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의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도시·농촌 비교연구 : A Urban-Rural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장범

Advisor
김순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2020. 2. 김순은.
Abstract
With the global trend of aging, research on the elderly is adding importance. And research on life satisfac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has emerged as one of the main topics in the elderly study.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for the overall social sciences, including public administration, politics and sociology, since it began to gain attention in earnest in the late 20th century. Social capital is a concept that distinguishes it from physical resources. Although there are some distinct definitions among scholars, it is widely defined as the capital formed by relationship. Most studies suppor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But most studies have 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s monotonous mode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ore diverse model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djustment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refers to the help from the society includ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it can be defined as physical resource, it is contrast to the social capital. According to social exchange theory,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creases when exchange relationships are established and maintained on the basis of mutual reciprocity. The elderly who lack resources available for reasons such as retirement and health issue are increasingly unable to maintain exchange relationships, which lead to a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Therefore, supplementing resources for the elderly through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ir lives.
Despite active research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tudy comparing urban and rural areas was relatively minor.But comparative study of urban and rural areas is essential given Korean historical context. Korea has made rapid progress through strong centralization. However, it made such differences in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area. It has become importan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that are subject to the policy in order to form and enforce more substantial policies.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by dividi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were divided into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in urban areas, all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rural areas,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but trust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Meanwhile, the adjustment effect of social support has not been revealed in rural areas. However, the cit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It was assumed that physical resources would facilitate the exchange relationship and have a complementary effect, but physical resources acted as a substitute for social capita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found the meaning of urban - rural comparative study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Second, by reveal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is not an open-ended model,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assume various models.
세계적인 고령화의 흐름에 따라 노인에 관한 연구가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삶의 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노인연구의 핵심 주제 중 하나로 떠올랐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흐름의 맞게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사회자본은 20세기 후반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이래로 행정학, 정치학, 사회학 등 전반적인 사회과학의 중요한 연구주제로 자리 잡았다. 사회자본은 인적, 문화적, 경제적 자본 등의 물리적 자원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학자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있으나 넓게는 관계로 인해 형성되는 자본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의 정(+)의 상관관계를 지지한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는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단선적인 모형으로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를 보다 다양한 모형의 대입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이 가지는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지원은 정부나 지자체 등 사회 전반에 의해 제공되는 재정, 건강, 일상생활 수행에 필요한 도움이나 정보를 뜻한다. 사회자본과 대비되는 특성을 가진 물리적 자원에 가깝다. 사회적 교환이론에 따르면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상호 호혜성에 근거하여 유지되는 교환관계가 성립하고 유지될 때 높아진다. 은퇴, 건강 등의 이유로 활용 가능한 자원이 부족한 노인들은 교환관계를 점점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는 삶의 만족도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 지원 등을 통한 노인의 자원보충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 증진의 중요한 요소이다.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와 농촌을 비교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지역 구분 없이 진행된 까닭이다. 그러나 도시와 농촌의 비교연구는 우리나라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했을 때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과거 강력한 중앙집권을 통해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그만큼 도시와 농촌의 정치적·사회적·문화적 환경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보다 적실성 있는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기 위하여 정책의 대상이 되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먼저 도시와 농촌의 노인을 나누어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사회자본의 구성요소를 신뢰, 네트워크, 사회참여로 나누었으며 도시의 경우 모든 변수가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농촌의 경우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는 정(+)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으나, 신뢰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지 않았다. 도시와 농촌에서 사회자본이 각각 다른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한편 농촌에서는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유의미한 음(-)의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물리적 자원이 사회자본과의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교환관계를 원활하게 할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물리적 자원이 사회자본의 대체재로 작용한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도시-농촌 비교연구의 의미를 찾았다. 둘째,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가 단선적 모형이 아닌 것을 밝혀냄으로써, 다양한 모형을 가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4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