그의 가족이 전통적으로 고수했던 이념과 충돌했다. 그러나 페레는 이후 푸에르토 리코의 미국 주 편입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상적 전향이 무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성장기 동안의 미국과의 접촉, 일가의 전반적 이념 등이 그 전향의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본 논문의 주 분석 작품인 은 1998년 먼저 영어로 출판되었고, 일년 후, 스페인어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주인공의 모계, 부계 가족의 역사를 통해 푸에르토 리코의 사회, 정치, 경제적 구성을 그리고 있다. 작중의 주인공은 작가의 alter ego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부분에서 작가의 실제 삶이 투영된 점이 확인된다.
본 논문의 방향은 주인공 일가의 3대에 걸친 역사로 소설 전체가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이 소설에서는 주인공이 자신의 조상들의 역사를 직접 서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인물-서술자가 다른 소설 속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여성주체로서 형성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그 중에서도 인물-서술자가 다른 여성 인물들과 맺는 관계에 주목하는데, 이를 통해 소설 속에서 여성 주체의 형성에서 엄마의 존재가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는 결론을 내린다.
한편, 또 다른 주목 지점은 소설에서 구현하고 있는 가족은 단순히 소설 속 여성 주체의 형성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소설에서의 가족이 푸에르토 리코의 국가 형성 중 결정적인 시기에 놓인 푸에르토 리코 민족 국가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곧 이 소설이 가족을 통해 푸에르토 리코를 구현하려는 목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소설의 주인공은 여성 인물들, 특히 엄마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고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자신의 가족을 관찰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여성 인물이 바라본 가족상을 기반으로 여성 인물들을 통해 바라본 푸에르토 리코 국가상을 분석한다.
먼저, 우리는 로사리오 페레의 작품 경향을 관찰한다. 더불어, 작가의 중심 주제와 관련 비평을 분석하여 이 작가의 창작의 흐름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 파악한다. 다음으로 푸에르토 리코의 역사 속에서 짚어야 하는 주요 쟁점들을 논의한다. 특히 푸에르토 리코의 역사 속에서 미국과의 관계는 가장 중요한 상수 중 하나다.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이 참고하는 이론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구 문학과 페미니즘 비평에서 논의되는 엄마상을 다시 살펴보는 마리안느 허쉬의 이론이다. 또한 가족이 어떻게 내셔널리즘을 위한 문학적, 담론적 메타포로 기능하는지 각각 분석한 도리소 소머, 후안 헬피, 마리셀 C. 모레노의 이론도 살펴본다. 소머는 19세기 건국소설을 연구했다. 이와 관련하여 헬피는 1930년대에 가장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푸에르토 리코의 정전에 대한 비판을 시도한다. 모레노는 헬피의 비평과 맥을 같이하며 정전에 반기를 들었던 1970년대 여성 작가들의 문학을 분석한다. 역사적 배경과 앞서 언급한 이론적 기반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을 엄마-딸의 관계와 소설 속 공간과 구성을 통해서 분석한다.
본 논문은 소설에서 서술면에서 가장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 엄마와 딸임을 확인했다. 본 논문은 이 두 주인공의 관계가 소설 속 여성 주체의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소설 속 공간의 구성을 관찰하며 이 공간의 형성 및 구현이 소설 속 푸에르토 리코의 역사적 변화와 맞물려 있음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푸에르토 리코가 히바로 내셔널리즘이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환기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텍스트 내적 분석을 통해 소설 속 가족사가 푸에르토 리코 역사의 일면을 보여주는 메타포로 기능할 수 있음을 제기한다.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이 가족이라는 조건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여성 주체의 형성이 반드시 가족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로 환원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그렇다면 여성 주체의 형성과 특히 여성 해방에 있어서 가족이 중대한 방해물이라는 방향으로도 나아가지 않는다. 이는 소설 속의 주인공이 여전히 가족에 대한 감정적 사회적 영향력 속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소설 속 주인공은 특히 엄마와 맺고 있는 특정한 유대관계를 통해서 특정한 가족 및 국가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설 분석을 통해서 여성 주체의 시각에 가족이라는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고 혹은 부정 되는가를 꾸준히 따라간다. 그러나 가족 자체에 대한 특정한 가치 판단까지 가는 것은 지양하는데 이는 소설 내용의 분석이라는 주요 목적에 보다 충실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한편, 소설 속에 구현된 가족의 구성원인 주인공들이 어떤 주체로 구현되는지를 분석하면서 푸에르토 민족 국가의 국가 주체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유추한다. 소설 속에서 주로 그려지는 국가 주체들은 미완적이고 배타적인 면모를 보인다. 이는 푸에르토 리코의 민족주의가 남성중심주의적, 인종차별적, 반동성애적이었다는 역사적 사실과 그를 구현한 역사적 사실과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푸에르토 리코의 민족주의 및 국가 주체가 가족사를 통해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족사가 여성 주체의 눈으로 관찰 및 해석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국가 주체이면서 여성 주체의 구현은 남성 보다는 권력 구조에서 하위에 위치하면서 경제적으로는 대농장주의 식솔이거나 부르주아 사회의 전형적 여성으로 드러난다. 또 어떤 모습의 여성상이든, 소설 내에서는 주로 미국에 대해 우호적인 계층에 소속되어 있다.
작품 속 여성들은 남성 중심 주의적 사회에서 배제 되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특히 이 점이, 엄마와 딸 사이에서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제의 경험이 푸에르토 리코가 전통적으로 쌓아온 친미적 국가주의에 대한 비판의 계기가 되지 않는다. 작품 속 주인공은 대부분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에서 기인한 자신의 사회, 경제적 특권을 부정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푸에르토 리코 국가 주체 형성에서 여성이라는 경험이 어떠한 영향력을 줄 수 있는지는 보여주지 못한 채 소설이 마무리 된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적어도 가족이라는 것이 여성 주체의 경험을 어떻게 재단하고 여성 주체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세밀하게 관찰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여성 주체가 국가 주체로 거듭나는 것에 실패하는 과정은 사실 푸에르토 리코의 역사적 상황과 상당 부분 일치하기도 한다. 이 작품은 대안적이며 구체적인 국가 주체 상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형성기에 놓인 한 국가의 상황을 가족의 상황으로 치환하고 그를 여러 다른 여성의 시각으로 관찰하고 있다는 데에서 의미를 갖는다.
Language
Spanish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4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