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권자의 정치 성향과 후보자 선택의 관계에 있어서 종교의 조절 효과 연구 :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s political orientation and conservative candidate sele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원용

Advisor
이승종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2020. 2. 이승종.
Abstract
One can witness religions precepts conflicting with social·political issues nowadays compared to past. One can notice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colliding with social issues such as the Seoul queer culture festival, illegal abortions, discrimination prohibition laws, the new-right movements, opposition on Lady Gaga concert. When these conflicts arose, religious elite groups and believers often showed politically conservative stance. This study started from a simple curiosity asking Are people with religion really more likely to vote for conservative candidates on elections? The mission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 the religion variable has on constituents candidate selection.
This study went forward from identifying simple independent effect of religion, tried to confirm constituents political orientations effect on conservative candidate selection, and verified religion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s political orientation and conservative candidate selection.
This study used the constituents awareness survey on 2017, 19th Presidential Election of Republic of Korea which was organized by the Korean Social Science Data Center. The survey was requested by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 statistical package STATA 14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constituents political orientatio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ervative candidate selection, but religion variable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by themselves. However, the interactive variable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Buddhis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conservative candidate selection. In other words, conservative constituent who is a Buddhist has higher possibility on voting for conservative candidate compared to conservative constituent who has no religion.
This studys contribution to public administration·public policy studies can be classified into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verified which constituents political orient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on candidate selection, and political orientation is more significant than constituents religions. Second, it confirmed which one has to approach different religions separately and religion can not be studied as bundled together. Thir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which it set religion variable as a moderating variable compared to precedent researches which usually set relig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or a control variable. Fourth, it confirmed Buddhists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Based on this study, religions effect was light on the 19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compared to other elections.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constituents political orientation and Buddhist showed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selecting conservative candidate. Therefore, one can confirm Buddhists are the most conservative group, and one can infer which Buddhists are more conservative than Christians whom were found to be conservative on recent precedent studies. Fifth, it examined religion variable which was treated as an insignificant variable on voting behavior studies compared to variables such as constituents hometown or age group.
This study has two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gives practical insight to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al research institutes. If they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s and candidate selection, they can establish effective election strategies which can broaden candidates support groups and better identify election results reasons.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e policy directivity which policy makers should possess. As religions effect on candidate selection gets studied definitely, policy makers and candidates should maintain religious neutrality more carefully than before. Furthermore, policy makers have to renounce policies which can be viewed as privilege toward certain religious groups and make effort for policies which can bring every religious groups and people with no religion together.
최근 종교의 교리와 사회·정치적 이슈가 직접 충돌하는 사례가 과거에 비해 잦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 퀴어 문화 축제, 낙태죄 폐지, 차별금지법 입법 반대 운동, 뉴라이트 운동, 레이디 가가 내한 공연 반대 등 종교, 특히 개신교와 사회적 이슈가 부딪히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갈등이 있는 경우 종교 엘리트들과 신도들은 주로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종교를 가진 유권자가 실제로 보수 후보에게 투표하는 경우가 더 많은가? 라는 단순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여 종교 변수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후보자 선택에 대한 종교의 독립적인 영향력 분석에서 나아가 유권자의 정치 성향이 보수 후보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유권자의 정치 성향과 보수 후보 선택의 관계에 종교 변수가 가지는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17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한국정치학회의 의뢰를 받아 실시한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의 제19대 대통령 선거 관련 유권자 인식 조사의 통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통계 패키지 STATA 14를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상관 분석, 교차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고 변수 간 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정치 성향이 보수 후보 선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나, 종교 변수들은 독립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정치 성향과 불교 신도 여부의 상호 작용항이 정치 성향이 보수 후보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한 정의 조절 효과를 보였다. 즉, 보수적인 유권자가 불교 신도일 때 보수 후보에게 투표할 확률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확인되었다. 개신교·천주교와 정치 성향의 상호 작용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행정학·정책학적 함의는 크게 이론적 함의와 실용적 함의로 나뉜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보자 선택에 있어 유권자 정치 성향의 중요성 확인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권자의 정치 성향이 결국 후보자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정치 성향이 종교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불교 신도 여부만이 조절 효과를 보인 것을 토대로 종교 관련 연구를 시행할 경우 종교 집단별로 접근해야 하며 다른 종교 집단들을 묶어서 분석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종교를 독립 변수 또는 통제 변수로 접근했던 기존 선행 연구에서 나아가 종교의 조절 효과를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넷째, 불교 신도들의 보수 성향을 다시 확인하였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이전 선거와 비교하여 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종교의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교 여부가 정치 성향과 후보자 선택에 정(+)의 조절 효과를 보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불교 신도들이 전통적으로 가장 보수적인 집단이었던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근 선행 연구들에서는 보수적으로 나타났던 개신교 신도에 비해서도 더욱 보수적일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다섯째, 기존의 출신 지역과 세대 중심의 투표 행태 분석에서 나아가 비교적 미진했던 선거에 있어 종교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실용적 시사점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정당 및 정치 관련 연구소 등이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시사점이다. 정당이나 관련 연구소에서 종교와 후보자 선택 간의 관계를 더욱 깊게 이해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선거 전략 수립을 통한 후보자 지지 세력 확장 및 선거의 승패 원인 규명을 명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책 결정자로서 갖춰야 할 정책 지향성의 재확인이다. 후보자 선택에 대한 종교의 영향력이 명확히 규명될수록 정책 결정자 및 선출직 후보자로서는 종교적 중립성을 더욱 견지하는 자세가 더욱 요구될 것이다. 정책 결정자는 특정 종교에 혜택으로 비춰질 수 있는 정책을 지양하고 모든 종교인 및 무종교 인구를 아우를 수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9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