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20, 30년대 중국과 조선의 전통론 비교 : Representing Tradition in 1920s China and 1930s Chosun
학형(學衡)파와 문장(文章)파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준필-
dc.contributor.author한주헌-
dc.date.accessioned2020-05-07T05:46:48Z-
dc.date.available2020-05-07T05:46:4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59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66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2020. 2. 류준필.-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20년대 중국에서 활동한 학형(學衡)파와 1930년대 조선에서 활동한 문장(文章)파의 전통론에 대한 비교연구이다. 본고는 1920년대 중국과 1930년대 조선에서 전통을 논한 두 동인 집단의 사유에 근대적 정체성에 대한 의식이 발견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본고는 전통을 재현하고자 한 학형파와 문장파의 논의를 이들이 견지한 근대적인 관점인 인문주의, 표현주의와 연결지어 풀이해보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먼저, 학형파는 인문주의라는 문화적 관점에서 유교를 재해석하였고, 이를 중화민국이 견지해야 할 새로운 문화의 일부로 제출했다. 본고의 2장은 학형파의 입장을 자신들이 계승하고자 한 인문주의자 어빙 배빗과 매슈 아놀드의 텍스트를 참조하여 고찰해 보았다. 또한, 본고는 학형파의 보수주의적 입장을 이들과 대립한 개혁주의적인 신문화운동파 진독수와 호적의 주장과 나란히 살핌으로써 학형파 역시 새로운 국가 문화 건설이라는 문제의식을 공유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2장의 후반부에서는 이들의 유교 재해석 논의가 비정치적이고 사적인 차원으로 진행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의와 문제점을 거론하였다.
한편, 문장파는 표현주의라는 예술적 관점을 조선 화단의 지향으로 제시하였다. 이태준은 대상을 재해석하는 작가의 주관을 강조하는 미술론을 펼쳤는가하면 김용준은 회화에서 내용과는 독립된 양식적 요소를 강조하는 화론을 개진하였다. 3장에서는 이들이 제시한 주관적이고 비구상적인 요소가 동양적이고 조선적인 것으로 수립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3장의 후반부에서는 이들이 표현주의적 관점에서 전통 예술과 공예품을 감상한 텍스트를 읽어나가며 그 의의와 문제점을 지적해 보았다.
4장에서는 학형파와 문장파의 전통론이 근대 서구라는 타자와 교섭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학형파는 인문주의와 손잡으며 전통의 기준으로 근대 서구를 비판했고, 문장파는 근대 서구에 대한 탈피와 극복의 논리인 동양주의를 미적으로 계승하였다. 여기서 한발 나아가, 본고는 문장파의 정치적이고 미적인 입장을 관통하는 탈피의 논리를 탈구조주의 논의로 연장하여 이들의 예술론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결과, 본고는 학형파와 문장파의 논의에서 전통의 보편화라는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학형파는 인문주의를 기반으로 서구에 중국 유교 가치를 공유하는 인문 국제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문장파는 전통 예술을 표현주의의 언어로 해석함으로써 전통이라는 맥락에서 벗어난 고전 향유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two groups of writers associated with periodicals Xueheng (Critical Review), published in 1922 in China and Munjang, published in 1939 in Chosun (now Korea). While the two groups produced articles that defended the value of tradition, they did so with a distinctly modern view of rewriting national culture. This papers primary aim is to show the way these two groups represented their tra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emporary views they held regarding modernity—that is, humanism and expressionism respectively. To that end, this study has selected as its subject groups of writers associated with the periodicals so as to consider their previous discussions on culture and art that culminate in the periodicals that they participated in. Chapter One introduces these concepts and how they pertain to the two groups.
The Xueheng group — Mei Guangdi, Wu Mi, Liu Boming and Hu Xiansu — represented confucianism as part of a new humanistic culture for the republican China. Chapter Two reviews their position with rich reference to the writings of their mentors Irving Babbitt and Matthew Arnold, as well as those of their rival critics Chen Duxiu and Hu Shi. The paper examines the Xueheng groups conservative argument on par with the iconoclastic May Fourth Movement in that they both shared the central concerns of building a new national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the Chapter, their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values in a disinterested and individualistic manner will be further examined.
Meanwhile, the Munjang group — Tae-jun Lee and Yong-jun Kim — put forth an aesthetic vision known as expressionism; Tae-jun Lee highlighted the subjective element that comes from the painters ability to reinterpret the object, while Yong-jun Kim delved into formal elements that are independent from the paintings contents. Chapter Three will review how the subjective and nonfigurative elements in painting are put forth as Asian (as opposed to Western) and Korean in their arguments. It is from this perspective that they re-examined traditional artwork and craft from the Chosun dynasty in Munjang. The latter part of the chapter will entertain discussions as to the merits and limits of their aesthetic approach.
Lastly, in Chapter Four, further attention will be paid as to how the two groups engaged with the modern West in representing their tradition. While the Xueheng group engaged in a critical dialogue with the modern West by aligning themselves with humanism, the Munjang group adopted Japanese Asianisms political impulse to overcome the West into the aesthetic realm. This chapter draws further connection between the political, aesthetic and semiotic realms and includes a discussion of post-structuralism in their interpretation.
In concluding remark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wo groups represent an effort to redefine tradition beyond the national border. Xueheng groups proposal humanistic international envisions a transfer and communication of humanistic values between China and the West. Munjang groups attempt to translate art in expressionist terms contemplates whether traditional art can be appreciated outside of its contex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대상 1
제 2 절 연구사 검토 및 주안점 4

제 2 장 학형파의 전통론 12
제 1 절 중국 문화의 지향: 인문주의 문화관 12
1. 새로운 것과 항구적인 것 간의 구분 12
2. 物律(자연과학)과 人律(인문과학) 간의 구분 18
제 2 절 전통 문화의 재해석 24
1. 비정치적이고 사적인 유교 윤리 24
2. 비정치성과 아놀드의 비평론 28
3. 사적인 윤리와 배빗의 인문주의 30

제 3 장 문장파의 전통론 37
제 1 절 조선 문화의 지향: 표현주의 예술관 37
1. 동양적 주관의 표현 (동양주의 미술론) 37
2. 조선적 정조의 탐구 (모더니즘 회화론) 42
제 2 절 전통 예술의 재해석 48
1. 조선시대 문인화 49
2. 골동품 완상론 53

제 4 장 학형파와 문장파의 전통론 비교 57
제 1 절 비서구적 정체성 제출 양상 57
1. 학형파: 근대 서구에의 비판 57
2. 문장파: 근대 서구에의 탈피 61

제 5 장 결론: 요약 및 남는 문제 66

부록: 학형파 기사 일람표 69
참고문헌 70
Abstract 7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9-
dc.title1920, 30년대 중국과 조선의 전통론 비교-
dc.title.alternativeRepresenting Tradition in 1920s China and 1930s Chosu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title.subtitle학형(學衡)파와 문장(文章)파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966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5966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