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중교통 보조금 순혜택의 지역·소득계층 간 형평성 분석 : Assessing the Net Distributive Effect of Transit Subsidies among Regions and Income Classes : A Case Study of Busan City, Kroea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혜민

Advisor
김성수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2020. 2. 김성수.
Abstract
The far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Korea is relatively low, and it is maintain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nsuring convenience of citizens trips, reducing road traffic congestion, and reducing air pollution. In other words, most passengers are paying less than the cost of their trips. As a result, there are the deficit of public transport operators and local governments have supported them. In addition to subsidies for deficit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lso give subsidies for various business including vehicle purchase, air cleaning and also for fuel.
The study noted that government subsidies to public transport operators are largely supported annually and have continued to increase.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subsidy benefits and financial burdens to assess the net distributional effect of public transport subsidy policies. This study also analyze how the net benefits changes when fares rise. This study analyzed bus and subway system in Busan city of Korea.
Analyzing distribution of subsidy benefits is based on the amount of money supported per trip. In order to analyze this, this study estimated the transport cost per person·km and considered fare level for each trip with Trip Census data. So benefits were calculated by the subsidy per each trip, and by region and income class analyzed how much subsidies were benefited. And then, financial burden was analyzed. Because there are several source of subsidies for public transportation, the degree of burden by income class was examined by tax type. Then the financial burdens were allocated by census data describing distribution of income class by region.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people living in low-income or suburban areas receive positive net benefits from transit subsidy policy. People in low-income group have low tax burden. And 74% of people aged 65 or over who do not pay subway fare are in this group. And people who live in suburban areas have relatively travel longer distance in public transportation trips than people in other areas. So these group get positive net benefits. On the other hand, who get negative net benefits from subsidy policy? According to this study, people living in urban and adjoining urban areas with incomes of over USD 2,550 get negative net benefits.
Under existing fare system, people who receive the highest net benefits are in the group whose income are less than USD 1,670 per month in the suburban areas, and they get USD 82 per person per year.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get the largest negative benefits are those who live in the center city area with monthly income more than USD 4,250. They lose USD 83 per person per year. Assuming the case of four-person households, they annually lose over USD 330 due to the public transport subsidy policy.
Next, this study assumed the fare increase in the same way transit operators have done. By the regions and income classes, the sign of net benefit (who get positive or negative net benefits) does not change. Increasing fare gives more positive net benefit to people in the suburban regions or high income group. The existing method of increasing fare is beneficial to people who live in suburban areas or belong to high income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to measure the net effect of public transport subsidy policy.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on how the rate increase in Busan. Simple method doesnt make simpl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it have various distributional effect on each group.
한국의 대중교통 요금은 저렴한 수준이며, 이는 시민의 이동권 보장, 도로교통 혼잡 완화, 대기오염 감축 등 다양한 목표를 위해 유지되고 있다. 다시 말해 대부분의 통행자가 운송원가에 미치지 않는 요금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인한 대중교통운영기관의 적자는 각 지방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다. 중앙 및 지방 정부는 적자 보전을 위한 보조금 외에도 차량구입 보조금, 유가보조금 등 다양한 사업 보조금을 대중교통 운영기관에 지원한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운영기관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이 매년 큰 규모로 지원되고있으며,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데 주목하였다. 운영비용을 충당하는데 보조금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현재, 대중교통 보조금 정책의 순 분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조금 혜택과 재원부담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요금이 인상될 경우 순혜택의 분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연구 대상지는 부산광역시이며, 시점은 2016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중교통 수단은 시내버스와 도시철도로 한정하였다.
보조금 혜택의 분배는 통행당 지원되는 보조금을 바탕으로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KTDB의 먼저 가구통행 실태조사 원시자료에서 통행별 수송원가 및 지불 요금을 추정하여 통행당 보조금을 계산하고, 이를 지역·소득계층별로 누가 얼마나 보조금 혜택을 받고있는지 분석하였다. 한편 보조금 재원부담의 경우 보조금의 원천이 되는 세금의 종류별로 소득계층별 부담 정도를 조사하고, 소득계층의 지역별 분포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소득층과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보조금 정책으로 인한 양의 순혜택을 보고있었다. 저소득층은 기존 요금체계에서 세 부담수준이 낮고 도시철도 무임승차 혜택을 받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으며,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통행거리가 상대적으로 길다. 반면 300만원 이상의 소득을 가진 도심 및 도심 인접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음의 순혜택을 보고 있었다.
최고 순혜택을 보는 사람들은 외곽지역의 월 가구소득 200만원 이하 가구의 통행자들로, 기존 요금체계에서 연간 인당 9만 6천원의 혜택을 본다. 반면 부의 순혜택이 가장 큰 집단은 도심의 월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 가구에 속한 사람들로, 1인당 연간 약 9만 7천원의 부의 순혜택을 보고 있다. 4인 가구를 기준으로 대중교통 보조금 정책으로 인해 가구당 연간 40만원 상당의 양의 순혜택을 보기도 하고 음의 순혜택을 보기도 하는 것이다.
기존 요금 인상 방법을 적용할 경우, 요금 인상 시 지역·소득계층별로 순혜택의 부호는 변하지 않으나, 외곽지역과 고소득층에 양의 순혜택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금과 같은 요금인상 방법은 외곽지역과 고소득층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보조금 정책의 순효과를 측정하고 형평성을 평가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부산시에서 해오던 요금 인상 방식이 대중교통 보조금 정책으로 인한 분배 현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의 정책 방향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