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장소성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of Placeness according to Commercial Gentrification
종로구 익선동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나연

Advisor
정현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2020. 2. 정현주.
Abstract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Korean cities are trying to express their regional identity based on their unique history of formation, unique culture and differentiation, and to use the place itself as a means of urban marketing. However, it has not been long since discussions on regional identity" and "enhancing regional discrimination" began in the course of Koreas urban planning. Since 2010, cities have focused on the role of the local community and made efforts to gain competitiveness through their uniqu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to break away from the standardized and homogenized appearance (2018, Yoo Hana). However, these efforts were only in the beginning of the plan and began to undermine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in a uniform and integrated way based on finance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The area in Ikseon-dong, Jongno-gu, Seoul, is a 100-year-old residential hanok village which was created in the 1920s and 30s. Ikseon-dong was designated as an urban environment readjustment zone in 2004, but after 10 years of business delays, it became an old and forgotten area. However,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promotion committee in 2013, Ikseon-dong began to turn into a new and unique place, with the creation of unique and young-sense shops and studios in 2014. From 2016, the placeness of Ikseon-dong has been transformed from a quiet old one to a hot place with more people. Although the placeness of Ikseon-dong has been changing due to commercialization,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 plan since 2018 to preserve the past things without investigating or recording the changes. This can be seen as based on the idea that the changing location of Ikseon-dong should be fixed and maintained in its original form.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that recording the changing appearance of the placeness of Ikseon-dong was a priority.
Therefore, this study chronologically recorded the history and appearance of Ikseon-dong by using the placeness components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y, assuming that placeness is always changing in line with the global era. Three components of placeness (physical elements, behavioral elements and meaningful elements) were set up as analysis frameworks and each was analyzed from 2013 to 2019. Physical elements were analyzed by changes in the use, type of business, and appearance of buildings at different times through field surveys, roadview photographs, and literature surveys. In particular, behavioral and semantic fac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siders(residents and merchants) and outsiders(visitors) considering that they would have different experiences with Ikseon-dong. 10 insiders were deeply interviewed by groups and 100 Naver blog posts of each quarter were analyzed by web crawling for outsiders.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element of Ikseon-dong and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how the place called Ikseon-dong was created and changing.
The analysis showed that since 2013, changes i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laceness of Ikseon-dong has changed as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The physical elements of Ikseon-dong have changed from hanok to unique cafes and restaurants. Behavioral factors changed from residence and community to changing the use and apprearance of buildings. From an outsiders perspective, behavior has changed from walking to dating, visiting cafes/restaurants and watching various shops. The semantic elements have changed from images of old, uncomfortable and dirty to clean, many people and bright. Insiders also feel that the change to a chain store or name of other places or Japanese-style building, rather than just an element in Ikseon-dong, reduces the attraction of Ikseon-dong. Outsiders were able to see that it had changed from quiet image to unique, pretty, and various images.
Although Ikseon-dong suffers from commercial gentrific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reveal and record that new placeness is being reproduced due to changes in the three elements and interactions.
서울시를 비롯한 국내 도시들은 경쟁력을 키우기 위하여 독특한 역사와 고유한 문화, 차별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발현시키고 장소 자체를 도시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도시계획의 흐름에서지역의 정체성과지역별 차별성 강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2010년 이후부터 각 도시들은 지역 커뮤니티의 역할을 중시하고, 지역만의 정체성 및 차별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여 획일화되고 동질화된 모습에서 탈피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2018, 유하나).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계획의 초반에만 있었을 뿐,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기보다 재정에 기반한 획일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으로 장소의 모습과 특징을 훼손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대상인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일대는 1920-30년대에 조성된 약 100년 된 주거용 한옥밀집지역이다. 익선동은 상업지역으로 2004년에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10년간의 사업 지연으로 건물은 노후화 및 슬럼화되었고 익선동은 낡고 잊혀진 동네가 되었다. 하지만 2013년 추진위원회 해산 이후 2014년부터 익선동에 독특하고 젊은 감각의 가게와 예술가들의 작업실이 생기면서, 익선동은 새롭고 독특한 장소로 변하기 시작했다. 이후 2016년부터 익선동의 장소성은 조용하고 낡았던 모습에서 사람이 많아지는 핫 플레이스로 새롭게 변했다. 한편 익선동의 장소성은 상업화에 따라 2016년 이래로 계속 변하고 있으나,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조사나 기록 없이 과거의 모습만을 보존하는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여 2018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이는 변화하고 있는 익선동의 장소성을 고정시키고 본래 모습을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에 근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익선동의 장소성이 변화하는 모습을 기록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발맞추어 장소성은 늘 변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Relph(1976)와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장소성 구성요소를 분석틀로 이용하여 익선동의 역사 및 모습과 시기별 장소성을 기록했다. 장소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물리적 요소,행태적 요소,의미적 요소를 분석틀로 세우고 각 요소의 변화를 2013년에서 2019년까지 분석하였다. 물리적 요소는 현장 조사 및 로드뷰 사진, 문헌 조사를 통하여 시기별로 건물의 용도·업종·외관의 변화 모습을 추적했다. 특히 행태적 요소와 의미적 요소는 내부인(주민 및 상인)과 외부인(방문객)이 익선동에 대한 체감과 경험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나누어 분석하였다. 내부인은 10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시기에 따른 행태와 의미의 변화를 파악하였고, 외부인은 네이버 블로그 글을 분기별로 100개씩 웹 크롤링한 후 시기별로 방문객의 행태 및 의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후 익선동의 시기별·요소별 특성을 도출하고 익선동이라는 장소가 어떻게 생성되고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 이래로 다양한 주체들의 행태적 특성 변화로 인해 물리적 특성이 변하고, 의미적 특성이 변하면서 익선동의 장소성은 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익선동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는 크게 한옥,좁은 골목에서독특하고 예쁜 가게 외관,카페, 맛집 등 다양한 가게로 변화하였다. 행태적 요소는 내부인의 입장에서는 거주,커뮤니티 활동에서용도 및 외관 변화,초기 상인의 이주커뮤니티의 와해로 변화하였다. 외부인의 입장에서는산책에서데이트,카페 및 맛집 방문,다양한 가게 구경등으로 행태가 변화했다. 의미적 요소는 내부인에게낡고 오래된,불편하고 더러운등의 이미지에서깨끗한,사람이 많아진,밝아진등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했다. 또한 내부인들은 익선동에만 있는 요소들이 아닌 체인점이나 타 상호명, 일본식 건물로의 변화는 익선동의 매력을 절감하는 요소라고 느끼고 있다. 외부인들은조용한,한적한분위기에서 독특하고 예쁜,다양하고 구경거리가 많은등의 이미지로 변했다고 체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익선동이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을 겪고 있으나 세 가지 요소의 변화와 상호작용으로 새로운 장소성이 재생산되고 있음을 밝히고 기록하는 데 의의를 둔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0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