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북한권력엘리트 네트워크 분석
-2012-2018년 현지지도 동행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종윤

Advisor
임도빈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2020. 2. 임도빈.
Abstract
There were many concerns about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right after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s third hereditary power succession, but eight years later, the Kim Jong Un regime remains unchanged. Although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Kim Jong-Un regime, it is also true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Kim Jong-Un regime cannot be asserted a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internal political situation due to its closed and isolated political system. However, assessing the stability of the Kim Jong-Un regime, both in term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in terms of giving up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is essential as a basis for the unifi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theory of autocracy, politics is impossible to govern by one ruler in any political system. That's why in order to assess the autocratic political system,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network of the power elite of Kim Jong-un's regime, rather than simply targeting the leadership of Kim Jong-un.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the network through analysis of social networks with data from field guidance of the Kim Jong-Un regime. And we want to apply the analysis results to the theory of autocratic politics to look at Kim Jong-un's rule over North Korea's power elite. And through the analysi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stability of the Kim Jong Un dictatorship that currently governs North Korea. Analysts have found evidence that the Kim Jong-un regime's winning coalition is reduced and be reorganized.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basis for showing the stability of Kim Jong-un's dictatorship, according to his autocratic political theory.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북한정권 3대 세습 직후, 북한 정권의 붕괴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8년이 지난 현재 김정은 정권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는 김정은 정권의 통치술이 유효하게 작동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폐쇄적이고 고립적인 정치체제인 북한정체의 특성상 내부의 정치상황을 파악하기 힘들어 정권의 안정을 단언할 수는 없는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남북경제협력의 측면에서나 북핵포기의 측면에서나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은 통일정책의 근거로서 반드시 필요하다. 독재정치 이론에 따르면 정치는 어떠한 정치체제에서도 통치자 1인에 의한 통치는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독재정치 체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김정은 위원장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측근의 권력 엘리트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김정은 정권의 권력엘리트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현지지도 수행자를 자료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의 특성과 변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독재정치 이론에 적용하여 김정은 위원장의 북한 권력엘리트에 대한 통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통해서 현재 북한을 통치하는 김정은 독재정권의 안정성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김정은 정권의 승자연합은 축소되고 개편되고 있으며, 독자적으로 집단화되지 않았다는 근거를 찾아낼 수 있었다. 또 그리고 이를 독재정치 이론에 적용하면 김정은 위원장이 권력 엘리트에게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근거로 해석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