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삼현육각의 악조 연구 : A Study on the Samhyeonyuggak: Focused on the musical tone of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Seoul
서울특별시 지정 무형문화재에 기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경은

Advisor
김우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20. 2. 김우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Samhyeonyuggak, a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Seoul, by analysing its appearing tone, structural melody, nuclear tone, final tone, and sigimsae. In addition, attempts were made to use emic names of musical tone such as Yeombul-jo, Heotteuntaryeong-jo, and Dangak-jo, that they have never been introduced for academic purpose, and to find out the validity of the names. As a result, musical tone of Gyeonggi areas Samhyeonyuggak was composed of three groups. And, in a particular musical piece, two different musical tone were mix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cale of Yeombul-jo appears in two ways; 'e♭(sol) -f(la) -a♭(do) -b♭(re)-c'(mi)' and 'e♭(sol)-f (la)-a♭(do)-b♭(re)-d♭'(fa). There are two kinds of final tone, e♭(sol) and a♭(do), and a♭(do) has a stronger sense of termination. And the nuclear tone is e♭(sol) · a♭(do). The main idiomatic structural melodies of Yeombul-jo are e♭-a♭, a♭-e♭, b♭-a♭. The constituting tone of Yeombul-jo have a tendency to end with nuclear tone or final tone. The main sigimsae of the Yeombul-jo are the coarse or normal vibrato of e♭(sol), the toeseong(drop pitch) of f(la), the downward-moving vibrato or toeseong of b♭(le), and fast and shallow vibrato of c'(mi) · d♭′(fa). d♭′(fa) shows toeseong in Daegeum and chuseong(raise pitch) in Piri. a♭ (do) usually appears as flat with no sigimsae.
Second, the scale of Heotteuntaryeong-jo is e♭(la) -g♭(do) -a♭(re) -b♭(mi) -d♭′(sol). The final tone are e♭(la) and g♭(do), and the nuclear tone are e♭(la) and b♭(mi). The feature here is that the final tone is not included in the nuclear tone. The main idiomatic structural melodies of the Heotteuntaryeong-jo are e♭-g♭, b♭-g♭, b♭-e♭', and characterized by progression from nuclear tone to final tone g♭(do) or from nuclear tone to nuclear tone. Major sigimsae of Heotteuntaryeong-jo are coarse or normal vibrato of e♭(la), toeseong of g♭(do), ascendant or normal vibrato of a♭(re). d♭′(sol) appears as toeseong in case of daegeum, and it can also appear as toeseong in case of piri. The b♭(mi) usually appears as flat with no sigimsae.
Third, the scale of the Dangak-jo is 'e♭(do)-f(re)-g(mi)-b♭(sol)-c'(la)'. The most stable sense of termination appears in e♭(do). The main idiomatic melodies of the Dangak-jo are g-e♭ and g-b♭. The constituting tone of the Dangak-jo are characterized by ending with the nuclear tone. And, the nuclear tone are e♭(do) and b♭(sol). The main sigimsae of the Dangak-jo is the normal vibrato of f (re) and b♭(sol), the toeseong of g(mi), and g(mi) shows the sigimsae that pulls up from the low pitch. Dangak-jo consist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the nuclear tone, final tone, and the sigimase. Also, Dangak-jo has a piece of music in which five notes are evenly important.
Fourth, there are four different mixed aspects such as the mixture of Heotteuntaryeong-jo in the Yeombul-jo music, the mixture of Yeombul-jo in the Heotteuntaryeong-jo music, the mixture of Dangak-jo in the Yeombul-jo music, and the mixture of Yeombul-jo in the Dangak-jo music. In the mixed aspect, the mixture of appearing tone of different musical tone appear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he sigimsae, the nuclear tone, and the structural melody. The final tone is mostly the final tone of the underlying musical tones. The mixed aspect appears mainly before or after when musical tone changes.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evelopment patterns of Gyeonggi Samhyeonyuggak are as follows. ≪Yeombul-pungryu≫ and ≪Samhyeon-Yeongsanhoesang≫ begin with Yeombul-jo, while ≪Chuita-Pungryoo≫ begins with Dangak-jo. After going through the music of Yeombul-jo and Heotteuntaryeong-jo, all of the final music ends with the music of the Dangak-jo and the final ending is done in the Yeombul-jo.
In addition, Yeombul-jo moves to the Heotteuntaryeong-jo or Dangak-jo, and Heotteuntaryeong-jo moves only to Yeombul-jo. Dangak-jo moves only to Yeombul-jo. No transition from the pure Yeombul-jo to Dangak-jo was found whereas transition from Yeombul-jo mixed with Heotteuntaryeong-jo to Dangak-jo has been identified.
In , , and , the sigimase, the nuclear tone, and the final tone were found consistently. Moreover, it is found that unique musical tone were used to organize those musical pieces so they could represent Samhyeonyuggak.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using the emic names that are referred by Lee Chuljoo, namely, Yeombul-jo, Heotteuntaryeong-jo, and Dangak-jo, is reasonable.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지정 무형문화재 삼현육각을 대상으로 출현음, 구조선율ㆍ핵음ㆍ종지음, 시김새 분석을 통하여 음악의 총체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 및 분류하여 삼현육각의 악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술적으로 사용된 바 없는 연주자에 의한 내관적(emic) 악조명 염불조ㆍ허튼타령조ㆍ당악조를 전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삼현육각의 악조는 크게 세 가지로 구명되었고, 특정 악곡에서는 두 가지 악조가 혼재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고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염불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염불조의 음계는 e♭(솔)-f(라)-a♭(도)-b♭(레)-c′(미)와 e♭(솔)-f(라)-a♭(도)-b♭(레)-d♭′(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종지음은 e♭(솔)ㆍa♭(도) 두 가지로 나타나며 주로 a♭(도)의 종지감이 강하다. 핵음은 e♭(솔)ㆍa♭(도)이다. 주요 관용적 구조선율은 e♭-a♭, a♭-e♭, b♭-a♭으로 염불조의 구성음은 핵음 또는 종지음으로 귀결하려는 성격을 보인다. 염불조의 주요 시김새는 e♭(솔)의 굵은 농음 또는 보통 농음, f(라)의 퇴성, 시김새 없이 평으로 내는 a♭(도), b♭(레)의 하행농음 또는 퇴성, c′(미)와 d♭′(파)의 빠르고 얕은 농음이다. 또한 d♭′(파)은 대금에서는 퇴성, 피리에서는 추성이 나타난다.
둘째, 허튼타령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허튼타령조의 음계는 e♭(라)-g♭(도)-a♭(레)-b♭(미)-d♭′(솔)이다. 종지음은 e♭(라)과 g♭(도)이다. 핵음은 e♭(라)와 b♭(미)으로 종지음 g♭(도)이 핵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관용적 구조선율은 e♭-g♭, b♭-g♭, b♭-e♭′으로 핵음에서 종지음으로 또는 핵음에서 핵음으로 진행하려는 성격을 보인다. 허튼타령조의 주요 시김새는 e♭(라)의 굵은 농음 또는 보통 농음, g♭(도)의 퇴성, a♭(레)의 상행 농음 또는 보통 농음으로 나타난다. b♭(미)은 시김새 없이 평으로 내며, d♭′(솔)은 대금에서 퇴성, 피리에서 퇴성과 추성이 나타난다.
셋째, 당악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당악조의 음계는 e♭(도)-f(레)-g(미)-b♭(솔)-c′(라)이다. 종지는 e♭(도)에서 가장 안정된 종지감이 나타난다. 핵음은 e♭(도)ㆍb♭(솔)이다. 주요 관용적 구조선율은 g-e♭, g-b♭으로 당악조의 구성음은 핵음으로 귀결하려는 성격을 보인다. 당악조의 주요 시김새는 f(레)와 b♭(솔)의 보통 농음, g(미)의 퇴성이며, g(미)는 보다 낮은 음고에서 끌어올려내는 시김새가 나타난다. 당악조는 핵음과 종지음 및 시김새가 악곡마다 상이한 점이 있다. 또한, 당악조는 다섯 음이 고루 비중 있게 나타나는 악곡이 있다.
넷째, 악조의 혼재 양상은 염불조 악곡에 허튼타령조가 혼재된 양상, 허튼타령조 악곡에 염불조가 혼재된 양상, 염불조 악곡에 당악조가 혼재된 양상, 당악조 악곡에 염불조가 혼재된 양상 네 가지로 나타난다. 혼재 양상은 타 악조 출현음의 혼합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다음으로 시김새, 핵음, 구조선율 순으로 나타난다. 종지음은 대부분 바탕 악조의 종지음으로 나타난다. 혼재 양상이 나타나는 위치는 악조가 바뀌는 경계선의 바로 직전이나 직후에 많이 나타난다.
다섯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 경기 삼현육각의 악조 전개 양상은 다음과 같다. ≪염불풍류≫와 ≪삼현영산회상≫은 염불조, ≪취타풍류≫는 당악조의 악곡으로 시작한다. 이후 염불조 또는 허튼타령조의 악곡을 거친 후, 마지막 악곡은 모두 당악조의 악곡으로 끝나며 최종 종지는 염불조에서 한다. 염불조는 허튼타령조나 당악조로 이동하고, 허튼타령조는 염불조로 이동하며, 당악조는 염불조로 이동한다. 순수한 염불조에서 당악조의 이동은 나타나지 않으며, 허튼타령조가 혼재되어있는 염불조에서 당악조로 이동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 , , 의 악곡에서 시김새와 핵음, 종지음이 일관되게 나타나며, 악조가 혼합되지 않고 단일한 악조로 구성되어, 위 악곡이 삼현육각 악곡에서 대표성을 띠는 악곡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철주가 사용하는 염불조, 허튼타령조, 당악조의 악조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타당함이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70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9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