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 연구 : A Study on Pragmatic Functions of Adnominal Clauses in Discours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강경민-
dc.date.accessioned2020-05-19T07:47:01Z-
dc.date.available2020-05-19T07:47:0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070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7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70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2020. 2. 구본관.-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 of Korean adnominal clauses in terms of grammar education, and to draw the features of the function of the adnominal clauses through text analyses in terms of genre and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o construct the knowledge elements and construction processes that act on the use of the adnominal clauses as educational contents.
Korean language learners dont adnominal clauses as much as Koreans do. The reason for this could be explained in many ways, such as avoidance due to grammatical difficulties and habits in their mother tongues. The educational content of adnominal clauses provided in Korean language books is mostly morphological in relation to the adnominal ending forms. And the text is presented in chunks with some head nouns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s. In other words,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adnominal clauses are mainly focused on the adnominal ending forms and their tenses and aspectual meanings, as well as the constraints on the association of the adnominal ending forms with the predicates or head nouns, and the prevention of errors. Such educational contents may lead to learners grammatical accuracy, while development of fluency related to actual use is difficult to expect. This study searches and organizes the functions of adnominal clauses in order to supplemen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teaching of the sentence, and captures the features from the perspectives of genre and language typology, and characterize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usage of adnominal clauses.
Based on this point of view, in chapter II,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s of adnominal clauses were derived, which were systemized by dividing them into referential aspect, contextual aspect and text constructive aspect. In this study, these are referred to as the referential function, the contextual semantic function, and the text constructive function, respectively.
First of all, the referential function is the most essential and important function of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s of the adnominal clauses, and it refers to the function that indicates the object in discourse. This again differentiates into two functions. The first is the function of revealing the identity and identity of the object to be indicated by limiting the category of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head noun. The complement clauses are analyzed to have this function in terms of the indication. Also, the relative clauses with restrictive usage is analyzed to have this function. The second is the function to add or explain information about the head noun, which is a descriptive use of relative clauses, which also helps to indicate the object, but is not semantically necessary.
Secondly, The contextual semantic function then operates on an extended dimension, or context level. Of the contextual semantic function, there are three kinds of contextual elements related to the object, the background or the situation of the discourse, and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the object or the situations. Speakers choose to provide the information or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in the adnominal clauses, to describe the situation or to reveal their attitude about the object or the situations so that they could form and share the context with listeners.
Lastly, the text constructive function helps to construct the structure of texts expressed mainly in coherence. The the text constructive function of the adnominal clauses are to introduce a topic, to anaphorically respond to the previous contents, to build a semantic and systematic coherence within the text. It also forms a narrative by describing successive events or cause and effect and summarizes the themes at the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 of Korean adnominal clauses, chapter Ⅲ derives the genre features and contrastive linguistic features of the function of the adnominal clauses. First, the genr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the adnominal clauses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Korean texts of various genres. They are narrativity, descriptiveness, coherence of the text, the abstractness and concreteness of the topic, the difference in the formal structure of the text, and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The higher the level of narrativity, descriptiveness, and coherence, respectively, the higher the usage rate of the adnominal clauses in the text. According to the abstractness and concreteness of the topic, the mental text-structure grounding of the adnominal clause changes. The more detailed the text and the organized genre of the text, the higher the usage rate of the adnominal clauses. In addition, the degree of revealing the speakers intention varies according to the genre, and thus the contextu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adnominal clauses varies.
The contrastive linguistic features of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s of the adnominal clauses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Korean novels, its English translation, Chinese translation, and Japanese translation. And another analysis of editorial articles in Korean newspapers, and their foreign language editions. The features are as follows: contextual information sticking to head noun, speaker's contextual intention expression, and objectification through indirect expression. These are all discourse pragmatic functional features of Korean adnominal clauses which are prominent compared to foreign language texts. The first two are the functions of agglutinating previous events in head noun, rather than using the equal or subordinate clauses to list them in narrative relations when expressing successive or causal events. It is a feature that prefers to find and rearrange the relevance of events and to adhere to head nouns using adnominal clauses. The expression of the speakers contextual intention refers to the aspect in which the speakers intention to form and activate the contextual meaning to the listener using the adnominal clauses appears more in Korean text. Objectification by indirect expression refers to the features of the use of the complement clause. While the sentences in English or Chinese text directly expresses the information in the main clause, the contents of sentences in Korean texts are attributed to abstract nouns and conceptualized and objectified.
In the text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narrativity, descriptiveness, genericity and individuality, systematic relevance, and familiarit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use of the adnominal clauses,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 content composition. The first four elements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will not be explained. The familiarity of the topic captures the tendency of adding various information by using the adnominal clauses. When foreign speakers considers Korean people as listeners and they write a topic that is not familiar to Koreans, they ten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by using adnominal clauses. Therefore when speakers talk to listeners, they determine the amount and content of information to provide so that the listeners understan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f we use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 of the adnominal clause and the features that act on the construction and use of the adnominal clause as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the adnominal clause is based on the generality, individuality,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of the topic to be addressed at the point of instruction. The mental structure grounding varies according to the topic. The familiarity of the topic determines the content and amount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At the contextual level, the elements to understand and contextualize possible contextual information are selected and expressed according to the speaker's intention. At the text level, we introduce the topic in line with the structure of the text using the coronary clause, develop the content using various coherence mechanisms, and emphasize or summarize the topic at the end.
This study theorized and organized the function of discourse pragmatic functions of the adnominal clause and exte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Korean adnominal clause, which was mainly focused on morphological features of adnominal ending, correcting forms and syntactic errors and the recognition of constraints, to the more practical dimension of language use. And suggested practical teaching methods accordingly.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형절 사용의 장르적 특징과 대조 분석적 특징을 구체화하고 관형절의 사용에 작용하는 지식 요소와 구성 과정을 교육 내용으로 구안하고자 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관형절을 한국인만큼 사용하지 않는다. 그 원인은 문법적 어려움으로 인한 회피, 모어에서의 습관 등 여러 가지로 규명할 수 있겠지만 본고에서는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에 대한 교육의 부재가 주요 원인이라고 판단한다. 한국어 교재의 관계절 교육 내용은 대개 관형사형 어미와 관련된 형태론적인 것이다. 그리고 보문절은 중급부터 일부 표제 명사와 함께 덩어리로 제시하고 있다. 즉 관형절과 관련된 현재의 교육 내용은 주요하게는 관형사형 어미의 형태와 각 어미가 가지고 있는 시제나 상적인 의미, 그리고 관형사형 어미와 관형절의 서술어나 표제 명사와의 결합 제약 및 오류 방지에 치중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 내용은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으로 이어질 수는 있으나 실제 사용과 관련된 유창성의 발달은 기대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관형절 교육의 실태를 보완하고자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을 정리하여 체계화하고 실제 사용에 있어서의 장르적 특징과 언어 유형론적 특징, 학습자의 사용에 나타난 특징을 포착하여 관형절의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Ⅱ장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을 도출하였는데 이들은 다시 지시적 측면과 맥락적 측면, 그리고 텍스트 구성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각각 지시 기능, 맥락적 의미 기능, 그리고 텍스트 구성적 기능이라고 칭한다.
먼저 지시 기능은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의 가장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기능으로서 담화상의 지시 대상을 의미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는 다시 두 가지 기능으로 분화한다. 첫 번째는 표제 명사로 표시되는 대상의 범주를 한정하여 지시하고자 하는 대상의 동일성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기능으로 보문절은 표제 명사에 대하여 의미론적 보충을 하는바 지시 측면에서는 모두 이 기능으로 분석된다. 또한 제한적 용법의 관계절이 이 기능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는 대상에 대하여 정보를 부가하거나 해설하는 기능으로 관계절의 비제한적 용법이 이에 해당하며 역시 대상을 지시하는 데 일조하지만 의미론적으로 필수적이지는 않다.
이어서 맥락적 의미 기능은 지시 기능보다 확장된 차원 즉 맥락 층위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상황 맥락 요소 중 지시 대상이나 담화 배경, 담화 생산자와 관련된 한 가지를 선택하여 관형절의 명제에 지시 대상의 속성을 설명하거나 정황의 세부를 묘사하거나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반영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청자와 공유할 맥락을 형성한다.
끝으로 텍스트 구성적 기능은 주로 응집성이나 일관성으로 표현되는 텍스트의 결속 구조를 높이는 데 일조하는 것으로 관형절을 사용함으로써 지시 대상을 도입하고 앞에 있었던 내용을 조응하고 지시 대상 사이의 의미적 관련성과 체계적 관련성을 나타낸다. 또한 연속적 사태나 부차적 사건을 설명하여 서사를 구성하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주제를 요약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을 이론적 바탕으로 삼아 Ⅲ장에서는 관형절 사용의 장르적 특징과 대조 분석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먼저 관형절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장르적 요소는 다양한 장르의 한국어 기성 텍스트를 분석하여 도출한 것으로 텍스트의 서사성, 묘사성, 응집성, 화제의 추상성과 구체성, 텍스트의 형식적 구조화의 차이, 그리고 화자의 의도성으로 정리된다. 서사성, 묘사성, 응집성은 각각 그 정도가 높을수록 텍스트 내 관형절의 사용률이 높게 나타난다. 화제의 추상성과 구체성에 따라 관형절이 바탕화한 심적 구조가 달라지고 글의 전개가 치밀하고 조직적인 장르의 텍스트일수록 관형절의 사용률은 높아진다. 또한 장르에 따라 화자의 의도를 드러내는 정도가 달라지며 그에 따라 관형절에 나타나는 맥락적 정보 또한 달라진다.
관형절 사용의 대조 분석적 특징은 한국어 소설과 그것의 영․중․일 번역본, 한국 신문의 논설 기사와 그것의 외국어판의 관형절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도출한 것으로 대상을 중심으로 한 사건의 재배치, 대상에 대한 맥락적 정보 점착, 화자의 맥락적 의도 표현, 간접 표현에 의한 객관화로 정리된다. 이들은 모두 외국어 텍스트에서와 비교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한국어 관형절의 기능적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 앞의 두 가지는 연속적인 사태를 표현할 때 대등절이나 종속절을 사용하여 서술 관계로 풀어서 나열하기보다는 사건의 주체나 객체인 표제 명사를 중심으로 사건의 관련성을 찾아 재배치하고 관형절을 사용하여 수식 관계로 표제 명사에 점착하여 표현하기를 선호하는 특징을 말한다. 화자의 맥락적 의도 표현은 관형절을 사용하여 청자에게 맥락적 의미를 형성하고 활성화하려는 화자의 의도가 한국어 텍스트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양상을 말한다. 간접 표현에 의한 객관화는 보문절 사용의 특징을 말하는데 영어나 중국어 텍스트에서 보문절의 명제를 직접 주절에 실현하는 것과 달리 한국어 텍스트에서는 보문절의 내용을 추상 명사에 귀속시켜 개념화하고 객관화하는 양상이 종종 나타난다.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이 생성한 텍스트에서는 내용 구성의 특징에 따라 서사성, 묘사성, 총칭성과 개별성, 체계적 관련성, 친숙성이 관형절 사용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앞의 네 가지 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화제의 친숙성은 외국인 화자가 한국인을 청자로 상정하고 글을 쓸 때 한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화제를 다룰 경우 관형절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부가하는 경향을 포착한 것으로 화자는 화제에 대한 청자의 지식수준을 가늠하여 정보 제공량과 내용을 결정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과 관형절의 구성 및 사용에 작용하는 특징들을 교육 내용 요소로 삼으면 먼저 지시 차원에서는 다루고자 하는 화제의 총칭성, 개별성, 추상성, 구체성에 따라 관형절이 바탕화한 심적 구조가 바뀌고 화제의 친숙성에 따라 제공할 정보의 내용과 양이 결정된다. 맥락 차원에서는 가능한 맥락적 정보를 이해하고 맥락화하고자 하는 요소를 화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하여 표현한다. 텍스트 차원에서는 관형절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구조에 맞추어 화제를 도입하고 다양한 응집성 실현의 기제를 활용하여 내용을 전개하며 마무리에서 주제를 강조하거나 요약한다.
본고는 그간 관형사형 어미라는 형태적 특징과 그에 따른 의미 기능과 제약, 내포문의 하나로서 표제 명사의 의미나 시제·상 등에 의한 통사적 특징과 그에 따른 제약 등에 치중된 한국어 관형절의 연구를 담화 화용적 차원의 논의로 확장하고,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을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형태·통사론적 오류 교정 및 제약의 인식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한국어 관형절의 교육 내용을 언어 사용의 보다 실제적인 차원으로 옮겨서 이론화하고 그에 따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선행 연구 5
2.1. 한국어 관형절의 교육에 관한 연구 5
2.2. 한국어 관형절의 기능에 관한 연구 11
3. 연구 범위 및 방법 18
3.1. 연구 범위 18
3.2. 연구 방법 및 대상 25

Ⅱ.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의 이론적 배경 33
1. 한국어 관형절 교육에 대한 반성적 검토 33
1.1. 한국어 관형절에 대한 이론적 검토 33
(1) 한국어 관형절의 개념 33
(2) 한국어 관형절의 체계 34
1.2. 한국어 관형절 교육 내용의 한계 42
(1) 형태론적 정확성 중심 44
(2) 위치와 수식으로 설명되는 통사론적 기능 46
(3) 관형절의 시제와 상, 서법 중심 48
(4) 결합 제약 중심 49
2. 문법에 대한 담화 화용론적 접근 51
2.1. 담화 화용론의 연구 영역 52
2.2. 담화 화용론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 55
(1) 정보와 정보 구조 56
(2) 담화 지시체와 심적 표상 57
(3) 전제와 단언 59
(4) 화제와 평언 65
(5) 전제와 초점 71
3.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73
3.1. 지시 기능 77
(1) 내포에 따른 지시 80
(2) 대상에 따른 지시 83
3.2. 맥락적 의미 기능 84
(1) 대상의 속성 환기 90
(2) 정황의 세부 묘사 92
(3) 화자의 태도 반영 93
(4) 맥락적 의미 형성과 해석 94
3.3. 텍스트 구성적 기능 95
(1) 대상의 도입 96
(2) 조응 96
(3) 의미적 관련 98
(4) 체계적 관련 100
(5) 주제나 교훈 요약 101
(6) 화제성, 전경과 배경 103
(7) 연속적 사태 통합 107
(8) 부차적 사건 표시 108

Ⅲ.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110
1. 장르에 따른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분석 110
1.1. 분석 방법 110
(1) 분석 자료 110
(2) 분석 절차 115
① 연구 대상 인식 115
② 표제 명사의 통사적 기능과 어휘적 의미 분석 117
③ 담화 화용적 기능 분석 120
1.2. 장르에 따른 관형절의 사용 양상 122
(1) 경험적 서사: 수필 122
(2) 주장과 견해: 논설 기사 130
(3) 설명적 묘사: 백과사전 정의 136
(4) 지시문: 요리법 140
(5) 주관적 심정: 편지 144
(6) 평가적 견해: 서평 148
(5) 시간과 공간의 흐름: 여행기 152
1.3. 장르적 특성에 따른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157
(1) 서사성의 정도 164
(2) 묘사성의 정도 165
(3) 응집성의 정도 166
(4) 화제의 구체성과 추상성 169
(5) 화자의 태도 노출의 정도 170
(6) 텍스트의 형식적 구조화의 차이 171
2.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에 대한 대조 분석적 이해 173
2.1. 한국어 관형절과 유사한 통사적 형식 이해 173
(1) 영어의 관계절: Relative Clause 174
(2) 중국어의 관형절: 定语 177
(3) 일본어의 수식절: 連体修飾節 180
2.2. 동일한 의미의, 언어에 따른 통사적 실현 양상 183
(1) 분석 자료와 절차 183
(2) 분석 결과 194
① 소설에 나타난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194
② 논설 기사에 나타난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214
2.3. 한국어 관형절의 대조 분석적 특징 219
(1) 대상을 중심으로 한 사건의 재배치 232
(2) 대상에 대한 맥락적 정보 점착 234
(3) 화자의 맥락적 의도 표현 236
(4) 간접 표현에 의한 객관화 238

Ⅳ. 한국어 관형절 사용의 원리와 교육 내용 요소 240
1. 학습자의 관형절 사용 양상 분석 240
1.1. 분석 방법 240
(1) 분석 자료 240
(2) 분석 절차 242
1.2. 분석 결과 243
(1) 관형절의 사용률 243
(2) 지시 차원의 사용 양상 245
(3) 맥락적 의미 차원의 사용 양상 251
(4) 텍스트 구성적 차원의 사용 양상 253
2. 언어권과 내용 구성 특징에 따른 관형절 사용 양상 256
2.1. 학습자의 언어권에 따른 관형절 사용 양상 256
(1) 영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 256
(2)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 257
(3)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 260
2.2. 내용 구성의 특징에 따른 관형절 사용 양상 261
(1) 서사성 262
(2) 묘사성 264
(3) 총칭성과 개별성 265
(4) 체계적 관련성 267
(5) 친숙성 267
3.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 내용 설계 269
3.1. 관형절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 270
(1) 교육 내용 구성 요소 270
(2) 교육 내용 위계화 275
3.2.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 내용 설계의 실제 276
(1) 관형절의 지시 기능 276
① 총칭성과 개별성에 따른 심적 구조 277
② 추상성과 구체성에 따른 지시 279
③ 친숙성에 따른 정보 결정 280
(2) 관형절의 맥락적 의미 기능 282
① 맥락적 요소 282
② 선택과 표현 284
(3) 관형절의 텍스트 구성적 기능 288
① 텍스트의 구조 289
② 응집성의 실현 293

Ⅴ. 결론 296

※ 참고 문헌 301
※ Abstract 32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0.7-
dc.title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Pragmatic Functions of Adnominal Clauses in Discours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0-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070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070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