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OCIAL COMPARISON PROCESS IN INDIVIDUAL CREATIVITY : 사회비교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개인창의성: 팀내 상향비교에 대한 감정적, 인지적 과정의 매개효과 및 직무창의성요구와 창의적 자원의 조절효과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WITHIN TEAMS THROUGH AFFECTIVE AND COGNITIVE PROCESS WITH THE ROLE OF CONTEX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유하

Advisor
최진남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대학 경영학과,2020. 2. 최진남.
Abstract
Employee creativity has become the essential element for the survival and success of contemporary organizations under the fast-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team systems in the flood of information has increased the attention to creativity in social relationship.
This study combines social comparison theory (Festinger, 1954) and a dual-pathway model of creativity (De Dreu, Baas, & Nijstad, 2008) to propose a framework that exhibits the process in which the social comparison of creative ability between team members influences individual creativi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upward social comparison that individuals experience frequently in real team situations (Gerber, Wheeler, & Suls, 2018). I proposed the process model that upward social comparison influences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response to upward social comparison within teams based on two dimensions, namely, activation and valence, to answer recent calls for the shift to the dimensional approach of emotions from multiple disciplines. Cognitive demotivation was also added to the cognitive flexibility and persistence, which are the two cognitively motivated states from the dual pathway model, in examining cognitive responses following emotion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processes that emotional and cognitive processes lead to three aspects of creativity, namely, radical creativity, incremental creativity, and creative disengagement.
Using a multi-source multi-wave data,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d that upward social comparison largely positively affects emotions and is related to radical and incremental creativity through cognitive flexibility. This research provides novel insight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by offering theoretical elaboration of the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on creativity and providing unique empirical validation of the model in the context of teams in actual organizations.
사회발전의 속도가 빨라지고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취향변화도 급격해지면서 사회 각계각층의 다양한 니즈를 맞추기 위하여 기업 인재들의 창의성은 기업의 존속과 성공을 위한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특히 기술의 고도화와 정보의 홍수속에서 개인보다 팀으로 업무를 처리해야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사회적 관계속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고려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창의성 문헌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던 사회비교이론(Festinger, 1954)을 창의성의 이중경로모델(De Dreu et al., 2008)과 결합시켜, 창의적 능력에 대한 팀원들 간의 비교가 직원 개개인의 창의성에 미치는 프로세스를 새로이 밝혔다. 특히, 실제 팀 조직에서 개인들이 더욱 빈번히 경험하는 상향비교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Gerber et al., 2018), 창의적 능력에 대한 팀원들과의 상향비교가 정서적, 인지적 반응을 통해 창의성에 도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문헌에서 정서의 차원적 접근(dimensional approach)의 중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activation)와 정서가(valence) 두 가지 차원을 바탕으로 팀내 상향비교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서에 이은 인지적 반응을 살펴봄에 있어, 이중경로모델에서 제시한 인지적 유연성, 인지적 지속성에 인지적 비동기화(cognitive demotivation)상태를 추가하였고, 이러한 정서적, 인지적 반응이 창의성의 세가지 측면, 즉 급진적 창의성, 점진적 창의성, 비관여적 창의성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한달 간격으로 팀원 및 팀장에게 2회에 걸쳐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본 연구는 상향비교가 활성화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인지적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며, 인지적으로 유연한 상태일 때 창의성이 발휘됨을 검증했다. 본 논문은 기존에 실험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제시되었던 가설들을 발전시켜 실제 기업에서 최초로 실증 분석함으로써, 현실 기업에서의 팀내 사회적 관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3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0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