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의 일반인과 취약계층 간 형평성 평가 : Evaluating Vertical Equity of Seoul Transit Servi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준호

Advisor
장수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2020. 2. 장수은.
Abstract
Unbalanced distribution among classes is intensifying due to traditional transportation policies aimed at enhancing efficiency and mobility in the past. Transportation should be guaranteed to all users as a means of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for their activities (leisure, commuting and so on). However, due to the disproportionate distribution of these public transit services, individuals or groups are deprived of opportunities for social and economic activity, and many papers are assessing the equity of public transit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evaluation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equity of public transit services between classes and to grasp unbalanced distribution of public transit services in Seoul.
In this study, the equity of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s analyzed by applying a vertical equity theory that can evaluate the equity between classes for the internal passage of Seoul. This paper evaluates the availability of public transit services through frequency indicator and to diagnose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public transit services through travel time indicator and reliability indicator. In additio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who is constrained in mobility are defined as disadvantaged group.
In this study, the relative importance of buses and urban railway is derived through AHP analysi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means is applied in each indicators. The relative importance of buses was derived from 0.376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urban railway is 0.624. Next, the Lorenz curve and the Gini coefficient is applied in this study to evaluate equity between classes. Finally, when the frequency of each vehicle is changed, this paper evaluates the sensitivity of the Gini coefficient for each classes.
As a result, the unbalanced distribution between the general and the elderly/disabled classes is identified in terms of travel time indicator. And inequity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s greatly evaluated. In terms of the frequency, balanced distribution is identified between classes. But, the degree of inequity is larger in the general class than in the elderly/disabled only during off-peak. As a result, the availability of public transit service is balanced between classes, but unbalanced distribution between classes is identified in terms of comfort and convenience of public transit service.
According to result, the Gini coefficient is more sensitive when the frequency of the urban railroad line 1-4 is reduced than when the frequency of bus service is reduced. Urban railway lines 1-4 are concentrated in central business areas and commercial area, while bus stops a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Seoul. In addition, when the frequency of the urban railway line 1-4 decreased, the general class responds more sensitively tha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is is because the traffic volume of the general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two classes in the top five areas where the stations of urban railway Line 1-4 are located
There are three main limitations to this study. The first is limited to the internal trips and the purpose of trip is not distinguished. The second is the limitation of RP data which is hard to reflect users who doesn't travel and potential demand. Finally, this study borrows the US public transit service evaluation manual and defines general indicator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sider the above three limitations.
과거 효율성과 이동성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적인 교통정책으로 인해 계층 간 불균형한 분배가 심화되고 있다. 교통은 이용자들의 활동 기회(여가, 통근, 통학 등)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모든 이용자에게 보장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대중교통 서비스의 불균형한 분배로 개인 또는 집단이 사회·경제활동기회로부터 박탈당하고 있으며, 많은 논문들에서 대중교통 서비스의 형평성을 진단하고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교통 서비스의 계층 간 형평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이론체계와 평가방법론을 정의하고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의 불균형한 분배 형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내부 통행을 대상으로 계층 간 형평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직적 형평성 이론체계를 적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의 형평성을 분석한다. 운행빈도 지표를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의 가용성을 진단하고, 통행시간 지표와 신뢰성 지표를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의 편리성과 편의성을 진단한다. 또한, 이동성에 제약이 있는 고령자와 장애인을 취약계층으로 정의했다.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을 이용하여 버스와 도시철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였고, 평가지표 설계과정에서 도출된 수단의 상대적 중요도를 반영하였다. 버스의 상대적 중요도는 0.376, 도시철도의 상대적 중요도는 0.624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계층 간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해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수단의 운행빈도가 변했을 때, 각 계층의 지니계수 민감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통행시간 지표에서는 일반인과 고령자/장애인 계층 간 불균형한 분배가 확인되었고, 고령자와 장애인 계층의 불평등 정도가 크게 도출되었다. 운행빈도 지표에서는 계층 간 불평등 정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고, 신뢰성 지표에서는 비첨두 시간대에서만 일반인의 불평등 정도가 고령자와 장애인 계층의 불평등 정도보다 크게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대중교통 서비스의 가용성은 계층 간 분배가 균형적이었지만, 편의성과 편리성은 계층 간 불균형한 분배를 확인할 수 있다.
시나리오 분석결과, 버스의 운행빈도가 감소했을 때보다 도시철도 1-4호선의 운행빈도가 감소했을 때 계층의 불평등 정도가 민감하게 반응했다. 도시철도 1-4호선은 중심업무지구와 상업지역에 밀집되어있는 반면에 시내버스 정류장은 상대적으로 서울 전역에 고루 분포되어있다. 또한, 도시철도 1-4호선의 운행빈도가 감소했을 때, 일반인 계층이 고령자와 장애인 계층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는 도시철도 1-4호선의 정거장이 위치한 상위 5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일반인의 통행량이 두 계층의 통행량에 비해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계점은 크게 3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서울시 내부 통행으로 한정하였고, 통행 목적을 구분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RP자료의 한계점으로 당일 통행하지 않은 이용자와 잠재적 수요를 반영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미국 대중교통 서비스 평가체계를 차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평가지표를 정의하였다. 따라서 위 3가지 한계점을 고려하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7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