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해식 해금 작품 분석 연구 : Music analysis of Lee Hae-siks Haegeum pie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혜령

Advisor
양경숙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20. 2. 양경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musical features and playing techniques of Lee Hae-siks eight Haegeum pieces including Haegeum solo and quartet by analyzing its melody.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1st, 2nd, and 3rd period based on the composition period and the material of the work, these haegeum works were analyzed for each perio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le and melody of Lee Hae-siks Haegeum works were represented by the de-scale and delineation methods,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Haegeum original songs, and the development of the midtone method. His work was developed in a way that was intentionally deviated from a fixed scale or line method. In addition, by attempting extreme high notes in his first Haegeum solo song, , he introduced a chord by the midtone method for the first time,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the playing technique of Haegeum.
In Lee Hae-siks Haegeum's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rhythm appear in two ways: rhythmic use to avoid a fixed beat and rhythms taken from traditional music. His works tend to escape from fixed beats through polyrhythm, multirhythm, and syncopation, and use many continuous tone and hemiola that were inspired by traditional music. Moreover, he developed a new rhythm system called hybrid rhythm through the hemiola rhythm of folk music.
The development methods commonly used in Lee Hae-siks 1st to 3rd Haegeum works appeared in two ways: motif repetition, and repetition and variation method. His works have used a number of motif repetition repeating small units of rhythm or motif, or developed it into a larger unit and varied the subject melody above or below octave.
In Lee Hae-siks works,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elements appeared as cadence pattern of Sanjo, Sigimsae from folk music, Jeongseong, Taeseong, and Chuseong, and the borrowing of irregular vibrato irregular nonghyun. One of the first period works the first works, , borrows Cadence pattern of Haegeum Sanjo, and folk musical Sigimsae such as ornament and Breaking note are introduced. In addition, the irregular nonghyun used throughout his Haegeum works shows deep depth and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traditional musical techniques.
Considering these musical characteristics of Lee Hae-siks Haegeum works, the criteria of fingering and bowing techniques are as follows.
When setting the criteria for fingering technique, pitch accents minimize the type and number of shifts of Position, and the iteration and variation techniques focus on unifying Position and fingering of the original and varied melodies. In addition, Jeongseong and changing sounds are fingered in Yoo-hyun to express them in clear tone.
In terms of the bowing technique, all the important Jeongseong, Chord technique, and accents in Lee Hae-siks Haegeum works should be right-bowed. Also, in the contrast zone, use the right bow, long bow, and fast bow for strong notes, and apply the opposite to weak notes to stand out dynamics.

In the abov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technique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Lee Hae-siks Haegeum works. Lee Hae-sik developed his work in a unique way, breaking away from fixed scales, line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reate his work with his unique style, and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musical range of early Haegeum songs and development of various playing technique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help the performers to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of Lee Hae-siks works and that it will be helpful in actual performance.
본 논문은 이해식의 해금독주곡, 중주곡을 포함한 총 8곡의 해금선율 분석을 통해 음악적 특징 및 연주기법을 고찰한 연구이다. 작곡시기와 작품소재를 토대로 1기, 2기, 3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해금 작품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해식 해금 작품의 음계 및 선율에 관한 특징은 탈 음계 및 탈 선법, 해금 창작곡 음역의 확장과 중음주법의 개발로 나타났다. 이해식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고정된 음계나 선법에서 의도적으로 벗어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첫 해금독주곡인 <해금을 위한 상>에서 극단적인 고음을 시도하여 해금창작곡의 음역확장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최초로 중음주법에 의한 화음을 도입하여 해금의 연주기법 확대에 공헌했다.
리듬에 관한 특징은 정박에서의 탈피를 위한 리듬활용과 전통음악에서 착안한 리듬활용의 두 가지로 나타났다. 이해식의 해금작품에는 겹리듬, 당김음, 다박자 등을 통해 고정된 박자나 리듬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전통음악에서 착안한 헤미올라와 지속음이 다수 사용되었다. 나아가 민속악의 헤미올라 리듬을 통해 하이브리드 리듬이라는 새로운 리듬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해식의 1~3기 해금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전개방식은 동형진행과, 반복과 변주수법의 두 가지로 나타났다. 작은 단위의 리듬형이나 동기를 반복하는 동형진행과, 이를 더 큰 단위로 발전시켜 주제선율을 옥타브 위나 아래로 변주하는 수법이 다수 등장했다.
이해식 해금 작품에서 전통적 요소의 수용 및 변용은 산조의 종지형, 민속악적 시김새, 전성과 퇴성 및 추성, 불규칙한 농현의 차용으로 나타났다. 1기의 작품 중 <해금을 위한 상>은 해금 산조의 종지형을 차용하고, 앞꾸밈음, 꺾는음과 같은 민속악적 시김새를 도입하였다. 또한 이해식 해금곡에 두루 사용된 불규칙한 농현은 중간의 음정이 2도를 넘는 깊이를 나타내며 전통음악적 수법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식 해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고려하여 운지법과 운궁법의 기준을 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지법은 음고 엑센트를 연주할 때 으뜸자리의 종류와 이동횟수를 최소한으로 하며, 반복과 변주 수법에서는 원 선율과 변형선율의 으뜸자리와 운지를 통일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전성과 변화음은 유현에서 운지하여 선명한 음색으로 표현한다.
운궁법은 전성, 중음주법, 엑센트를 연주할 때 모두 우방향 활로 운궁하여 선명한 음색으로 표현한다. 또한 강약이 대비되는 구간에서 강한 음에는 우방향 활, 긴 활, 빠른 활을 사용하고 약한 음에는 반대로 적용하여 다이나믹의 대비를 극대화한다.

이상으로 이해식의 해금 작품 분석을 통해 음악적 특징 및 연주기법을 살펴보았다. 이해식은 고정된 음계나 선법, 정박과 정리듬에서 탈피하여 독창적인 방식으로 작품을 전개했다. 그 결과 그만의 개성을 갖는 해금 작품을 발표하고, 해금창작곡의 음역을 확장하였으며 새로운 연주기법을 소개함으로써 창작국악의 발전에 기여했다.
본고를 통해 연주자들이 이해식의 해금작품의 성격을 보다 잘 이해하여 실제연주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70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2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