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인화 관점에서 본 중년여성의 주거공간과 자녀의 주거독립 : Homes of Middle-Aged Women and Their Childrens Residential Independence from the Individualization Perspectiv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순범

Advisor
진미정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2020. 2. 진미정.
Abstract
개인화가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보편적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개인화 담론은 청년세대와 같은 특정 세대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 관점에서 중년여성이 주거공간에 부여하는 의미와 그들이 경험하는 비혼자녀의 주거독립을 살펴봄으로써 중년여성에 대한 발달적 이해를 돕고 개인화 담론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첫째, 중년여성에게 주거공간이 갖는 의미에서는 개인화된 사회에서 드러나는 중년여성의 욕구와 정체성을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 60대 중년여성 13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접 자료는 주제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제분석법을 통해 도출된 중년여성의 주거공간 의미는 사적인 공간, 돌봄의 공간,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공간이었다. 사적인 공간에서는 중년여성에게 주거공간이 우리 가족이 아닌 타인에게 배타적인 공간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각방의 사용을 통해 자립적 개인을 위한 욕구와 부모로서의 정체성이 충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돌봄의 공간에서는 돌봄대상에 따라 공간의 점유형태가 달라져서 손자녀를 돌볼 때는 주거공간을 자녀, 손자녀와 공유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지만, 부모를 돌볼 때는 부모의 공간 사용에 대해 배타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서 배우자를 돌볼 때는 외부로부터 고립되어 자립적 개인에 대한 욕구가 억압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공간에서는 주거공간이 지니는 경제적 가치가 부모자녀관계를 유지하는 방편이 되는 한편, 부모로서의 정체성과 자립적 개인을 위한 욕구가 경합한 결과가 주거공간을 자신의 노후를 위한 경제적 자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중년여성이 주거공간에 대해 갖는 의미는 다양한 지점에서 개인의 욕구와 정체성이 충돌하고 있으며, 현저성 위계에 따라 사회구조의 변화가 반영되는 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화의 양상이 한 개인에게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중년여성이 인식하는 비혼자녀의 주거독립 경험에서는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비혼자녀의 주거독립을 자녀의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최근 5년 이내에 비혼자녀의 주거독립을 경험한 50, 60대 중년여성 4명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현장텍스트를 연구텍스트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중년여성이 경험한 비혼자녀 주거독립의 본질은 자녀로부터의 소외에 대한 불안과 자녀 결혼을 통한 불안 해소에 대한 기대였다. 중년여성은 비혼자녀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불안을 느끼고 있었는데, 그러한 불안의 기저에는 자녀로부터 소외당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불안이 자리 잡고 있었다. 중년여성은 자신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자녀 집에 찾아가려고 하지만 자녀가 이를 회피하면서 중년여성의 불안은 해소되지 못하고 더욱 가중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년여성이 자녀의 결혼을 바라는 이유는 결혼이라는 전통적 규범을 통해 부모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재확인하고 자녀로부터 소외당하는 자신에 대한 불안이 해소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화된 사회에 적응하는 방식이 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해 긴장과 갈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lthough individualization is a universal experience that spans multiple generations, existing discourses on individualization tend to be biased towards the youth popul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and their childrens residential independence from the individualization perspective and second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al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 and to expand the horizons of individualization discourse.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separate but interrelated studies for these purposes.
First,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attempted to examine the needs and identities of middle-aged women in the context of individualized societ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3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as derived from thematic analysis was the space of privacy, of care, and of economic value. In the home as a private space, it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identity as a mother remained strong, and through the use of each room,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desire to be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the identity as a parent. In the home as a space of care, the occupancy of the home varied depending on whom is cared. When the participants cared for grandchildren, they recognized the home as a space shared with children and grandchildren, but when they cared for old parents, they expressed a desire to occupy the home exclusively for families and they did not consider old parents as their immediate family. In addition, when there was a spouse who needed care in the home, the participants felt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desire to be an independent individual was suppressed. In the home as a space of economic value, the economic value of home was a means of maintain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while the result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identity as a parent and the desire to be an independent individual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using home as an asset for their old age.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shows that individual needs and identities are colliding at various points, a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social structure changes are reflected according to salience hierarc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tterns of individualization can appear in various ways, even for an individual.
Second, in a study on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residential independence of never-married children,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was examined, centered on the home as residence of never-married children. I conducted interviews with four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had experienced residential independence of never-married children within the past five years, and a variety of field texts were used as research texts. The essence of reconstruc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to narratives was the anxiety about alienation from their child and the expectation of resolving the anxiety through the marriage of their child. The participants felt anxiety about their never-married children, and at the bottom of such anxiety lays the anxiety about themselves being alienated from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tried to visit their childrens homes to relieve their anxiety, but as their child avoided this, the anxiety was not resolved but aggravated. In this context, the reason why the participants wanted their children to marry was that they aspired to restor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through the ev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generations in how they adapt to the individualized society and how these differences lead to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genera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9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0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