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건축의 첨(簷)과 퇴(退)에 관한 연구 :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Transition Spac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창현

Advisor
전봉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20. 2. 전봉희.
Abstract
Cheom(檐) and Toi(退) are the terms of space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Cheom is formed outside of the outermost columns which is similar to under the eaves space, and Toi is formed inside them. These two spaces are both covered with roofs, and they also share common spatial attributes in that they are transition spaces between the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of the building. For this reason, Cheom and Toi have functioned as major elements of the facade in which the main access of architecture takes place.

Cheom is a term that has been shared in East Asian architecture, but Toi is a term that is used only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combination of Floor heating system named On-dol(溫突) and wooden flooring named Ma-ru(抹樓) became common since the mid-Joseon period. A major change in the form of interior space made the role of transition space more important, and the composition of Cheom and Toi began to be diversified.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 of Cheom and Toi can be understood as an architectural solution of the transition space to cope with the change in the form of the interior space. Under these changes, Toi was actively used in Korean architecture after the mid-Joseon period, and construction of the wooden floor of Toi became a typical form of Korean architectur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origin of Cheom and Toi can be found from the beginning of the wooden architecture in East Asia. Cheom is assumed to have occurred with the emergence of ground-based architecture, when the roof and walls began to separate. Since the formal development of wooden architecture in a more sophisticated way, Cheom has been divided into various parts and formed its meaning as a full-fledged space. On the other hand, Toi occurred with the construction of wooden structures that distinguished the inner columns from the outer columns. As such, the occurrence of Cheom and Toi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titutive features of the East Asian wooden architecture that support the roof through the placement of columns.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of Cheom and Toi was the process of forming a transition space that performs an opening protection function and a facade of ceremonial space in the wooden architecture of East Asia. These transition spaces were useful in both everyday and ceremonial situations, and this utility has led to efforts to progress the Cheom and Toi exquisitely.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notable changes in these transition spaces began to be observed from mid-Joseon period. During the mid-Joseon period, the combination of On-dol and Ma-ru came into wide use in many buildings including houses and pavilions. As a result, the floor of a building was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installed high, and the living style of taking off shoes in the interior space became comm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ole of transition became more important. During this time the wooden floor of Cheom began to be built in houses and a few Buddhist pavilions.

The change of Cheom soon led to a change of Toi. Toi is formed inside the columns supporting Cheom which effectively functioned as a more stable transition space. As the floor type changed,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building were more clearly distinguished than before, and the role as a transition space was handed over from Cheom to Toi. Starting from the mid-Joseon period, the floor type of Toi in ritual buildings in which brick panels were installed also appears to be gradually replaced by the wooden floor.

As the use of wooden floor of Toi expanded, the use of wooden floor of Cheom began to relatively decrease in size and quantity. The general tendency to narrow the width of the eaves that continued into the late Joseon Dynasty is also thought to be a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the demand for space has shifted considerably from Cheom to Toi. The newly formed wooden floor of Toi was often installed in front of On-dol rooms, and the structural response in this area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roof structure.

As the simplest type of roof structure consisting of only two columns without inner columns, a side pillar was plac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am to make Toi space in front of On-dol rooms.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limited beam was divided into On-dol room and Toi, so there was a limit to securing the minimum width of the wooden floor of Toi to be less than one meter. It is thought that the type of an additional beam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eam is intend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type, able to secure the most common width of 1.2 meters or so, appears to have replaced the existing method since the mid-Joseon period.

On the other hand, where the inner post is formed by the composition of columns, the wooden floor wa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osts and columns. which is the major element of Toi space. However, the composition of columns resulted in a limit in which the width of the wooden floor of Toi was dependent on the location of inner columns supporting the roof structure. In order to control the width of the wooden floor of Toi in a more rational way, types of columns and roof struc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id-Joseon period seems to have been chosen.

Meanwhile, asymmetric roof structures to secure wider wooden floors of Toi to the front of the building were also observed. This type of buildings can be found in various cases, especially in housing and a few Buddhist pavilions in the mid-Joseon period, where the use of wooden floors in transition spaces appears to have expanded significantly.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asymmetric roof structure inside a symmetrical roof was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a building, which can be understood as an example of a continued structural changes in asymmetric column and roof composition in an effort to secure sufficient width of the wooden floor of Toi.

After a series of changes of Cheom and Toi composition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attempts to achieve rational installation of wooden floor of Toi were realized in a diverse types of combination of columns and roof structures. These changes were no restricted in a particular architectural style, but appeared also in daily living space and ceremonial space. Therefore, the study dealing with both living and ceremonial spaces is essential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s in the overall period of Korean tradition architecture. These developments led to the acquirement of uniquenes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in the wooden architecture tradition of East Asian culture after the mid-Joseon period.
첨(檐, 簷)과 퇴(退)는 건물의 외부와 중심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 공간으로, 외부와 내부 공간의 중간적 속성을 가진다. 대부분의 첨 공간이나 개방형 퇴는 벽이나 창호로 막혀있지 않다. 이로 인해 위 공간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된다는 점에서 외부 공간에 가깝지만, 지붕으로 덮여 있다는 면에서는 내부 공간의 요소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첨과 퇴는 건물의 내𐤟외부 양쪽에서 모두 접근이 쉬워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그에 따라 바닥과 입면의 구성도 다채로운 모습을 보인다. 본 논문은 한국 건축에서 첨과 퇴 구성의 유형적 선후관계를 살피고, 그러한 유형의 발생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첨과 퇴가 보다 합리적인 공간으로 기능하기 위해 발생되었던 구조적 조절 요구에 대응해나가며 한국 건축의 특징적인 요소로 정착되는 과정을 유형적 고찰을 통해 다루고자 한다.

첨과 퇴의 공간적 발전은 서까래를 돌출시켜 지붕면을 비교적 길게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해온 동아시아 목조건축의 경향과도 맥을 함께 한다. 그런데 한국 건축에서는 조선 중기 이후로 온돌과 마루 조합의 보편화에 따라 공간 사용 방식이 변화되는 전환기를 겪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첨과 퇴에도 바닥에 마루를 설치하는 새로운 형식으로의 변화가 뒤따르게 되었다. 건물 내부의 바닥 형식 변화는 경계 공간인 첨과 퇴에 마루가 설치되는 변화로 이어지게 된다. 변화의 과도기에는 보다 안정적인 경계 공간의 필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전과는 다른 상부가구의 유형이 나타나기도 했으며, 구조적 효율을 위한 변형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경계 공간으로서의 지위는 점차 첨에서 퇴로 이전(移轉)되어가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처럼 한국 건축에서 첨과 퇴의 형식 변화는 일정한 방향성을 띄며, 이러한 변화의 끝은 한국 건축의 고유한 공간‧구조적 성격을 규정하는 건축 요소 중 하나인 툇마루에서 극적으로 나타난다.

첨은 여러 부재들의 조합으로 특정한 위치에 구성되는 공간의 명칭에서 비롯되었고, 이 공간을 구성하는 부재들은 목구조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 지붕틀을 이루는 여러 부재들이 분화되지 않았던 목조건축 발전의 초기 단계에서는 첨의 구분 역시 모호하여 기둥 상부를 연결하는 가로 부재들로 구성되는 부분을 통칭하였다. 그러나 목구조의 발달로 첨을 구성하는 부재들이 분화되었고, 각 부재들의 명칭과 첨의 공간적 의미도 점차 명확해졌다. 현재의 처마는 지붕의 끝 부분을 이루는 부재들의 조합 또는 건물의 가장 바깥쪽의 기둥 또는 벽면과 지붕 끝 사이의 공간을 뜻한다. 대개의 목조 건축에서 처마공간은 외기에 면한 쪽의 하부로 노출된 서까래, 공포를 이루는 여러 부재들의 조합, 기둥 상부의 방(枋) 등 주로 상부의 가구 부재로 구성된다. 첨은 주된 출입이 이루어지는 정면으로서의 차별성이 있으며, 그 구성 방식에 따라 건물 전체의 격을 결정하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퇴는 첨과는 달리 건물의 최 외곽 기둥 열 안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퇴의 발생 유형 역시 기둥 열의 구성으로 인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내부 공간의 기둥을 뜻하는 내주(內柱)가 생기지 않는 3량가의 유형보다는 고주를 사용하는 5량가에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퇴의 발생이 반드시 5량가의 기둥 열 구성으로 인해 분할된 공간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3량가로 구성된 건물의 한 쪽 편으로 새로운 기둥을 물려 설치한다면, 그 기둥이 곧 퇴주(退柱)가 되며, 퇴주 안쪽에 형성되는 공간은 퇴칸(退間)이 된다. 이 과정에서 한쪽 편으로만 퇴칸이 형성되는 경우 비대칭 지붕을 두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지붕을 가진 거의 모든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첨과는 달리 퇴는 선택적으로 형성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국 건축에서 퇴는 특히 조선 중기 이후로 마루가 설치되기 시작하면서부터 공간적 역할이 더욱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3량과 5량의 목구조는 이전과는 다른 유형으로 구성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공간적 합리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목구조가 조절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 건축의 첨과 퇴 형식과 이용방식의 극적인 변화는 조선 중기부터 관찰된다. 조선 중기까지는 퇴를 두지 않고 첨에만 마루가 설치되었던 유형의 건물이 적지 않지만, 이후에는 거의 모든 경우에 퇴를 두고 마루를 설치한 유형으로 변화된다. 이는 기둥 열 바깥의 첨보다는 안정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기둥 열 안쪽에 위치한 퇴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진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바닥 형식의 변화가 생기자 건물의 내부와 외부는 이전보다 명확하게 구분되었고, 첨에서 주로 담당해 오던 경계 공간으로서 역할은 첨과 연접한 퇴의 구성을 통해 보다 다양해진 것이다. 첨과 퇴의 이러한 변화는 주택, 궁궐, 서원, 향교, 사찰 등 한 종류의 건축형식에만 국한되어 발생된 것이 아니라 각 형식들 간에 일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조선 중기를 전‧후로 의례용 전각의 실내에는 마루가, 퇴에는 전돌이 설치된 과도기적 사례가 관찰되며, 이후에는 점차 전돌이 설치되었던 의례적 성격의 퇴 바닥형식 또한 마루로 대체되는 모습이 보인다. 의례를 위한 퇴에도 마루가 사용되는 이 같은 변화는 조선 후기에까지 지속되어 20세기 초의 신선원전(新璿源殿)과 칠궁(七宮)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툇마루가 적극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첨의 마루는 상대적으로 설치 개소와 면적이 줄어들었다. 조선 후기로 가면서 처마 내밀기의 폭이 줄어드는 경향도 첨의 공간적 수요가 상당 부분 퇴로 전환되었음을 뒷받침하는 정황으로 생각된다. 새롭게 생겨난 툇마루는 특히 온돌방 전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부분의 구조적 대응은 도리의 개수를 기준으로 한 량가 구성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보통 내주(內柱) 없이 두 개의 기둥만으로 이루어지는 가장 간소한 상부가구 형식인 3량가에서는 대들보 하부에 샛기둥을 세워 전면에 툇마루 공간을 두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 경우 한정된 대들보의 폭을 나누어 사용해야 하므로 채 1미터가 되지 못하는 최소한의 툇마루 폭을 확보하는 정도에 그친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들보의 전면에 별도의 보를 추가로 설치하는 퇴량형 3량가(退梁型 三梁架)의 유형은 바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보편적인 1.2미터 내외의 툇마루 폭을 확보할 수 있었던 이 유형은 조선 중기 이후로는 기존의 샛기둥을 두는 방식을 대체해간 것으로 보인다. 퇴량형 3량가의 구성은 확보할 수 있는 보 방향의 폭이 한정적이라는 한계가 있었지만, 이후 비교적 작은 규모의 가묘 보급과 함께 지속되었으며, 일부 건물에서 보이는 4량가의 형식과 유사한 비대칭 상부가구를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기둥 열의 구성에 의해 퇴칸이 형성되는 고주를 둔 5량가에서는 고주와 퇴주 사이의 공간에 마루를 설치하는 형식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중도리의 위치에 맞추어 툇마루의 폭이 고정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중도리가 건물의 중심부로 깊게 들어가는 3분변작의 경우 건물의 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넓은 폭의 툇마루가 형성된다. 이처럼, 필요 이상으로 넓게 형성되는 툇마루의 폭을 보다 합리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조선 중기 이후로는 고주를 사용하는 방식 대신에 편주를 사용하는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편주형 5량가(偏柱型 五梁架)는 중도리의 위치와 툇마루의 폭을 분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조선 중기 이후로는 기존의 고주형 5량가의 형식을 대체해간 것으로 보인다. 편주형 5량가 중에서는 툇마루를 설치하는 기준이 되는 기둥이 중도리의 위치보다 외부 공간 쪽으로 치우친 외편주(外偏柱)를 설치한 사례가 많지만, 요구되는 툇마루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중도리의 위치보다 내부공간 쪽으로 치우친 내편주(內偏柱)를 사용한 사례도 있다.

한편, 전면으로 보다 넓은 첨과 툇마루를 확보하기 위해 비대칭의 지붕구조를 형성하는 모습들도 관찰된다. 이러한 형식은 툇마루의 사용이 크게 확대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는 조선 중기의 주택이나 일부의 불전 등에서 특히 많은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4량가와 같이 비대칭의 상부가구를 사용하지만, 건물의 전‧후면으로 대칭의 지붕을 두는 사례도 있는데, 툇마루의 사용을 위한 비대칭 상부가구의 구조적 변화가 지속된 것으로 이해된다.

조선 후기의 첨과 퇴 구성은 일련의 변화 과정을 거쳐 첫째, 툇마루 구성의 합리성 재고를 위한 구조적 대응으로서의 유형, 둘째, 전첨의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하기 위한 개방형 전퇴 구성의 유형, 셋째, 첨과 퇴의 확장적 구성을 위한 유형 등으로 다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특정 건축형식에 머무르지 않고 때로는 생활과 의례 공간의 전반에 나타나기도 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건축의 전반에 걸친 첨과 퇴의 변화상을 이해하기 위해 생활과 의례 공간을 함께 다루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목조 건축의 발달과 함께 시작된 첨과 퇴가 어떻게 발생하고 변화하며 조선 후기에 정착되었는지 그 과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한국 건축이 조선 중기 이후 동아시아 문화권의 목조건축 전통 안에서 독자적인 고유성을 확보해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7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6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