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Distortion of Female Narratives in Li Wa zhuan, Liu Yi zhuan, and Qingwa shen : 《이와전》, 《유의전》, 《청와신》 속 여성 서사의 일그러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하람

Advisor
Olivia Milburn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2020. 2. Olivia Milburn.
Abstract
In this thesis, the genuineness of happy endings in literature is questioned in the perspective of female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a happy ending, the female characters face a distortion in their narrative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istortions of female narratives in three selected works of Chinese literature: Li Wa zhuan 李娃傳 (The Tale of Li Wa), Liu Yi zhuan 柳毅傳 (The Tale of Liu Yi) and Qingwa shen 青蛙神 (The Frog God). These literary works have been selected due to their thematic characteristics despite their different authorship and textual history. The phrase female narrative refers to the personal story of the female characters. A distortion in the narrative of a character refers to illogical and sudden changes in ones personality which can be accepted as literary flaws. The phenomenon can be seen, and is focused in the narratives of the female protagonists of the three selected works. The female characters are faced with abrupt changes in their narratives for the benefit of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thesis seeks for the purpose of such distortions in the female characters and also questions the equality of the happy ending for the two sexes.
Before focusing on the purpose and the effect of the distortions, two popular plotlines each from Western literature culture an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culture are introduced: the marriage plot and the datuanyuan jieju 大團圓結局 (The great reunion ending). The marriage plot focuses on the story of a female character in pursuit of a husband and she successfully achieves a happy ending once she marries the male protagonist, but the tale concludes with the wedding. The marriage plot has been criticiz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s it encouraged the domestication of women and the sole pursuit of romantic love and marriage for women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subsequent context. The datuanyuan jieju of Chinese culture provides readers with the feeling that all conflicts are resolved at the end of the story, however, it has also been criticized for causing literary flaws by rushing to a happy e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plotlines are found in the three selected works as a designated ending is planned for the female characters. Chinese marriage traditions also influence the narratives of the female characters as the Confucian ideal for women is to become a support for men.
To fulfill the requirements of the marriage plot, the datuanyuan jieju, and also those of an ideal wife of traditional China, the female characters face distortions in their narratives regardless of their previous personalities as the story comes to a close.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desired ending, female characters face distortions while male characters undergo the process of hypergamy. Through hypergamy, male characters achieve a higher social status and the storys ending focuses on the success of the male character. The narratives of the three female characters are silenced as they are forced the role of a supportive wife. This thesis explains the phenomenon of the distortions of female narrative and provides an explanation of cause and effect. Only three works of literature that display the phenomenon are referenced and the research concludes with a hope for further research.
본고는 행복한 결말의 진정성을 여성 인물의 관점에서 새로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선정한 작품들인 《이와전(李娃傳)》, 《유의전(柳毅傳)》, 그리고 《청와신(青蛙神)》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행복한 결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인물의 일그러짐을 경험한다. 세 작품은 각자 다른 작가에 의해 쓰인 다른 시기의 작품들이지만, 이들을 관통하는 주제의 통일성의 중요함을 고려해 선정되었다. 본고에서의 여성 서사는 여성 인물들 개인의 이야기를 지칭한다. 한 인물의 서사에 등장하는 일그러짐은 비논리적이고 갑작스러운 성격의 변화를 뜻하며, 이는 작품 내의 설정 오류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일그러짐 현상은 세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의 서사에 집중되어 나타난다. 여성 인물들의 서사는 그들과 짝지어지는 남성 인물들의 이익을 위해 갑작스러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여성 서사에 등장하는 일그러짐의 이유를 살펴볼 것이며, 행복한 결말이 남성과 여성, 두 성별에 동등하게 다가오는지 분석할 것이다.
일그러짐 현상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 들어가기에 앞서, 서양 문학과 중국 전통 문학에서 지배적으로 등장하는 두 개의 이야기 형식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서양의 결혼 플롯 (marriage plot)과 중국의 대단원 결말 (大團圓結局)이다. 결혼 플롯은 여성 인물의 남편 구하기에 초점을 맞추기에, 남성 인물과의 결혼을 행복한 결말로 보며 결혼에 도달한 이후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결혼 플롯은 여성을 가정 안으로만 국한되게 하며 결혼 이후의 삶은 고려하지 않는 낭만적인 사랑의 추구만을 목표로 하게끔 하는 효과를 불러일으켰기에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비판을 받았다. 대단원 결말은 이야기의 끝에 이르러 모든 분쟁이 해결되었다는 원만한 감정을 독자들에게 선사하지만, 행복한 결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작품 내부적인 설정상의 오류가 등장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작품에서 등장하는 세 여성 인물들은 정해진 결말로 향하는 과정에서 두 이야기 형식을 모두 거치게 되며, 여성을 남성의 조력자로 여기는 유교 사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아, 결말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통일된 인물의 모습을 갖게 된다.
세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결혼 플롯, 대단원 결말, 그리고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은 중국의 전통적인 여성상을 모두 충족하기 위해 이야기의 결말에서 일그러짐 현상을 겪으며, 이는 진행되어오던 개인 서사의 성격을 무시하며 일어난다. 정해진 결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여성 인물들은 일그러짐 현상을 겪지만, 남성 인물들은 승혼을 하게 된다. 남성 인물들은 이를 통해 높은 사회적 지위와 부를 얻게 되며, 이야기의 결말 또한 남성 인물들의 성공에 초점을 맞추는 모습을 보인다. 여성 인물들은 남성 인물들을 보조하는 아내의 역할에 국한되며 그들의 서사는 침묵 당한다.
본 연구는 세 작품 속의 여성 서사들에 등장하는 일그러짐 현상과 그 원인과 효과를 연구한다. 이후 더 다양하고 많은 작품의 여성 서사와 결말들이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되길 희망한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9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